엠퍼러 5 - 검들의 각축장 - 하
콘 이굴던 지음, 변경옥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4.0

카이사르는 갈리아 정벌과 브리타니카 정벌을 다녀옵니다. 사실 그 넓은 땅을 몇 만의 군대로 점령하는 것은 무리이므로 수시로 반란이 일어납니다. 반란군의 대부분이 오합지졸로 잘 훈련된 군대와 싸운 경험이 없기 때문에 정면 충돌은 로마군의 승리로 끝납니다. 청야전술을 펼친 베르킨게토릭스는 아바리쿰 공방전에 이어 알레시아에서 믿었던 원군이 궤멸되자 항복합니다.

라인 강 이남 지역의 유럽을 군단 몇 개가 지키는 것은 일전에 본 어떤 묘사를 떠오르게 합니다.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 측 기동함대를 불과 십여 대의 전투기가 지키고 있었는데 당시 그 글을 쓴 사람은 화장지로 덮어놓은 꼴이라고 했습니다. 소비만 하는 도시 로마(식품의 무상 공급을 하고 있었으니 빈민이 될지라도 사람으로 득실거리게 됨은 당연합니다.)를 위하여 전 제국이 착취당하는 구조가 벌써 만들어진 상태이므로 알프스를 넘어 갈리아 땅으로 진출하지 아니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차후 이집트도 같은 이유로 점령당하게 되지만요.

카이사르와 브루투스의 간격이 점차 멀어지는 것을 열심히 그리고 있습니다. 그래야 처음에 '항상 너의 검이 되어줄게' 라는 약속을 어기더라도 무리가 없겠지요. 이제 마지막 책이 남았습니다.

101113/101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엠퍼러 4 - 검들의 각축장 - 상
콘 이굴던 지음, 변경옥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3.8

스페인에서 4년간 머문 카이사르입니다. 금광을 발견하여 금도 좀 모았습니다. 임기가 끝나면 집정관인 폼페이우스가 다른 데로 보낼 것이라면서 집정관 선거 직전에 무단으로 로마귀환을 결정합니다. 휘하의 군단 '열 번째'도 함께 귀국합니다. 크라수스는 카탈리나와 협력을 하려던 것을 포기하고 카이사르의 군단을 이용하여 카탈리나를 칩니다. 카이사르는 인기를 얻어 집정관에 선출됩니다. 그 전에 셋(카이사르, 크라수스, 폼페이우스)이 모여 합의를 합니다. 카이사르는 6개월간 집권 후 갈리아로 출정한다. 그라수스는 2년(나중에 5년)간의 무역독점권을 얻는다. 폼페이우스는 율리아(카이사르의 딸)와 (율리아가 16살이 될 때) 결혼한다. 함께 집정관에 선출된 부빌리오는 카이사르의 협박에 업무를 보지 않고 칩거합니다. 아, 카이사르와 세르빌리아의 관계는 나빠집니다. 마르쿠스는 어머니에게 손을 댄 것에 대해 반감을 품고요.

역사에서 추출한 소설이라서 작가 마음대로입니다. 독자야 재미만 있으면 그만이고요.

101107/1011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엠퍼러 3 - 왕들의 죽음 - 하
콘 이굴던 지음, 변경옥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4.4

그리스에서의 공로로 트리부누스로 임명됩니다. 브루투스는 마리우스의 군단인 프리미게니아를 부활시키려 노력 중입니다. 결국 율리우스의 '늑대들'은 아직 완편되지 않은 프리미게니아에 편입됩니다. 알렉산드리아가 맡긴 옥타비우스는 아직 어려서 제대로 된 취급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설정상 옥타비우스의 할머니가 율리우스의 할아버지 누이동생인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스파르타쿠스가 반란을 일으켜서 군단들이 북으로 향합니다. 프리미게니아도 출전하는데 레피두스가 전사하는 바람에 그 군단의 지휘도 맡습니다. 레피두스 군단이 후퇴하려 했었기 때문에 나중에 1/10이 임의로 선발되어 죽임을 당합니다. 폼페이우스가 직접 명령을 내린 것으로 책에는 나옵니다. (다른 자료에서는 카이사르가 갈리아인가에서 이렇게 한 것으로 나오죠.) 카토가 의뢰한 청부로 아내 코르넬리아가 피살되고 지키고 있던 투브루크도 치명상을 당합니다. 집에 도착한 율리우스의 앞에서 투브루크는 죽습니다. 복귀한 율리우스는 폼페이우스를 도와 노예군의 도망병을 칩니다. 폼페이우스는 율리우스를 경계하여 스페인으로 내칩니다.

군단이 전속력을 뒤쫓는데도 여자와 아이가 딸린 노예군을 따라잡지 못하는 설정이 이상하지 않습니까? 왕들이라고 함은 해적왕, 그리스 왕, 그리고 노예왕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아 투브루크가 독살한 독재관 술라도 포함될 것 같네요.

101031/1010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엠퍼러 2 - 왕들의 죽음 - 상
콘 이굴던 지음, 변경옥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4.4

율리우스는 액시피터 호에서 근무하던 중 미틸렌느 요새 탈환작전에서 총독을 구출하는 공을 세웁니다. 선장 겸 백인대장 가디티쿠스는 율리우스를 신임합니다. 해적들에게 나포된 일행은 몸값을 낼 수 있는 장교들만 살아남습니다. 율리우스는 해적들에게 몸값을 올리라고 호통을 치고 풀려나면 반드시 돌아와 죽이겠다고 말합니다. 브루투스는 로마로 돌아왔다가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드디어 알아냅니다. 어머니 세르빌리아는 고급창녀였습니다. 아버지가 일찍 죽자 아이를 남편의 친구(율리우스)에게 맡기고 나간 것이죠. 핏줄에 이끌리어 세르빌리아를 찾은 브루투스는 그녀의 지원을 받게 됩니다. 율리우스는 켈수스(해적)를 죽이고 갤리선과 보물을 차지합니다. 그가 납치한 배의 선장은 중간에 나포한 해적선을 주기로 하여 무마시켰습니다. 이 세 척이 테살로니카에 이르렀을 때 그리스 독립군이 휩쓸고 가서 시체만 남은 것을 봅니다. 율리우스는 인근의 정착촌에서 노병들을 소집합니다. 그는 그리스 왕 미트리다테스를 깨뜨리겠다고 호언장담합니다. 몇 차례의 야간 기습이 성공하여 그리스 군을 붙잡아 둡니다. 그리스 측에는 탈영병도 많이 생겼고요. 그러자 고작 천 명의 부하로 수천이나 되는 그리스 군을 직접 칩니다. 그리스 군은 패하였고, 미트리다테스는 전사합니다.

영웅을 위한 소설이므로 적당한 거짓은 넘어가 줄 만합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꽤 재미있는 편입니다. 점차 짧은 전개후 시점과 상황이 바뀌는 것이 늘고 있지만 아직은 감내할 만합니다.

101031/1010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엠퍼러 1 - 로마의 문
콘 이굴던 지음, 변경옥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4.5

카이사르 이른바 시저에 대한 소설입니다. 역사소설이죠. 따라서 일부 사실에 근거한 자료를 빌려온 다음 나머진 전적으로 작가의 손에 달려있는 것입니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어린 시절의 이야기에서 시작합니다. 아버지 율리우스는 과격한 성질로 원로원에서의 활동이 더 많습니다. 어머니 아우렐리아는 간질을 갖고 있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해방노예인 투브루크가 소유지의 관리인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율리우스는 가이우스와 친구의 아들 마르쿠스에게 군사훈련을 양육할 사람으로 검투사를 많이 길러낸 레니우스를 고용합니다. 레니우스는 3년간 기른 후 이들을 상대로 실전 훈련을 합니다. 검에 찔린 가이우스가 쓰러지고 뒤를 이은 마르쿠스는 레니우스의 팔을 다치게 합니다. 때마침 나타난 카베라 라는 치유사가 죽은(? 또는 죽어가는) 가이우스를 되살려냅니다. 그는 미래를 내다볼 능력도 있는데 레니우스를 붙잡아 둡니다. 폭동으로 인하여 노예들이 습격을 해오고 이를 막던 율리우스는 죽습니다. 갑자기 가장이 된 가이우스는 이제 성인이 되었으므로 율리우스라는 이름으로 불리우게 됩니다. 마르쿠스는 레니우스와 함께 가이우스의 외삼촌(으로 설정된 마리우스)의 추천장을 받아 그리스로 갑니다. 율리우스는 마리우스의 후원으로 원로원에 진출하였고, 술라가 되돌아올 때 마리우스 편에 섰다가 패합니다. 이집트로 가는 배에 하급장교로 취직한 율리우스는 카베라와 함께 술라를 피해 떠납니다.

사실이 아닌 게 꽤 됩니다. 앞서 쓴 것처럼 작가는 2천 년 전의 사실을 왜곡할 권리가 있습니다. 이것이 역사가 아니라 역사 소설이기 때문입니다.

570페이지이지만 23줄, 29줄 편성이므로 그리 많은 분량은 아닙니다. 또한 소설이므로 술술 읽어내려갈 수 있습니다.

101031/1010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