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에 주민들에게 사랑 많이 받아서 사람을 피하지 않는 고양이가 있는데 

어느 날 새벽 산책하다가 그 고양이를 그 고양이 구역에서 제법 멀리 (적어도 3-40 미터?) 

떨어진 지점에서 갑자기 마주쳤었다. 고양이 보고 말하고 그러는 편 아닌데도 갑자기 마주치니까 

저절로 고양이에게 말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 어. 야 너 여기서 뭐해. (....) 내가 고양이에게 이렇게 말했는데 


그 때 고양이 표정이 

"앗, 그러니까...." 표정이었다.  

그리고, 그러는 넌(!) 여기서 뭐하냐, 이기도 했다. 

.... 아 이거 표현이 잘 안된다. 내게 경이로운 체험이었는데, 이렇게 쓰고 있어서야 그 경이 따위 

전해지지 않을 거 같다. 그 경이의 정체: 고양이도 나를 바로 알아보았다. 이상한 시간대에 

갑자기 마주치자 고양이도 그 사람이 자기가 아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드러냈다.............. 


뜻밖에도 오래 오래 신기했던 일이다. 고양이의: 그러는 니는 여서 모하는데?: 

앨런 라이트먼의 책에도 비슷한 얘기가 있다. 그는 어떤 새를 자기집 정원에서 정성껏 돌보았다. 

그 새는 알도 낳았고 새끼가 태어났다. 새끼가 제 힘으로 날 수 있게 되었을 때 새끼들을 데리고 

새가 날아오르면서, 날아오르는 도중에, 바깥에 나와 새들을 보고 있던 그의 눈 바로 앞으로 정주행했다. 

아마 본능에 따랐다면 그는 바로 몸을 피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라이트먼은 그러지 않았고 자기를 향해 

날아오는 새들을 마주보았다. 그리고 그는 새들의 눈과 마주쳤다. 자기를 향해 많은 말들을 하고 있던 눈들을. 

새들은 그를 향해 날아오다가 그와 눈을 마주친 다음 위로 솟구쳤다. 


이 얘기도 내가 옮겨 적으니 ㅎㅎㅎㅎ 

'어쩌라고'가 될 뿐이긴 하다. 라이트먼의 글에서도 사실 아주 조금은 그랬는데, 그랬긴 한데 동시에

그가 전하려 하던 그 신비감 '나도 압니다'이기도 했다. 




동물 심리학 주제로 나온 신간 중에 

"우리가 동물을 이해할 만큼 똑똑하긴 한가" 같은 제목 책이 있었던 거 같다. 

Are we smart enough to understand animals? 같은 제목. 


유튜브에서 베프 허스키인 Key와 Sherpa. 

Key는 "오늘 Sherpa가 올 거야" 말을 들으면 자다가도 일어난다. 

바로... 즉각 반응하고 즉각 즐거움에 가득차 뛰어 다닌다. 동물의 이런 기쁨, 그걸 우리가 이해할만큼 똑똑하긴 한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an22598 2020-10-31 0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이해할만큼 똑똑한지도 의문이지만, 자극에 즉각 반응할 정도록 몸이 부지런한걸까요? ㅋㅋ

몰리 2020-10-31 10:29   좋아요 0 | URL
인간도 한때는 재차, 삼차 생각하기보다는
몸이 먼저 반응하는 시절이 있었던 게 분명한 거 같기도 해요. 근데 저 허스키 Key는 어린 시절 ㅎㅎㅎ 처음 만난 중요한 개가 Sherpa이긴 했는데 그 점 감안해도 Sherpa를 참으로 순수하고 강렬하게 좋아하고, Sherpa 말 들으면 바로 반응하는게 참 웃깁니다.
 
















여기서 오른쪽 책. 

명성이 자자한 책이다. 

알고 보면. 알기 전엔 명성이 자자함의 정반대겠으나 알고 나니 명성이 자자함 그 자체. 

아무튼 굉장히 유명하고, 게다가 중요한 책이라고 하고 조금 읽어 보면 어찌하여 그런가 

알 거 같기도 하다. 그런데 굉장히 읽기 힘들고 (이건 독자들 사이 차이도 클 거 같다. 아마존엔 

이게 뭐가 힘듦? 이러는 독자 있다. 개념과 문장이 가장 명료하고 최상 급의 철학하기를 보여주는데? 

.... 그래요? 이런 것이 철학에서 명료함의 이상이라면, 혁명을 원합니다. 같은 심정이 되었었다) 지금의 

내겐 pointless하다 느껴진다. 칸트 철학 안에서, 칸트 철학의 맹점 하나를 수정하기. 이런 걸 하는 거 같다. 

개념적 사유, 이것으로도 우리는 자연과 의미있게 연결되며 공존할 수 있다? (....) 아닐 수도 있는데, 저런 

작업을 하는 걸로 보이는 책. 


진정 놀라운 건, 이 숨막히는 책이 

강의록이다. 아도르노의 그 무거운 문장들 강의록도 놀랍지만 

맥도웰의 이 강의록이 더 놀랍다. 맥도웰의 강의 들으면서 (매번, 어김없이) 잠이 들지 않은 사람 

없었을 거 같다고 진지하게 생각하게 된다. 




칸트 철학의 개요를 알고 읽는다면 덜 괴롭겠지. 

어쩌면 이 모든 괴로움은 칸트를 모름에서 오는 걸수도. 

그래서 미리 준비해두었다, 칸트 개론서. 


실제로 칸트 개론서 하나를 최근 구비했다. 앨런 우드가 쓴 Kant. 

이 책도, 겨우 개론서가 시작부터 심상치 않게 괴작 같던데 

(앨런 우드. 이상한 맥락에서 버럭, 하시는 분.... 그게 사실 매력이기도) 

칸트 이름만 아는 독자들을 위해 썼다... 투로 '내가 이 정도까지 해야 했었니?' 같은 서문도 있고 그렇다. 


1장이 칸트의 짧은 전기인데 이런 대목이 있다. 

"18세기의 쾨니히스베르크는 바다를 통해 바깥 세계와 연결된 도시였고 나름의 풍요하고 다양한 지적인 문화를 자랑했다. 그랬긴 한데, 현대 철학에서 가장 위대한 혁명이 있을 것으로 기대할 도시는 전혀 아니었다." 


밑줄 부분이 웃겼는데, 웃긴 얘기 아니라고 버럭할 거 같다. 



*옮겨 오려던 이미지가 옮겨지지 않아서 상품 이미지로 대신. 

옮겨 오려던 이미지에는 왼쪽엔 실비아 플라스의 시집이 있고 오른쪽에 이 책이 있었다. 

............. 어느 고생하는 독자의 책상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n22598 2020-10-27 0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앨런우드의 서문에도...몰리님의 밑줄 부분에도 웃지 못하고 지나갑니다. ㅋㅋㅋ

몰리 2020-10-27 08:22   좋아요 0 | URL
앞에서 몇 번 버럭버럭 하시다가
저 밑줄 부분도, 버럭의 메아리가 들리는 가운데 말할 거 같은 느낌이어서
(수업으로 듣는다면 그의 저 축적된 분노가 갑자기 웃겨서 나 혼자 웃을 거 같은데....
그러다 노려봄 당하겠.......)

저런 거였어요. ;;; 실제 내용이 조금 웃기기도 했지만 그보단 앨런 우드의 기이함.
 




예일대가 주관하는 문학상이 있나 봄. 매년 시상식이 열리는데 

시상식에서 수상 작가가 Why I Write 주제로 강연을 한다고. 몇년도 수상인지 모르겠지만 크나우스가드도 

수상했고 그의 강연은 18년에 책으로 나왔다. 


audible이 무료 방출 안했다면 지금 만나지 못했을 책이다. 

지금 만날 수 있었다는 게, 고맙게 느껴진다. 책을 공짜로.... 정말 감사하다. 양잿물도 감사할텐데 책이. 


일단 시작은 미미하다. 이러는 것도 그의 고유 스타일일 거라 짐작 되는데 

"나는 왜 쓰냐고? 이 주제를 앞에 놓고 나는 사흘 동안 아무 진척도 내지 못했다. 내가 떠올릴 수 있던 건 

몇 년 전 TV에서 보았던 어느 작가가 다였다. 그는 스튜디오에 나오면서 "나는 죽을 것이기 때문에 씁니다 I write because I am going to die"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바지 바깥으로 삐져 나온 셔츠를 바지 안으로 집어 넣었다. 나는 웃었다. 그가 한 말의 그 엄중함과 그의 행동의 그 일상성 사이 간극이 날 웃게 했다" 


저렇게 시작한다. 

사실 미미함이 끝까지 지속되는데 

그런데 그 미미함이, 격렬한 진정성과 함께 하는 미미함? 

미미함의 닻 덕택에 간신히 진정되는 진정성의 폭풍?  


<나의 투쟁> 1권은 사두었으나 읽지 않음. 그가 뉴욕타임즈였던가에 썼던 긴 미국 여행기가 있는데 

그것에 강렬한 인상 받지 않았었다. 아휴 그냥 침울한 아저씨네.... 정도 끝. 크나우스가드와 인연은 

이게 다인데, 그런데 이 강연 들으면서 그의 매력이 무엇인가 알 거 같았고, 그 매력이 내내 있다면 <나의 투쟁>은 국제 센세이션 될만한 책이겠구나는 생각이 든다. 심지어는, 21세기초 베스트셀러로 23세기까지 읽힐 드문 책 아닐까, 읽지도 않은 책을 망상 속에 평가함. 



위의 미미한 시작에 이어 그는 이렇게 말한다. 

"I write because I am going to die. 이 말이 합당하게 표현되고 그 말이 받아 마땅한 반응을 받으려면, 이 말에 

담긴 진실이 전해지려면, 그 말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먼저 창조되어야 한다. 바로 그것이 글쓰기다. 우리가 말을 할 

공간을 창조한다는 것. (That is what writing is: creating a space in which something can be said)." 


글쓰기 = 우리가 말을 할 공간을 창조한다는 것. 

강연 서두에서 이렇게 못박고 나서, 이어지는 강연 내용 전부가 이 말이 무슨 뜻인가 해명하는 데 바쳐지는데 

적당히 진부하고 (이렇게 말하면 욕같지만, 칭송으로.... 하는 말이다. 딱 알맞게, 딱 절묘하게, 마치 진짜 진부함이 아니라 진부함에 대한 사유이고 논평인 것처럼....), 동시에 예측 불허로 열정적이다. 


우리가 말을 할 공간을 창조한다는 것. 

이것 정말 실은 엄청난 전언이지 않나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블랙홀. 

무에서 유가 나왔다는 것. 

존재의 문제. 철학과 물리학의 접경 지대. 

철학은 너무 중요해서 철학자들에게만 맡겨둘 수 없다."


존 휠러 인터뷰 찾아보았는데 이 클립, 7분 지점에서 저런 말씀 하신다. 

특히 마지막 문장. Philosophy is too important to be left to the philosophers. 

의미심장하게 들린다. 특히 물리학자들이, 철학에 우호적이지 않은 태도로 비슷한 얘기를 

많이 해왔던 거 같긴 하지만 오늘 아침 들으면서는 (......) 그냥 몰표. 이런 말을 하고,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해도 되는) 사람으로 산다는 것에 대해서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 클립이 업로드 되었을 때 

메릴랜드인지 델라웨어인지에서 60대의 존 휠러라는 남자가 피살되어 쓰레기 매립지에서 발견되고 

그게 연방정부를 향한 어떤 메시지가 담긴 살인이었고 ..... 이런 사건이 있었나 보았다. 댓글들이 ㅎㅎㅎㅎ 

60대 피살당한 존 휠러 얘기들을 하고 있음. "사람들아 야 이 바보들아. 다른 사람이야! 이 분은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과학자였다. 양자 우주론의 아버지시다." 이러는 댓글 나오고. 이런 미친 스레드는 

처음 본다는 댓글도 나오고. 




여름 동안 오래 산책하기가 힘들었는데 

10월 시작하면서 다른 건 몰라도 산책하기가 훨씬 즐겁고 쉬워져서 좋다. 

아침에 늦게까지 어둡다는 것. 시원하다는 것. 기타 등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것도 audible에서 무료 타이틀이다. 

이건 좀 아니었다. 조금 들었을 뿐이긴 한데 들었던 부분에서는, 아.... 말 잘하는 

꼰대. 뭔가 극을 형성하는 느낌. 한쪽 극에 이 책이 있고 다른 쪽으로 Ravelstein이 있는. 

Ravelstein에서는 말을 잘하기도 하지만 재미나게도 한다. 본 것도 많고 그러니 볼 것이 언제나 많은 노인. 

꼰대이기보다는 이 노인 '쏴라있네' 느낌.   


audible에 무료 타이틀이 정말 많고 (수시로 찾는다) 

좋은 것들도 정말 많다. 




이것도 있습니다. Sharp: Women Who Made an Art of Having an Opinion. 

레베카 웨스트, 도로시 파커, 한나 아렌트, 수전 손택, 메리 맥카시 등등 호화 캐스팅. 


"우리는 도로시 파커의 신랄한 위트, 날카로운 언어를 우리 시대의 관점에서 대수롭지 않게 보기도 한다. 

그러나 기억하자, 그녀가 활동하던 시기, 미국 여성에게 투표권이 없었다." : 이런 얘기가 시작할 때 있는데 

................ 유구무언 되므니다. 그랬군요 맞아요. 투표권. 


Giants of Philosophy 시리즈도 다 무료. 

아마 같은 평생교육 업체에서 만든 것들로 같은 형식 짧은 강좌 시리즈가 있는데 

(경제학자... 아 경제학자도 평생 공부하란 말이냐. 과학자와 과학사. 철학 사조들도 있고) 

다 무료. 


잘 쓴 문장. 날카로운 문장. 탐구하는 문장. 

그런 문장은, 순간 정신치료 하지 앟나. 

아. 그래. 견딜만해졌어. 이 느낌. 그렇게 견딜만해짐의 반복이 없다면 

정말 미칠지도 모른다. 아... 그렇.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단발머리 2020-10-07 20: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몰리님 글에는 제가 모르는 다른 세상이 펼쳐지지만, 몰리님 글을 주의해서 읽고 있습니다.
양질의 자료는 무궁무진해도 차마 들을 수 없는 형편인지라 몰리님 글을 읽는것으로 위로를 삼습니다.
편안한 밤 되세요^^

몰리 2020-10-08 06:54   좋아요 0 | URL
그래도, 모르니까요. 다 들리기 시작했다 순간. 그런 순간은 반드시 오는 걸로다.
페미니즘 주제 자료도 정말 많아서, 아까워요. ㅜㅜ 무료니까 순간 1억명 전파. 그럴 수도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