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 74 | 7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청년과 지도자 - 루쉰 산문집『아침꽃을 저녁에 줍다』


  요즘 들어 靑年이란 말이 流行이다. 입만 열면 靑年이요, 입을 닫아도 靑年이다. 그러나 靑年이라 하여 어찌 일률적으로 얘기할 수 있을까? 그 중에는 깨어 있는 者도 있고, 잠자고 있는 者도 있으며, 혼미한 者도 있고, 누워 있는 者, 놀고 있는 者도 있고, 그밖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물론 前進하려는 자도 있다.

  前進하려는 靑年들은 대체로 指導者를 찾고자 한다. 그러나 감히 말하건대, 그들은 영원히 指導者를 찾지 못할 것이다. 찾지 못하는 것이 도리어 행운이다, 자기 스스로를 아는 자라면 指導者의 자리를 사양할 것이다, 指導者이길 自任하고 나서는 자가 과연 나아갈 길을 진정으로 알고 있을까? 길을 안다고 나서는 자들은 대개 30세가 넘고, 빛이 바래고 노티가 흐르는 자들로, 그저 원만하다는 것뿐인데 자신이 길을 알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다. 정말 길을 알고 있다면 자신이 벌써 자기의 목표를 향해 前進하였을 것이고, 지금껏 지도자 노릇을 하고 있을 리 없다. 불법을 설교하는 스님이든 신선의 약을 파는 도사이든, 언젠가는 우리와 똑같이 白骨로 된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에게 극락으로 가는 이치를 묻고, 하늘나라에 갈 비결을 구하려 하니, 실로 可笑로운 일 아닌가!

  하지만 나는 그런 사람들을 모조리 부정할 생각은 없다. 그들과 그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는 것은 그럴 수 있다. 말하는 사람은 그저 이야기나 할 줄 알고, 붓이나 놀리는 사람은 그저 붓이나 놀릴 줄 안다. 그런데 누가 그더러 주먹을 쓰라고 하면 그것은 시키는 사람 잘못이다. 주먹을 쓸 줄 아는 사람이라면 진작 주먹을 썼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이번에는 아마 재주넘기를 하라고 할 것이다.

  일부 靑年들은 각성한 것처럼 보인다. 『징바오푸칸 京報副刊』에서 靑年들의 必讀書를 추천해 달라고 했을 때 어떤 사람이 투덜거리면서 이렇게 말했던 것이 기억난다. “믿을 건 自己 自身밖에 없어!” 비록 살벌한 상황이지만 나도 대담하게 한 마디 한다면, 自己 自身조차도 꼭 믿을 만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우리들은 記憶力이 그리 좋지 않다. 이것 역시 인생에 특히 中國에서는 고통스러운 일이 너무 많아서 그럴 것이다, 記憶力이 좋으면 아마 그 무거운 고통에 짓눌려 압사할 것이다. 記憶力이 나빠야 適者生存할 수 있고, 기쁜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다. 하지만 어쨌거나 우리들은 여전히 기억하고 있다. 어찌어찌하여 오늘은 옳은데, 어제는 잘못되었다거나 겉과 속이 다르다거나 어제의 내가 오늘의 나와 싸운다거나 하는 일을 떠올린다. 우리들은 아직 굶어 죽을 정도로 배가 고파서 아무도 없을 때 남의 밥그릇을 넘본 적이 없다, 죽을 정도로 가난하여 남몰래 남의 돈을 넘본 적이 없고, 성욕이 넘쳐서 이성을 보고는 아름답다고 느낀 적도 없다. 그러기에 나는 큰소리를 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본다. 記憶力이 좋다면 나중에 그때에 가서 얼굴이 붉어질 테니까.

  혹시 自身을 믿을 만한 사람이 못된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다면 도리어 믿음직스러울지도 모른다. 靑年들이 금 간판이나 내걸고 있는 지도자를 찾아야 할 이유가 어디 있는가? 차라리 벗을 찾아 단결하여, 生存의 방향이라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함께 나아가는 것이 나으리라. 그대들에게는 넘치는 活力이 있다. 밀림을 만나면 밀림을 개척하고, 광야를 만나면 광야를 개간하고, 사막을 만나면 사막에 우물을 파라. 이미 가시덤불로 막힌 낡은 길을 찾아 무엇 할 것이며, 너절한 스승을 찾아 무엇 할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 삼태기의 흙  성현 『虛白堂集』, 「惰農說


  지난 경인년 (1470)에 큰 가뭄이 들었다. 정월부터 비가 오지 않더니, 가을 칠월까지 가뭄이 계속되었다. 이 때문에 땅이 메말라서 봄에는 쟁기질을 하지 못했고 여름이 되어서도 김맬 것이 없었다. 온 들판의 풀들은 누렇게 말랐고 논밭의 곡식들도 하나같이 모두 시들었다.

  이 때 부지런한 농부는

  “곡식들이 김을 매주어도 죽을 것이고 김을 매주지 않아도 역시 죽을 것이다. 그러나 그냥 팔짱끼고 앉아서 죽어가는 것을 쳐다만 보고 있기보다는 그래도 있는 힘을 다해 살리려고 애를 써 보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러다가 만에 하나라도 비가 오면 전혀 보람 없는 일이 되지는 않으리라.”

하고, 쩍쩍 갈라지는 논바닥에서 김매기를 멈추지 않고 다 마르고 시들어빠진 곡식 싹들을 쉬지 않고 돌보았다. 일 년 내내 잠시도 게으름을 부리지 않고 열심히 일을 하여, 곡식이 완전히 말라 죽기 전까지는 농사일을 멈추지 않을 作定이었다.

  한편 게으른 농부는

  “곡식들이 김을 매주어도 죽을 것이고, 김을 매주지 않아도 죽을 것이다. 그러니 부질없이 분주히 뛰어다니며 고생을 하기보다는 차라리 내버려두고 편히 지내는 것이 나을 것이다. 만약 비가 전혀 오지 않으면 모두가 헛고생이 될테니까.”

하였다. 그래서 일하는 농부나 들밥을 나가는 아낙들을 끊임없이 비웃어대며, 그 해가 다 가도록 농사일을 팽개치고 들어앉아 하늘만 쳐다보고 있었다.

  가을걷이를 할 무렵에 내가 파주 들녘에 나가 논밭을 보니, 한쪽은 잡초만 무성하고 드문드문 있는 곡식들도 모두가 쭉정이뿐이었고, 다른 한쪽은 農事가 제대로 되어 잘 익은 이삭들이 논밭 가득 고개를 숙이고 있었다. 그렇게 된 이유를 마을 노인에게 물었더니, 農事를 망친 곳은 쓸데 없는 짓이라고 하며 農事일을 하지 않은 농부의 것이었고, 곡식이 잘 영근 곳은 한 가닥 希望을 버리지 않고 농사일에 애쓴 농부의 것이었다.

  한때의 편안함을 찾다가 일년 내내 굶주리게 되었고, 한때의 고통을 참아내어 한 해를 배불리 지낼 수 있게 되었다. 아! 아무 일도 이루지 못하는 것은 農事만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오늘날 詩書를 공부하여 벼슬길에 나아가려 하는 사람들도 어찌 이것과 다르겠는가. 선비들이 젊었을 적에는 學問에 뜻을 두고 밤이나 낮이나 열심히 책을 쉬지 않고 글을 짓는다. 그렇게 닦은 재주를 가지고 과거 시험에 응시하여 솜씨를 겨루는데, 시험에 한 번 떨어지면 실망을 하고 두 번 떨어지면 번민하고 세 번 떨어지면 茫然自失해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功名을 이루는 것은 分數가 있는 것이어서 學問을 한다고 이룰 수 있는 게 아니며, 富貴를 누리는 것도 天命이 있는 것이어서 學問을 해서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는, 자신이 하던 學問을 팽개쳐버리고 지금까지 해놓았던 공부도 모두 포기한다. 어떤 사람은 절반쯤 學問이 이루어졌는데도 내던져버리고 어떤 사람은 성공의 문턱까지 갔다가 주저앉아버린다. 마치 아홉 길 높은 산을 쌓는데,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 산을 완성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렇다면, 게으름을 피우며 農事일을 제쳐놓은 농부와 같은 무리가 아니겠는가.

  學問을 하는 苦生은 일년 내내 농사를 짓는 苦生에 비하면 고생도 아니다. (조금 생략) 편안히 공부만 하는 사람들은 땀 흘려 일하는 농부들의 苦生을 모른다. 그러므로 이 이야기를 지어 그들을 깨우치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 74 | 7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