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핀둘리 국민서관 그림동화 86
자넬 캐넌 글.그림, 서남희 옮김 / 국민서관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꼬마 하이에나가 다른 동물들의 심술궂은 말에 마음의 상처를 받지만 지혜를 발휘하여 동물들 간에 화해를 이끌어 내는 모습을 그린 작품. <바퀴벌레 삐딱날개>라는 작품에서 혐오감가는 곤충 최상위권에 드는 바퀴벌레를 너무나 매력적으로 그려낸 자넬 캐넌. 이번 작품에서는 얼룩덜룩한 무늬 탓에 지저분해 보이는 외모나 먹이 습성 등으로 인해 그다지 호의적인 인상을 주지 못하는 하이에나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자넬 캐넌의 작품 성향을 보면 사람들이 대체로 싫어하는 생물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작품도 흔치 않은 '하이에나'를 주인공으로 하였고, 본 적은 없지만 <Verdi>는 뱀, 영문판으로 본 <Stellaluna>는 박쥐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다. 

  저녁 무렵에 놀러 나간 꼬마 하이에나 핀둘리는 길에서 만난 개 무리, 사자, 얼룩말로부터 외모에 대한 놀림을 받는다. '귀가 크다, 갈기털이 삐죽삐죽하다, 줄무늬가 정신 사납다'는 그들의 말에 기가 죽은 핀둘리는 아무도 자신을 몰라보기를 바라며 흙먼지 속을 뒹군다. 집으로 돌아가던 차에 마주친 동물들은 유령이라 생각하여 놀라 달아나고, 핀둘리는 동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왜 자신에게 심한 말을 하였는지 알게 된다. 동물들은 위대한 유령(?)님의 명령에 따라 자신에게 상처가 되는 말을 했던 동물들을 찾아가 사과하고 서로 화해하는 유쾌한 결말을 맞이한다.

 우리 나라에 "종로에서 뺨맞고 한강 가서 눈 흘긴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 그림책 내용을 잘 표현한 속담이지 않나 싶은데, 속담의 속뜻처럼 한 동물에게 언짢은 말을 듣고 감정이 상한 동물이 다른 동물에게 이에 대한 화풀이를 하는 과정에서 핀둘리도 희생양이 된 셈이다. 핀둘리는 먹이를 구하느라 힘든 엄마를 위해 꾀를 발휘하여 동물들에게 음식을 남겨 두라고 하는데, 이처럼 작가는 동물들이 남긴 먹이를 먹는 하이에나의 먹이 습성도 작품 속에 잘 녹여 놓았다. 본문 뒤에 실린 하이에나과, 대머리, 줄무늬 동물들, 귀가 커다란 이유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글을 보면 다른 동물들도 연관성이 있게 등장시킨 것을 알 수 있다.

 그림에 대해 언급하자면, 왼쪽 책장에는 본문 글과 함께 점과 가는 선으로 그린 작고 간결한 흑백 삽화로 핀둘리를 찾아다니는 엄마 하이에나의 모습을 담았다. 그리고 오른쪽 책장에는 세밀하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을 풍기는 화풍의 채색된 큰 그림이 배치되어 있는데, 다양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동물들의 표정 덕분에 보는 즐거움이 있다. 이런 방식은 작가의 다른 그림책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특징으로, 웃음을 주는 요소가 들어 있는 작은 흑백 그림은 보는 재미가 솔솔하고 큰 그림은 근사한 그림을 감상하는 즐거움이 있다.
- 속지의 그림도 놓치지 말아야 할 볼거리로, 앞속지에서는 동물들이 상대에게 핀잔을 주는 심술궂은 표정과 놀란 표정을 잡아 그렸다. 뛰어가는 꼬마 핀둘리를 통해 연결되는 뒤속지 그림은 서로 화해할 때의 표정을 담아 놓았다.

큰 아이가 자기는 이런 내용-동물, 화해, 해피엔딩-의 책이 좋다며 망설임 없이 별 다섯.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금강의 왕 마루벌의 새로운 동화 20
존 러스킨 지음, 최지현 옮김, 야센 유셀레프 그림 / 마루벌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욕심 많은 두 형에게 구박받던 막내가 황금강의 왕을 만나고 고운 마음 덕분에 보물의 계곡을 되찾는다는 내용. 이야기의 큰 틀은 옛이야기에 종종 등장하는 구도-삼형제, 세 번의 시험, 권선징악 형의 마무리 등- 를 따르고 있으나 풍경이나 인물의 성격에 대한 묘사에도 무게를 두고 내용 전개도 약간 장황하다는 느낌이 드는 정도로 세부적으로 이끌어 가고 있다. 단어 수준도 조금 높은 편이고 분량도 60여쪽이 넘는터라 독서 연령층은 초등 저학년 정도가 적당할 듯 하다. 

  존 러스킨은 예술, 문화 등 다방면에 조예가 깊은 비평가이자 작가로, 동화작가는 아니지만 그림 형제와 찰스 디킨스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서 이 작품을 썼다고 한다. 야센 기젤레프의 그림은 <피노키오/시공주니어>, <돈키호테/마루벌>에서 접한 적이 있는데, 흑백 혹은 연한 색채를 가미한 부드럽고 섬세한 화풍으로 작품의 고전적인 느낌을 잘 살리고 있다.

 늘 풍년이 드는 보물의 계곡의 주인은 삼 형제로, 인색한 첫째와 둘째는 잔인하고 사악하여 '검은 형제’로 불리는 반면 형들에게 구박받으며 사는 막내는 외모나 성격 면에서 형들과 딴판으로 착한 심성을 지닌 청년이다. 비오는 추운 겨울날, 막내가 집에 들인 이상한 사람을 두 형이 박절하게 쫒아내려 한 사건이 있은 후 보물의 계곡은 피폐해지고, 결국 삼형제는 도시로 떠나게 된다. 막내로부터 강이 황금으로 변하게 되는 방법을 알게 된 형들은 황금을 차지하기 위해 황금강으로 향하고 삼형제는 그 길목에서 물을 간청하는 이들-개, 아이, 노인 등-을 만나게 된다.  

 이 책 뒤표지에는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요"라는 문구가 실려 있다. 이 이야기가 담고 있는 교훈도 그 답 중의 하나가 아닐까 싶다. 물질적인 풍성함도 삶을 풍요롭게 해주겠지만 형들과 달리 생명을 귀중하게 여기는 마음을 지닌 막내처럼 다른 사람을 생각할 줄 아는 마음은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해준다. 황금보다 더 소중한 것. 가진 것은 많지 않지만 나보다 더 어려운 이웃을 도울 수 있음을 기뻐하는 이들에게서 볼 수는 환한 웃음이 지닌 값진 의미를 생각해 보게 된다.

 -  묘사와 설명에 비중을 두어 이야기의 진행 속도가 빠르지 않고 웃음을 주는 요소가 없어서인지 재미 면에서는 조금 떨어지는 듯. 별 넷을 준 아이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낙점. 미색의 고급스러운 내지와 하드커버(양장본)임을 고려하더라도 가격의 부담이 큰 편.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08-27 12: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사랑하는 내 동생 미래그림책 80
샐리 로이드 존스 지음, 수힙 그림, 엄혜숙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 집 막내였던 둘째 아이에게 조만간 동생이 생긴다. 지금은 아기가 얼른 태어나기를 기다리며 빨리 나오라고 재촉을 하고 있긴 한데 실제로 태어난 후에 잘 돌봐 줄지는 아직은 미지수. 얼마 뒤면 막내로 귀여움을 받던 둘째에게도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되었는지라 동생이 생긴 아이의 심리를 담은 그림책에 눈길이 가게 된다. 이 그림책은  자신과 동생을 비교하며 우월감을 나타내던 아이가 점차 동생을 인정하고 애정을 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본문은 여자 아이가 동생에게 말을 하는 형식으로, "아기일 때 말이야, 너는(넌)~ "이라고 시작되는 문구로 아직 다른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는 아무 것도 하지 못하는 동생의 발달 상태나 여러 가지 주변 상황에 대해 이야기한다. (너는 엄마랑 아빠가 옷을 입혀 주어야 했어. 넌 머리카락이 없어서 보기 싫었어. 등등) 그러면서 가끔씩 괄호 안에 동생에 비해 월등한 자신에 대해 한 마디씩 말꼬리를 다는 것으로 -책을 본 우리집 아이의 표현을 빌리자면- '잘난 척~'을 한다. 이처럼 누이는 자신은 할 수 있지만 동생은 하지 못하는 것들을 하나 하나 언급하여 비교하는 것으로 자신이 동생보다 낫다는 것을 인정받고 싶은 심리를 표출하고 있다.

 눈길을 끄는 부분은 아기가 못하는 것들, 무서워하는 것들, 모르는 것, 해서는 안 되는데 저지른 것, 같은 목록을 적은 쪽지들이다. 자기 물건을 동생이 가져갈까봐 적은 목록("네가 가질 수도 없고, 갖고 놀 수도 없는 것)도 있고, 아기가 해도 눈감아 줄 수 있는 것들을 적은 목록도 있다. "아기가 잘하는 것" 같은 목록을 통해 동생의 장점-아기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인정해주기도 한다. 목록글에 별표나 하트표, 느낌표 같은 다양한 기호를 표기 해 놓아서 아기자기한 느낌을 풍긴다. 
    
 아이 입장에서 부모의 사랑을 나누어 가져야 할 존재가 생긴다는 것은 그다지 반가운 일이 아니다. 아무리 귀여운 동생이라도 질시의 감정이나 일말의 반감을 지니기 마련. 아이가 동생에게 적대적인 감정을 표할 때 부모가 무조건 나무라기보다 대화를 통해 아이의 복잡한 심경을 이해하고 아이의 장점-여자 아이가 자신을 내세우는 부분들처럼-을 칭찬해 주며 자신감을 회복하도록 도와 줄 필요가 있다. 동생이 좀 더 큰 후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 이 그림책을 통해 아이들이 동생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사랑하는 가족으로, 애정을 갖고 대할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제까지나 최고로 좋은 내 동생 뜨인돌 그림책 8
데이비드 베드포드 지음, 캐롤라인 페들러 그림, 이상희 옮김 / 뜨인돌어린이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좋아하는 옷을 동생에게 물려주기 아쉬운 형의 마음과 형을 닮고 싶고 뭐든 함께 하고 싶어하는 동생의 심리가 잘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가정에 형제가 있으면 더욱 공감하면서 볼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화풍이나 색감이 부드럽고 어린 곰형제의 귀여운 모습과 예쁜 초록색 스웨터가 눈길을 사로잡는 그림책이다. 특히 표지 그림의 스웨터뿐만 아니라 본문 속의 스웨터 그림에도 보들보들한 스웨터의 감촉을 느낄 수 있도록 해 놓았다. 보드라운 감촉을 느끼는 것이 좋아 그림에서 스웨터가 있는 부분, 실타래 등을 일일이 다 손으로 쓸어 보고야 책장을 넘기게 된다. 

 초록색 줄무늬 스웨터는 큰곰이 아주 좋아하는 옷이지만 날이 갈수록 힘들어진다. 좋아하는 옷은 두고두고 오래 입고 싶은 마음이 드는데 한 해 지나는 동안 몸이 자란(나이 들면 살이 쪄서..ㅡㅜ) 탓에 옷이 작아져 못 입게 되면 그것 자체만으로도 아쉬운 마음이 들게다. 동생에게 물려주자니 자기 것을 빼앗기는 것 같은 서운한 마음이 들어 공연히 동생이 밉게 보이기도 한다. 또한  내 것이라는 생각, 좋아하는 마음이 크다보니 부모의 권유(혹은 강요)로 물려주긴 하여도 그 마음이 금방 사라지기 힘들다. 반면 형의 스웨터를 입고 자신이 형처럼 보일 거라며 좋아하고, 큰곰의 뒤를 따라다니는 작은곰의 모습에서 윗형제가 하는 놀이나 행동을 다 따라하려고 동생의 심리를 읽을 수 있다.

 입기 힘들 만큼 작아진 스웨터를 입고 꼭 맞는다고 하는 큰곰의 모습이나 아직은 큰 스웨터를 입고는 "꼭 맞네!"하고 외치는 작은곰의 모습이 낯설지 않다. 옷에 대해 까다롭지 않은 편은 우리 집 아이들도 유난히 좋아한 옷은 작아져 입지 못하게 되어도 놔두고 싶어 한 적이 있는지라 곰 형제의 마음에 공감이 가는 모양이다. 작은곰이 스웨터를 엉망으로 만든 것이 속상해 혼자 노는 게 좋다고 해버린 큰곰이 나중에 작은곰을 찾아다니는 모습을 보니 티격태격하면서도 곧잘 어울려 노는 두 딸아이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아 슬며시 웃음이 나온다. 

 그림책에서는 곰형제가 서로를 꼭 껴안고 큰 곰은 소리쳐서 미안하다고, 작은 곰은 형 없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며 서로 사과하며 손을 꼭 잡는다. 더할 나위 없이 부러운 모습이지만 솔직히 현실에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모습이 아닐까 싶다. 대게는 부모의 중재 하에 마지못해 화해를 하는 쪽일 텐데 곰형제처럼 다정한 모습으로 화해하는 모습은 모든 부모의 소망일 게다. 형제가 이처럼 우애 있는 모습을 자발적으로 보이는 가정이 실제로 있다면 너무 너무 부러울 듯!  마지막으로 풀린 털실을 말아서 가져 온 형제에게 최고로 멋진 선물을 해주신 엄마에게도 박수를~.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표범 미래그림책 79
재키 모리스 글 그림, 김영선 옮김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눈표범의 얼굴을 지면에 꽉 차게 잡은 표지 그림이 인상적으로 다가오는 이 그림책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소수 민족의 아픔을 그리고 있다. 눈표범은 밀렵으로 인해 수가 많이 줄어들어 멸종의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 희귀동물인 눈표범을 상징적으로 내세워 동물의 모습을 하고 있는, 신성한 땅을 지키는 수호신 머지히칸에 대해 들려주고 있다. 히말라야 산맥을 배경으로 하여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장엄한 자연의 아름다움과 눈표범의 독특한 분위기를 담아낸 그림 하나하나가 기억에 남는 작품이다.

  자연과 그 안에 존재하는 생명을 지키기 위해 홀로 거닐며 노래를 부르는 눈표범은 신성한 땅을 지키는 임무를 지닌 수호신이다. 눈표범이 자신의 뒤를 이를 찾아 나서느라 자리를 비운 사이에 황금과 노예에 눈이 먼 군인들이 비밀의 계곡에 들이닥친다. 지난 3월에 중국에 의해 벌어진 티베트 학살 문제가 큰 이슈가 되기도 하였는데, 불화살을 앞세운 군인들이 들이닥치는 이 장면에서 중국의 침략을 받은 티베트의 아픈 역사의 한 부분이 느껴진다. 눈표범에 의해 군인들이 도망친 후 마을 사람들은 오색 깃발을 앞세우고 돌아오는데, 그 깃발은 티베트 불교에서 안녕과 평화를 빌기 위해 내거는 것이라고 한다. 

  눈표범의 등에 엎드려 평온한 모습으로 웃고 있던 아이는 그의 가르침 속에 세상과 하나 되는 법을 배우고 뒤를 이어 새로운 파수꾼이 된다. 평화로운 세상을 바라보는 눈표범의 그윽한 눈빛, 날렵하면서도 우아한 자태, 눈표범과 아이가 자연과 교감하는 모습, 어린 후계자를 두고 늙은 눈표범이 하늘을 향해 박차고 오르는 장면 등이 긴 여운을 남긴다. 

 눈표범이 비밀의 계곡(히말라야)의 수호자인 점, 후계자를 찾아 대를 이어간다는 점 등에서 티베트의 정신적인 지도자인 딜라이 라마가 연상된다. 그런 맥락으로 본다면 수호자인 눈표범에 의해 군인들이 도망친 후 마을을 되찾는 부분은 티베트인들의 독립에 대한 소망을 표현할 것일 게다. 아이가 책을 볼 때는 이런 부분들에 대해 언급하지는 않았는데 티베트의 역사에 관해 좀 더 알아본 후에 이야기를 나누어 볼까 한다. 이 작품은 어른들에게 더 인상 깊게 다가올 그림책이 아닐까 싶다.

눈표범 :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04n0754a
http://100.naver.com/100.nhn?docid=40423

티베트의 역사: http://www.tibethousekorea.com/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나무집 2008-07-21 11: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참 좋게 읽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