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팽의 미소 - 에드거 앨런 포 단편전집 3 미스터리
에드거 앨런 포 지음, 홍성영 옮김 / 하늘연못 / 1999년 12월
평점 :
절판


애드거 앨런 포의 <모르그가의 살인 사건>이라는 작품을 제대로 번역한 책을 읽고 싶다는 열망 하나로 산 책이다. 최초의 추리소설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는 작품!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나로서는 그런 작품을 읽는다는 것 자체가 영광이다. 물론 예전에 한 십 년도 더 전에 읽은 적이 있는 작품이긴 하지만 말이다.

하지만 뒤팽이 나오는 작품이 무척 적어 실망했다. <모르그가의 살인 사건>, <마리 로제 미스터리>, <도둑 맞은 편지> 이렇게 3 작품밖에 안 된다. 그 중에 가장 괜찮은 작품은 <도둑 맞은 작품>이다. <모르그가의 살인 사건>은 내용 면에서 그렇게 좋은 추리소설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이다. 오히려 뒤팽이 나오지 않은 작품 중에 좋은 작품이 있다. 특히 <범인은 너다>가 인상적이다. 최초는 최초라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없는 작품이다. 최초에 대단한 작품성을 구한다는 것 자체가 욕심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8-12-20 22:3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모르그가의 살인사건에 대한 감상은 독자마다 다르겠지만, 최초로 논리적인 추리를 본격적으로 보여준 소설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뒤팽 시리즈의 영향으로 명탐정 셜록 홈즈 시리즈도 나오게 된 것이니까요.
 
멋지다!! 마사루 1 - 마사루와 멋진 녀석들
우스타 쿄스케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0년 5월
평점 :
절판


이 작품처럼 극명한 대비를 이루는 작품도 없을 것이다. 좋아하는 사람들은 아주 광적으로 열광을 하고 싫어하는 사람들은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나로 말하면 후자에 속한다. 하지만 내 동생은 전자에 속한다.

이 작품을 읽기 전에 동생이 보이던 변태적인(?) 행동들이 이 작품을 보면서 이해가 되었다. 그 동작들이 이 작품 속에 모두 있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그래도 괜찮았다. 뭐 이 정도야... 하면서 봤는데 갈수록 가관이다.

<멋지다, 마사루>? 하, 기가 막혀서 기절을 할 지경이다. 격투기 대회에서의 그 엽기적인 모습들과 행동들이라니, 거기다가 외계인의 출현까지... 진짜 엽기의 진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엽기를 좋아하는 요즘 아이들에게는 기호에 딱 맞을 만한 작품인 것 같다. 뭐, 웃자고 만든 작품이고 웃어 주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으로 족한 거겠지. 더 이상 사족을 붙이지는 않겠다. 어쨌든 내 취향은 아니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배가본드 1
이노우에 다케히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0년 5월
평점 :
절판


일본의 전설적인 사무라이 미야모토 무사시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이다. 나는 사무라이 미야모토 무사시에게는 아무런 관심도 없다. 단지 이 작품을 그린 작가가 그 유명한 이노우에 다케히코라는데 관심이 있을 뿐이다. 첫 장면을 봤을 때 아, 강백호가 사무라이가 되었네... 하는 생각을 했다. 역시 그림은 변함없이 슬램덩크였다. 하지만 그 살아 숨쉬는 듯한 모습은 더욱 한 단계 발전한 모습 같았다. 역시 기대한 만큼 대단한 작가다. 하지만 작품 내용은 그다지 공감이 가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런 내용은 별 관심이 없으니까. 하지만 생각을 했다.

우리 나라에도 이런 일대기를 그릴 만한 역사적 인물이 많을 텐데 왜 우리 나라 작가들은 이런 작품을 그리지 않는 것일까. 그건 만화를 읽은 사람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할 만한 제임스 딘 류의 인물이 없기 때문은 아닐까. 하지만 찾아보면 있을 텐데... 아니면 아직 우리 나라 작가들의 공력이 부족한 것일까...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리 포터와 불의 잔 1 (무선) 해리 포터 시리즈
조앤 K. 롤링 지음, 최인자 옮김 / 문학수첩 / 200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해리 포터는 4학년에 올라가기 직전 여름방학에 이상한 꿈을 꾼다. 그 꿈은 볼드모트의 음모에 대한 꿈이었다. 그런데 월드 퀴디치 시합이 끝나자 죽음을 먹는 사람들이라는 예전의 볼드모트 추종자들이 나타난다. 그리고 학교에서는 퀴디치 시합을 하지 않고 트리위저드 시합을 하기로 한다. 학교 대항의... 불의 잔?

그것은 트리위저드 시합의 챔피언 뽑는 잔이었다. 그 불의 잔의 어떤 잘못으로 해리 포터가 챔피언이 되어 시합을 하게 된다. 아직 꼬마에 불과한데 말이다. 하지만 결국 해리는 챔피언 트로피에 다가가게 되고 불행하게도 케드릭 디고리와 함께 트로피를 잡는다. 그 순간 트로피는 포트키가 되어 볼드모트가 있는 곳으로 그들을 데려가고 케드릭은 볼드모트에 의해 죽는다. 해리는 볼드모트를 회생시키는데 일조 하게 되고 처음으로 인간의 모습을 한 볼드모트를 대적하게 된다. 드디어 볼드모트와 해리의 싸움이 시작된 것이다... 벌써 다음 편이 기대된다. 내년을 기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집 1
야마모토 오사무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1997년 10월
평점 :
품절


아이가 자폐아? 발달 장애아라고 부른다. 이 경우인 부모는 자식을 이해하기 어렵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도 물론 그렇다. 하지만 아이는 나름대로 세상을 이해하고 세상 속에서 살아가려 애쓴다. 그것을 우리가 이해하지 못할 뿐이지.

아이가 태어났을 때 부모는 정상적인 아이를 원한다. 하지만 가끔은 정상적이지 못한 아이도 있다. 신체 장애를 갖고 태어나기도 하고 발달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기도 한다. 또 정상적으로 태어나도 살면서 사고를 당하기도 한다, 이럴 때 아이들은 쉽게 세상과 어울리지 못한다. 그 부모도 마찬가지다.

이 작품은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사회, 나라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지 알려주는 아주 소중한 작품이다. 이 작품이 일본에서 발표되었을 때 센세이션을 일으켰다고 한다. 장애아에 대해 바른 시각을 갖게 하는 작품이다. 그리고 비장애인인 사람들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지 생각하게 한다. 왜냐하면 우리 모두는 모두 잠재적 장애인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 작품을 읽고 모두 다시 한번 생각하는 계기를 가졌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