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트라베이스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유혜자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작품을 읽으면 언제나 감탄하게 된다. 그저 담담하고 조용하게 누군가 친한 사람에게 말하듯이 써 내려가는 그의 글은 쉬우면서도 철학적이다. 가끔 그가 천재라는 생각을 할 때도 있다. 천재가 아니라면 이런 글을 쓸수 없을 테니까. 단순하면서도 심오하고 편안하면서도 가슴에 와 닿는 것을 말이다. 국립관현악단 콘트라베이스 주자의 고뇌를 담담하게 독백하는 모노 드라마다. 콘트라베니스에 대한 이야기.

어떻게 만들어졌고 모양은 왜 그렇게 추하게 되었으며 콘트라베이스만을 위한 작품이 없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전혀 알려지지 않은 작곡자들의 곡이라는 불만과 유명한 작곡자, 모차르트, 바그너에 대한 혹평, 사랑하는 소프라노 세라에 대한 갈망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하고 싶지 않고 폼 나지 않은 콘트라베이스 연주를 과감하게 그만두지 못하는 소시민의 갈등이 공감대를 형성한다. 콘트라베이스라는 악기 하나가 이런 좋은 작품의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

콘트라베이스는 폼 나거나 주목받는 악기가 아니다. 크기는 바이올린이나 첼로보다 크지만 그런 악기보다 주목받지 못하고 바이올리니스트나 첼리스트보다 못한 대우를 받는다. 그들은 연주자로서가 아닌 관현악단의 구색 맞추기의 일원일 뿐이다. 작품의 주인공은 이런 현실을 작품 속에서 푸념한다.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과 그 사실을 인정받지 못해 고뇌하고 그러면서도 어쩔 수 없이 이 일을 계속해야 하는 자신에 대한 혐오감마저 깃들여 있다.

이것은 단순한 콘트라베이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현대인의 고뇌를 콘트라베이스라는 악기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작품을 읽어보면 자신의 이야기라고 느낄 것이다. 자신이 보 잘 것 없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일이 좀 더 대우받지 못하는 데 속상해 하면서도 그 일을 계속하는 자신에게 날마다 실망하며 살아가는 자신을 느낄 수 있다. <비둘기>와 마찬가지로 사회의 소시민의 심리를 잘 표현한 작가만의 아주 독특한 작품이다. 읽으면 읽을수록 매료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엘리베이터에 낀 그 남자는 어떻게 되었나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의 작품은 독특하다. 한편 한편이 드라마 같은 느낌을 준다. 그 단편 속의 주인공들은 평범하지만 그만큼 독특하다. 소재 또한, 흡혈귀라든가, 벼락을 맞으러 다니는 사람이라든가 하는 식으로 독특하다. 그 속에서 나는 자신을 본다. 내 이야기이기도 하고 내 이웃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인생이 별거냐, 다 그런 거지... 꼭 사기 친 사람이 사기 당한 사람한테 야, 사는 게 다 그렇지 뭐... 라고 말하는 것 같기도 하고 사랑이라든지, 꿈이라든지, 인생의 많은 화두들이 부질없는 뜬구름처럼 느껴지게 하기도 한다. 허무함이라기 보다는 그저 이런 인생도 있고 저런 인생도 있는 거지 뭐... 하는 식의 인생 늘어놓기 같다. 재미있다. 사실적이다. 어떤 기교도 없다. 신선하다. 이만교와 더불어 내가 즐겨 있는 단 한 명의 작가다. 이 작가에게 우리 문학의 미래를 기대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얀전쟁 제1부 - 전쟁과 도시
안정효 지음 / 고려원(고려원미디어) / 199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라크 전쟁을 보면서 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전쟁의 상처로 아파할지 걱정되었고 그때 문득 생각난 작품이 이 작품이었다. 누군가는 미치기도 하고, 사회에 그렇게 파묻히기도 하며 살지만 한번 상처입은 영혼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치유하기 힘드는 모양이다. 그래서 누구는 옳다고 말을 하기도 하고 누구는 그르다고 말을 하기도 하고, 누구는 외면하기도 하고 누구는 다시 싸우는 것이다. 죽음로밖에 치유할 수 없는 기억의 파편들... 아무도 모르고 보이지도 않는 어둠속의 외로움... 우리가 껴안지 못하는 한, 어떤 형태로든 자국을 남긴다. 한기주의 죽음이 한 개인의 정신병에서 오는 죽음으로 치부해버리고 외면한다면 산다는 것은 죽음과 결코 다르지 않은 것이다. 우리는 죽은 사회, 죽음속의 세상에 사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잃어버린 지평선 해문 세계추리걸작선 10
제임스 힐튼 지음, 이가형 옮김 / 해문출판사 / 2001년 11월
평점 :
절판


상그릴라... 이 한 단어 때문에, 이 작품 티벳이 한동안 쑥대밭이 되었었다고 하니 서구에서 이 작품에 대한 반응과 평가는 지금도 대단한 모양이다. 이 작품을 읽지는 않아도 상그릴라는 아는 사람들이 많으니까. 또 다른 이름의 유토피아, 이상향... 상그릴라... 하지만 진짜 그럴까.

나는 이 작품이 얼마나 동양인에 대한 멸시와 몰상식을 풍기고 있는지 읽는 동안 화가 나서 혼이 났다. 이것은 뒤집어 말하면 동양 속의 유토피아마저 서양인이 지배하겠다는 속셈을 나타낸 작품이다. 이 작품의 배경이 무엇인가. 영국의 인도 지배에 대한 항거로 영국인을 포함한 서구인들이 인도를 도망 나오면서 발생한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그릴라에 중국인이 있다지만 어디까지나 수장은 서구인이고 있는 승려 대부분이 서구인이다. 그들에 의해 점령당한 유토피아이고 그들은 티벳인들을 실질적으로 지배한다. 유토피아내에서도 이런 계급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곳이 진정한 유토피아란 말인가. 오래만 살 수 있으면 그곳이 유토피아란 발상도 기가 차다. 이 작품은 여전히 서양인에 의한, 서양인의 동양인을 지배하는 것이 유토피아라고 말하는 그런 작품이다. 정말 기분 나쁜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잃어버린 거리
파트릭 모디아노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199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남자의 과거에 대한 회상에 대한 이야기다. 이 작품의 주인공은 과거의 장 데커였지만 지금은 앰브로즈 가이즈이지만 내가 주목한 인물은 텡텡이다. 20년 전 자신의 영웅이자 친구이자 고용주였던 영화배우에 대한 추억으로 그가 죽은 지금도 그가 살아 있다고 생각하며 밤마다 그가 몬다고 생각하는 자동차를 쫓아 파리의 밤거리를 돌아다니는 인물이다. 그의 과거에 대한 집착은 실패한 인생에 대한 보상이자 현실도피일 것이다.

그렇다면 앰브로즈 가이즈의 과거의 흔적 찾기는 어떤 의미일까... 그것은 과거와의 화해가 아닐까... 그 시절의 사랑과 친구들의 방황과 그들의 충고와 살인 용의자로 몰려 파리를 떠나게 된 것까지 지금에 대한 토대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무시하지 않고 인정한 뒤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아니 미래로 떠나는 인생에 대한 한 토막 정리를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역시 파트릭 모디아노의 작품을 읽게 되면 인생을, 지금에서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된다. 요즘 딱 어울리는 작품이 아닐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