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Frank Lloyd Wright)
1867 - 1959
: "거장" 이라는 수식어가 낯설지 않은 현대 건축의 대가 중에 한명.
인간이 지은 인공적인 건축물이 자연의 흐름에 녹아드는 어울림을 중시하는 건축주의자.
대표작 : 구겐하임미술관, 필링워터(낙수장), 제국호텔...등등.

김중업(金重業)
1922~1988
: 대한민국 1세대 건축가의 한 획을 그으신 인물.
현대건축의 거장
"르 꼬르뷔지에"의 직계 제자.
같은 위치에 있는 또 다른 건축인 김수근씨와는 다르게 권력(?)의 힘을 실지 않은 건축주의자.
대표작 : 주한 프랑스 대사관, 서강대학 본관, 제주대 본관, 올림픽 공원에 위치한 평화의 문 등등..
이 페이퍼에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 건 라이트의 건축물 제국호텔과 김중업선생의 구 제주대 본관이다.

라이트의 일본제국호텔은 1922년에 완공된 건물이다. 1년 후 동경 대지진에서도 살아남은 견고하고
아름다운 라이트의 작품중에 하나이다. 30여년전 이건물은 원래의 위치에서 해체되어 나고야에 다시
지어졌다. 호텔로서의 역활은 마감한 건축물이지만 그의 건축물은 현재를 살고 있는 사람들이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한다.

김중업선생이 설계한 제주대 본관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건물이 낡았다는 이유로 철거 후 새로운 건물을 지어졌기 때문. 물론 라이트의 위치와 김중업선생의
위치를 비교한다는 건 개개인의 생각에 따라 레벨과 건축에 끼친 영향등등.. 평가가 엇갈리겠으나 분명
김중업선생의 위치는 적어도 대한민국에서 라이트와 동격으로 봐도 무방하리라 생각된다.
건축물을 생각하는 인식의 차이. 건축물이 예술로 대접받지 못하는 현실. 이미 철거되버린 독특한 모양의
제주대 본관 건물과 라이트의 일본제국호텔의 위상은 그들의 작품을 보존하고 유지하는 자들의 몫이 아닐까 싶다.
뱀꼬리 : 김중업 선생의 또다른 건축물 "소라의 성"은 아직 살아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