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記錄 160919
≪대한민국 무력정치사≫ 서평 별점 ; ★★★☆ 도서관 대출
외국인이 보는 한국의 무력정치사(-사회폭력사)는 어떠할까? 또한 막연한 개인적 판단이 아닌 형식을 갖춘 연구의 관점에 볼 때, 내가 책을 포함한 인쇄 매체나 TV 영화를 포함한 대중 매체를 통해 알게 된 한국 무력정치-사회폭력사와는 어떻게 다를까?
내가 알고 있던 바와 다른 것이 없다.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 속담이 어떻게 성립하는지 궁금했다. 법이 효율적이라면 주먹에 의지하지 않을 텐데. 아래 글은 내 궁금증을 설명하는 글이나 이것이 연역적으로 추론된 것인지, 귀납적으로 추론된 것인지 잘 모르겠다.
p34 그는 [본디] 지하 세계의 몫이지만 범죄가 [국가로] 중앙화되면 [혹은 국가가 범죄를 관리하게 될 경우에는] 간과되는 비용 (예컨대 갈등 조정 비용)의 대부분을 마피아가 흡수한다.고 주장한다. ... 그의 모델에는 범죄는 결코 완벽히 근절될 수 없다는, 또 조직범죄의 대안이 비조직적 범죄라면 전자의 이익이 후자보다 클 것이라는 가정이 내포되어 있다. ... 나의 현장 연구 결과는 대체로 조정이라는 셸링의 틀에 꼭 들어맞는다.
* 밑줄 긋기
p22 일반화 가능성이 있는 연구 결과들은 내가 이 연구서에서 제시하는 주요 주장이기도 하다. ... 비국가 강제력 전문 집단에게 폭력을 하청하는 것이 합리적(정확히 말하자면 학습된 적응 행위)일 뿐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이득이 되는 조건이 있다. 다른 환경의 하청과 마찬가지로 국가 행위자들은 능력 논리와 규범적 틀 아래 이 ‘시장’ 해결책을 이용한다.
p28 [그림 1] 정당성 vs 부당성 x 중앙화 vs 분권화
p29 민간 무력의 합법적 시장과 불법적 시장이 교차하는 게 보인다. 합법 기업이 불법 행위에 관여하는 예는 셀 수 없이 많고, 그 반대로 불법 기업이 합법적 시장에 보호 업무를 판매하는 예들도 있다.
p34 그는 [본디] 지하 세계의 몫이지만 범죄가 [국가로] 중앙화되면 [혹은 국가가 범죄를 관리하게 될 경우에는] 간과되는 비용 (예컨대 갈등 조정 비용)의 대부분을 마피아가 흡수한다.고 주장한다. ... 그의 모델에는 범죄는 결코 완벽히 근절될 수 없다는, 또 조직범죄의 대안이 비조직적 범죄라면 전자의 이익이 후자보다 클 것이라는 가정이 내포되어 있다. ... 나의 현장 연구 결과는 대체로 조정이라는 셸링의 틀에 꼭 들어맞는다.
p34 예산 부족, 비대칭 정보, 다양한 범죄 유형, 경찰력을 늘릴수록 외래 줄어드는 효율성, 민주화 이후 용인되는 무력의 양에 대한 제도적·사회적 제약과 관련한 이유들로 경찰 및 기타 국가 행위자는 흔히 범죄 조직원과 협력한다.
p39 [표 1] 국가 강도 저능력 vs 고능력 x 저자율성 vs 고자율성
p67 [그림 2] 정치인, 사업체, 폭력사업가, 검찰/경찰
p89 의심할 여지도 없이 이승만은 계속 전제적인, 때로는 잔혹한 통치 방식을 이용했고, 전후 남한 정치의 경쟁을 조금씩 증가시키는 조건들을 고려할 때 더욱 그런 경향을 보였다.
p93 정치 깡패, 민족주의자, 불법 무장 단체, 국가 행위자 사이 협력의 시대는 이승만 이후 시기에도 규모가 훨씬 작아지긴 했지만 각기 다른 수준으로 계속됐다.
p96 1971년, 고능력과 고자율성을 성취하자 박정희는 국가와 비국가의 협력 관계를 사실상 깨트렸다. 이 관계는 단절된 상태였다가 전두환 시기 노동 시위 억압과 겅제 철거 부문에서 다시 시작했다./p97 무력 시장에서 국가와 비국가가 다시 협력하게 됐다는 것은 국가가 값싼 노동력과 재개발이라는 공공재 (증가하는 중산층이 요구한 재화)를 공급할 필요가 있었고, 동시에 바로 그 재화를 공급하는 데 필요한 강제력을 사용하는 일에서 일어날 사회 세력으로부터의 처벌을 (그리고 국제적 비난을) 편하게 피하려 했다는 것이다.
p102 그러나 1972년 유신헌법을 통과시킴으로써 박정희는 철저한 권위주의로 이행했다./여기서 자연히 떠오르는 질문이 있다. 왜 박정희는 독재로 회귀했을까?
p104 ‘민주주의의 씨앗’은 박정희 정권의 억압적 환경에서 심어졌고, 이 씨앗은 결국 싹을 틔우고 자라서 다양한 영역의 사회집단들을 자극해 민주주의를 향한 집단적 압력을 행사하게 했다.
p107 전두환의 억압은 박정희 정권(1961~1979) 때보다 훨씬 심했다./p108 전두환은 권력을 유지하는 데 폭력을 쓰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p113 또한 구해근은 한국의 시민사회가 역사가 짧고, 제도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발전되지 못했으며, 늘 국가 권력에 맹렬히 저항하는 특성과 폭력적으로 분출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한다.
p142 우리는 그런 사업의 건설, 계획, 재정 조달이 민영화되었을 뿐 아니라 그것의 강제적 양상도 심화되었음을 떠올려야 한다. 강제 철거를 민영화함으로써 국가는 (순전히 협박과 폭력으로) 재개발업자, 세입자와 소유주, 그리고 강제로 내쫓기는 이들 사이에 갈등을 효과적으로 만들어냈다.
p142 여전히 이 질문은 남아 있다. 왜 사회는 그런 폭력적 관행을 ‘허용’하는 국가를 처벌하지 않는가?/p143 이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시민사회, 더 중요하게는 중산층은 대개 양가적인 태도를 취한다.
p151 권위주의 시기에 중산층은 초기의 노동운동을 지지했다. 그러나 노동운동이 점점 더 투쟁적이 되고 노동쟁의도 증가하면서 둘은 분열됐다. 민주적 선거 획득이 대개 중산층을 달랬지만 정권의 선언에는 노동이라는 사회경제적 관심사는 포함되지 않았다.
p167 국가 추구자와 국가 행위자 들은 강제력의 우위를 얻는 데 도움이 되는 모든 세력을, 그것이 범죄 세력이든 다른 세력이든 상관없이, 동원했다는 것이다.
p169 국가 행위자의 폭력은 중산층 행위자들이 국가에 맞서게 될 만큼 상징적인 유의성을 지닌다. 국가는 결국 그런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늘어나는 것을 피하고자 강제력을 행사할 비국가 행위자들의 협력을 구한다. 요컨대 중산층 동원의 잠재성은 국가가 범죄적 무력 시장에서 민간 행위자와 협력하게 압박하는 바로 그 기제다.
p183 이런 공생으로 인해 생기는 특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정당한 폭력 사용과 부당한 폭력 사용 사이의 경계들이 흐릿해진다는 점이며, 둘째는 이러한 관계를 활용해 정치 행위자들이 국가 권위에 대한 민주적 확인[절차]를 피할 수 있다는 점이다.
p184 나는 폭력 사용에 대한 국가의 독점이 [국가의] 의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