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身邊雜記 161010

- 반려식물 3 ; 죽희 竹姬

 

죽희네는 3명이 있는데, 관음죽, 개음죽, 연화죽이 있다. 이들 중 고유명사를 가지고 있는 아이는 관음죽만 가지고 있다. 이름은 졸복 節福이다. 절개를 뜻하는 절이 모음조화를 거쳐, 졸이 되고, 박쥐 모양을 가진 한자 복이 합쳐진 이름이다.

 

졸복이는 아이가 태어난 것을 축하하면서 우리 집에 입양되었다.

 

* 외떡잎 나무

http://blog.aladin.co.kr/maripkahn/6962343

대나무는 줄기가 목질화를 겪는다고 하며 풀과 나무의 중간이라는 글도 있다. 목질화를 거치고 여러해살이기 때문에 수목학자들은 나무라 분류하고, 형성층이 없어 부피생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식물학자들은 풀이라 분류하고 있다고 한다.

 

윤선도의 오우가 오우가에서 대나무에 관한 시조는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라고 시작한다. 나는 초본 식물에 속하는 대나무가 나무라는 이름을 가졌기 때문에 이와 같은 시조가 나왔다고 생각했다. 인터넷에 검색을 하면 대나무는 풀로 분류한다는 네티즌의 글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식물학자 분류법.)

 

초본식물의 특징을 더 많이 가지고 있어 초본식물에 가깝다고 할 수 있지만, 목본식물의 특징인 목질화와 지상에서의 생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언어와 생물학의 이중성이 아니라 식물학 내에서의 이중성이다. (그에 비하면 어린이 동화에 나오는 박쥐의 이중성은 이중성이라고 하기도 민망하다.)

 

나는 스스로를 (환영받지 못하는) 회색인에 비유할 때가 있는 대나무는 (학자들에게 환영받기는 하지만,) 풀과 나무의 회색식물로 존재한다. (내가 알고 있는 바에 의하면 유일무이하다.)

 

죽림칠현이 죽림에 거주하게 된 이유가 대나무의 이중성과 무관하겠지만, 결과적으로 도인 道人과 속물 俗物의 이중성으로 나타내는 장소로 제격이다. 내 서재 배경도 대나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Reading Note 161009

 

≪Bug Out!≫ stars ; ★★★ Library book

 

≪경계≫ - 배제된 생명들의 작은 승리 p49 인간이나 짐승, 물고기나 조개 따위를 제외한 작은 동물을 우리는 벌레라고 한다. 지렁이 같은 환형동물, 노래기나 지네 같은 다지류, 곤총의 애벌레, 바퀴벌레 같은 역사 깊은 곤충, 민달팽이 같은 연체동물 등 크기가 좀 작고 여러 개의 다리나 몸통으로 기어가는 동물을 통틀어 벌레라고 부르는 것이다.

 

bug ; [명사] (특히 美) 벌레, 작은 곤충

insect ; [명사] 곤충 ; 곤충은 한자로 된 학술용어이고 우리는 대개 벌레라고 부른다.

worm ; [명사] (땅 속에 사는) 벌레/기생충/애벌레

(larva ; [명사] 유충/애벌레)

 

* 뱀발) blue ; [형용사] 파란, 푸른

green ; [형용사] 녹색[초록빛]의, 파란/(초목이 우거져) 파란[푸른] ; 녹색, 초록은 한자어이고 우리말은 파란, 푸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身邊雜記 161008

- 2016년 새해 결심

 

알라딘 서재를 운영하면서 언제부터 새해 결심을 포스팅했었다. 한번 공개를 시작한 후 계속해 왔는데, 공개를 한 것이 새해 결심을 이룰 확률이 높인다는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금연을 할 때, 여러 사람에게 공개하는 것이 성공 확률을 높이는 것과 같은 이치일 것이다.

 

올해 2016년에는 새해 결심을 알라딘에 공개하지 않았는데, 새해 결심을 한 시기가 3월을 넘겼던 것도 있고, 실패할 확률도 매우 높았기 때문에 잠재의식은 공개를 피했던 같다.

 

* 2016년 결심 ; 아치 Arch 자세 (Urdhva Dhanurasana)

 

- 딸 아이의 시범

 

그 동안 딸아이의 ‘그렇게 해서 연말까지 성공하겠냐’는 빈정거림과 코치를 받으면서 연습을 했는데, 드디어 머리가 땅에서 이륙했다.

 

- 내 자세

 

한 1 cm 정도 5초간. 새해 결심이 성공도 아니고 실패도 아닌 회색지대에 들어갔다. 연말까지 8cm 정도 30초를 목표로!

 

뱀발) 이륙한 시간이 짧아 딸아기가 찍어준 사진이 이륙을 정확히 포착했는지는 장담 못함.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16-10-08 08: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옷!!!
저 자세 저건 정말......
힘든 자세던데요?
8cm까지????
저는 며칠전 요가에서 저렇게 비슷한 자세를 하라고 하더라구요
활화산 자세라고 했는지 잘 기억은 안나던데 여튼 뒤로 몸을 꺾다가 허리 끊어지는줄 알았네요ㅜㅜ
마립간님은 유연하신 듯합니다 조금만 더 노력하신다면^^

근데 따님의 자세는 정말 완벽하군요 따님이 보고 빈정거릴만 하겠어요^^
우리집에서도 딸들이 늘 엄마 아빠 몸은 왜그리 굳었느냐고 잔소리 엄청 합니다만ㅜㅜ
따님이랑 같이 스트레칭 하면 따님 무척 신나하겠어요^^

마립간 2016-10-08 10:57   좋아요 0 | URL
체육과 관련된 근력, 조정력, 유연성, 순발력 모두 평균이하 정도가 아니라 바닥입니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하교 졸업 때까지 체육 못하기로 전교에서 유명했습니다. (초등학교 시절은 여자보다 못하기도 했고.)

그런데 신기한 것은 고등학교 신체 능력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습니다. 중학교 100m 가 15s, 고등학교 때가 14.5s 였는데, 30대 중반에서도 14.5s, 40대 중반에도 15s를 넘지 않았습니다.

내년이 신체 노화에서 변곡점을 있는 나이인데, 올해 체력장 5종목을 친구들과 측정하기로 했는데, 스케줄 잡기가 어렵네요.

겨울호랑이 2016-10-08 0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남자들은 몸이 뻣뻣한데 쉽지 않은 연습중이시네요. ㅋ 화이팅!입니다.

마립간 2016-10-08 10:59   좋아요 1 | URL
저 자세 멋모르고 시작한 자세죠. 요가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데, 시작할 때 몰랐습니다.

새해 결심을 이루지 못했다고 해서 우리집이 파산하는 것도 아니고, 불법 사항도 아니고 해서 그냥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이 연습 도와주다가 시작했는데, 하는데 까지 하는 겁니다.^^ 격려 감사합니다.

cyrus 2016-10-08 2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사진만 봐도 제 허리가 아파오는 것 같습니다. 몸이 유연한 사람들은 허리 꺾기는 아무 일도 아니죠. ㅎㅎㅎ

마립간 2016-10-09 16:07   좋아요 0 | URL
사진만 봐서도 아플 정도라도 ... 먼 훗날에는 오히려 허리가 덜 아프지 않을까 해서 시작했습니다.

아프지 않을 정도까지만 하면 되지요.^^
 

 

친일파의 한국 현대사

-擧世皆濁 吾亦不免

 

이 글에서 묘사하는 인물들은 실제로 내가 경험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사실적 묘사는 하지 않는다. 나는 성인이 되기 전에 누가 친일을 한단 말인가, 어떻게 친일을 할 수 있단 말인가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성인이 되어 사회생활을 하다 보니 이런 사람이 친일 이외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고 생각했다.

 

어느A ; 이 사람은 우리나라가 정직하지 못해서 나라꼴이 이 모양이라고 사람들을 비판한다. 이런 비판을 한지 10 초도 (어쩌면 10초보다 조금 더 지난 정도였는지 모르겠다.) 안 되어 자신의 경제적으로 이익을 위해 사업에 관해 어떻게 편법을 쓸지 이야기한다. 이 사람은 (불법 사실이 걸릴 확률도 적고, 관례에 따라 많은 사람이 행하고 있기도 하고, 설령 걸렸다고 해도 처벌을) 감내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불법을 어떻게 할까까지도 이야기한다. 이런 편법, 불법 사실을 지적하면 불같이 화를 내면서 상대의 티끌마저도 언급하면서 상대를 부도덕한 사람으로 몰아세운다. 나는 이 사람을 보면서 지금이 일제 식민지가 아닌 것을 천만다행으로 생각했다. 내가 보기에는 이 사람은 일제 식민지에서 100% 친일을 했다고 판단했다.

 

어느B ; 행동을 결절할 때 항상 대세 순응을 이야기한다. 편법이든, 불법이든, 부도덕한 사항이든, 대다수 만약 50%를 넘는, 혹은 80~90%가 넘는다면 처벌을 포함하여 비난을 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야기 끝에 만약 일제 식민지라면 어떻게 행동할 것이냐는 나의 질문에 자신은 아마 친일을 했을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 사실 이 사람은 순진한 사람이다. 전정으로 그리 생각했어도 친일을 했을 것 같다고 발설한 사람은 유일무이하다. 성격으로 보아 적극적 친일은 아니되, 소극적 친일을 할 것이다. 말을 바꾸면 주어진 업무에 충실한 사람이다. 나는 이 사람을 비난할 수 없었다. 단지 솔직할 뿐이다. 지금도 독재에 부역하는 사람, 재벌에 부역하는 사람, 정권의 부도덕한 행동에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사람에 비한다면, 그냥 현행범도 아닌 잠재적 행위자이기 때문이다.

 

나는 앞선 독후감에서 내 주장은 나라를 팔아먹으라고 협박을 해도 목숨을 걸고 응하지 말았어야 했다. 그렇게 저항하다가 죽임을 당한다면 ... 죽어야지.라고 초등학교 시절에 생각했었다고 말했다.

 

* 讀書記錄 161006 친일파의

http://blog.aladin.co.kr/maripkahn/8813696

 

이 책에서 p72 모든 지식인들에게 지조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치라고 강요할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 나는 오히려 목숨을 유지하면서 지조를 지키는 것이 가능했을까라고 반문한다.

 

나는 지금 성인이 되어서도 지조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버릴 각오가 있나. 만약 그런 각오가 없다면 위에 언급한 어느A, 어느B와 나와 다른 점이 무엇인가, 그들을 비판할 자격이 있는가?

 

어느C ; 평소에 A 정당을 비판했다. 그런데 국회의원 투표에서 A 정당 후보에게 투표했다. A후보가 공약이 그 지역에 유익하고, 그 지역의 유익함은 그 자신에게 유익하기 때문이다.

 

어느C씨는, 어느A나 어느B와 다를까?

 

擧世皆濁 吾亦不免

 

뱀발 1) 어느A 씨는 (적절한 용어인지 모르겠으나) 페미니즘적 (그 남자는 왜 이상해졌을까?의 주장과 같은) 주장을 한다. 그러나 나는 어느A가 여성을 존중한다고 생각지 않는다. 통제한다고 생각한다.

 

뱀발 2) 생각나는 대로 A, B, C 세 사람을 골랐지만, 곰곰이 생각하면서 Z까지 이어질 것 같다. 지극히 개인적 경험이니 일반화는 이글을 읽는 분 각자의 경험과 판단에 맡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10-07 08: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아침 CBS뉴스쇼에서 지난 정부까지도 민간에서 해외 독립유적 조사사업을 지원했는데 이번 정부에 들어서 끊어 버렸다더군요...물론 박정희 기념 사업에는 천문학적인 돈을 들이고 있다는 뉴스도 동시에 나옵니다.ㄷㄷㄷ

마립간 2016-10-07 10:30   좋아요 1 | URL
저는 가끔 이 사회가 굴러간다는 자체가 신기하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yureka01 2016-10-07 1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마립간님..망국적인 증상이 심각한데..안 망하는 거 보믄 신기하거든요..아이고..
 

 

* 讀書記錄 161006

 

친일파의 한국 현대사 서평 별점 ; ★★★★ 도서관 대출

 

내가 초등학교 시절 어머니와 일제 식민지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다. 아마 이야기의 시작이 을사오적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했을 것이다. 내 주장은 나라를 팔아먹으라고 협박을 해도 목숨을 걸고 응하지 말았어야 했다. 그렇게 저항하다가 죽임을 당한다면 ... 죽어야지. 어머니께서는 몇 사람이 그렇게 죽어도 다른 사람이 그 일을 맡을 테고, 그 사람이 나라를 팔았을 것이라고 하셨다. 나는 그 일을 맡는 사람이 또 다시 협박을 당한다면, 그 사람이 역시 죽어야지. 우리 민족 모두가 한 사람도 남김 없지 죽을 때까지. 어머니께서는 빙그레 웃으시면서 세상 일이 그렇게 네 생각과 같지 않아라고만 하셨고 이야기는 중단되었다.

 

아마 우리나라가 일제 식민지라는 역사를 겪지 않았다면, 나는 철학에 대해 흥미를 가지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한일 합방을 겪지 않게 할 철학, 논리, 이론은 무엇인가, 꽤 궁금했었다. 또 다른 감정, 놀라움은 생각 외로 변절자가 많았다는 것이다. 아마 내 가치관으로 플라톤-노자주의’, ‘디오게네스-양주주의’, 다음으로 아리스토텔레스-장자주의를 위치시킨 것의 한 가지 이유이기도 하다.

 

뱀발 ; 나는 페미니즘이 철학의 사상 寫像이라고 생각한다. ‘일제 식민지 친일 논쟁역시 철학의 사상이다.

 

* 밑줄 긋기

p44 그러나 결론부터 말해 윤치호는 조선(한국)의 잠재역량을 지나치게 과소평가한 데다 식민지라는 상황논리에 빠지 나머지 결국 일제와 타협하고 말았다.

p45 대세순응주의

p51 (일제하) 조선인은 좋든지 싫든지 일본인이었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일본 속국의 상태에서 그가 한 일로 누군가를 비난한다는 것은 이치에 맞질 않습니다.

p59 예술을 위한 친일인가, 친일을 위한 예술인가/p60 무용학자 정병호 교수는 최승희의 친일 행적으로 인정하면서도 그의 예술적 목적을 위해 친일을 했을 뿐이라며 그의 예술적 업적에 비중을 둔다. 반면 김종욱 선생은 최승희는 도일 직후부터 본명 대신 일본식 이름 사이 쇼코로 활동한 열성 친일파라며 친일의 본질에 초점을 두고 비판 대열에 섰다.

p72 모든 지식인들에게 지조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치라고 강요할 수는 없다.

p80 ‘을사조약(늑약)’으로 불리는 이 조약의 체결에 찬성한 박제순, 이지용, 이근택, 이완용, 권중현 등 5명을 을사오적 乙巳伍賊이라고 부른다.

p82 이근택은 처음부터 친일파는 아니었다. 대한제국 초창기 때까지만 해도 친러파였다.

p84 이 완벽한 친일파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 어떤 생각을 하기는 민중을 개, 돼지로 생각했겠지.

p85 ‘뼛속까지 친일파

p86 수년전 이근택의 증손자들이 세간에 논란이 됐던 적이 있다. 큰 증손자인 이상우는 당시 국립 공주대의 현직 총장으로 재직 중이었다. 그의 동생 이춘우 역시 공주대 물리학과 교수를 지냈다. 경위야 어째됐건 간에 을사오적의 직계 후손이 국립대 총장으로 있다는 것은 민족감정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었다. ; 나는 이 문제가 가장 핵심적인 딜레마라고 생각한다. 조상의 연좌제를 어디까지 고려해야 하나.

p94 일제에 버림받아도 일제에 매달린 굴종의 생존전략 ; 이 전략이 가끔은 효과적이다.

p103 친일파 가운데는 지식을 팔아 일제에 아부한 집단이 있는가 하면, 경제적 기반을 제공한 대가로 기득권을 보전하고 일제와 유착관계를 형성한 부류도 있다. 박춘금은 이도 저도 없는 자였다. 그는 수하에 거느리고 있던 폭력 조직, 정치 깡패집단이 유일한 자산이었다.

p122 ‘상징적 독립투사의 비밀과 거짓말 ; 나는 독립뿐만 아니라 민주화-민중운동’, ‘페미니즘에서도 비슷한 느낌을 받는다.

p127 성공 비결은 매우 간단하다. 탐관오리와 전형적인 투기꾼의 양태가 그 답이다. ; 이것 역시 한국에서 21세기인 지금까지도 효과적인 전술이다.

p135 친일파 중에는 초창기에 민족 진영에서 활동하다 일제의 탄압이 극심해진 일제 말기에 친일로 변절한 사람이 상당수 있다.

p139 최남선은 양자택일의 기로에서 학문을 위해 학문을 위해 지조를 버렸다. 이런 선택을 두고 그는 변절이 아니라 방향전환이라고 했다. 명색이 학자를 자처한 그가 지조와 학식은 별개라는 궤변을 늘어놓고 있는 것이다. ; 나는 변절로의 방향전환이라고 생각한다. 지조와 학식은 별개가 아닐지 모르겠지만, 나는 지조와 학문을 구분하는 편이다. 학자가 있고 지식인이 있다.

p144 을사늑약과 한일병탄에 앞장선 민병석/p145 일제 때 판사를, 박정희 정권 하에서 대법원장을 지낸 민복기

p178 일제하에서 고관대작을 지냈거나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한, 이른바 친일파로 불리는 사람들 중에서 더러는 자신의 친일 전력을 참회했다. 민족대표 33인 중 1인으로 나중에 변절한 최린은 반민특위 재판에서 법정을 온통 울음바다로 만들었다. “민족의 이름으로 이 최린을 광화문 네거리에서 처단해주십시오.”

p182 “고등관 이상의 관리는 모두 친일파”/p183 당시 군수라면 이 같은 일을 수행하는 것은 기본이었다. 이에 대해 그는 그 같은 직무를 수행하는 군수 자리를 직업을 택했다는 자체가 친일입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항간에는 일제 말기에 군수 노릇 몇 년 한 사람을 친일파로 보는 것은 지나치다는 주장도 있다.

p323 친미에서 친러로, 친러에서 친일로 이완용/p331 시대의 흐름을 읽고 재빨리 친일로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10-06 09: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탐관오리와 투기꾼의 형태가 비슷하다..라는 문장..정말 공감되는 글이네요,,,,,

마립간 2016-10-06 10:44   좋아요 1 | URL
저는 지금의 시대를 `세도정치` 시대라고 판단하는데, 제가 어찌 해야 할지는 모르겠군요.

cyrus 2016-10-06 1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윤치호처럼 개화기 지식인들은 지나치게 조선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생각했습니다. 이상이 너무 컸던 거죠. 현실을 본 이후로 미약한 조선의 힘에 크게 실망하고, 끝내 일제에 타협하게 됩니다.

마립간 2016-10-06 15:23   좋아요 0 | URL
친일로 분류되는 사람들 중에는 독립운동에서 변절한 자들이 꽤 있는데, 지조가 부러졌다는 느낌입니다. 35년이라는 세월이 짧은 시간이 아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