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와인드 : 하비스트 캠프의 도망자 ㅣ 언와인드 디스톨로지 1
닐 셔스터먼 지음, 강동혁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7월
평점 :
언와인드,가 뭘 의미할까 라는 생각을 하기 이전에 이 책의 시리즈가 4권이나 된다는 것에 조금 늘어지는 이야기가 아닐까 라는 막연한 생각을 하며 책을 읽기 시작했다. 책의 내용을 제대로 알지 못한 상태에서, 그러니까 솔직히 '언와인드'라는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책을 펼쳤는데 바로 집중해서 읽게 된다.
소설의 첫장에 '아동을 중절하는 동시에 살려두는 과정을 언와인드라고 한다'라고 설명되어 있는데 실제로 언와인드 되는 과정에 대한 묘사를 읽을 때는 소름이 끼쳐 소설 속 이야기라는 것을 알면서도 끔찍하다는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첫권의 끝을 읽으며 두번째 이야기가 더 궁금해지고 있었는데, 지금 다시 책의 첫장을 펼치니 '더 많은 사람이 장기를 기증했다면 언와인드는 절대 생기지 않았을 거다'라는 제독의 이야기가 - 소설 속에서 어떤 상황이었는지 기억이 나는데, 책을 읽기 시작하며 제독의 말이 갖는 보편적인 의미를 생각했던 것과 달리 책을 읽고난 후 다시 읽어보는 이 문장은 보다 더 깊은 의미를 담고 다가온다.
이야기는 언와인드가 예정된 코너, 리사, 레브의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분노조절을 잘 하지 못하는 코너는 부모에 의해 언와인드 당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도망치기로 결심한다. 집에서 말썽꾼이 되어버린 코너를 언와인드 신청하고 부모님은 동생만 데리고 휴가여행을 떠날 예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리사는 주립보호시설에서 생활하고 있었으나 주보시에 대한 예산삭감으로 인해 언와인드의 대상이 되고만다. 또 다른 언와인드 대상자인 레브는 타의에 의해 언와인드 되는 친구들과는 달리 본인 스스로 십일조가 되어 언와인드를 청하고 있다.
책의 줄거리를 따라가며 읽느라 미처 깊이있게 생각해보지못했는데 세 친구들의 성장과정과 가정환경 등의 이야기는 현실 사회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세 친구가 언와인드를 피해 도망자가 되었다가 다시 만나고 여러 사건을 겪으며 언와인드의 현장인 하비스트 캠프로 잡혀가고 그곳에서 또 다른 사건을 겪게 되고...
짧은 설명으로 소설의 줄거리를 이야기할수는 없지만, 사실 소설의 이야기를 더 길게 할 수 있어도 말을 아끼고 싶다. 줄거리의 이야기를 하기보다 그 안에 담겨있는 의미들을 느껴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생명법'으로 시작되는 이야기인데 소설 속의 생명법만이 아니라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세계에서의 생명법에 대해서도 깊이있게 생각해봐야 한다.
언와인드를 할 수 있는 과학기술이 없다할지라도 이미 오래전부터 장기밀매가 있어왔괴 부자와 가난한 이들의 생명연장 역시 평등하지 않다는 것 등 많은 의미를 생각해볼 수 있다.
언와인드,라는 개념과 생명법이 존재하는 미래세계의 이야기가 비유적인 현재의 이야기라고 생각해본다면 이 소설은 두번째 읽을 때 더 천천히 읽으며 더 깊이있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한다.
완성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희망적인 모습을 보이며 '히비스트 캠프의 도망자'이야기는 끝을 맺지만, 생명법과 언와인드가 남아있는 이상 이들의 유토피아는 완성이 아니다. 그래서 더욱 이어지는 두번째 이야기가 궁금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