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으로도 때리지 말라
김혜자 지음 / 오래된미래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가타 사다코의 말대로 난민은 수많은 선을 넘는 사람들입니다. 무엇보다도 그들은 국경을 넘어 탈출함으로써 난민이 됩니다. 그리고 이어서 닥치는 질병과 굶주림, 폭력과 멸시의 선까지도 넘어야 합니다. 그 선들은 모두 우리가 그어놓은 잔인한 선들입니다. 그리고 그 선들을 없애야 할 사람도 바로 우리들입니다. 난민이 된다는 것은 배가 고프며, 옷과 덮을 것이 없고, 누워서 잘 자리가 없고, 병들었으나 치료 받을 수 없고, 배울 수 없고, 어떤 직업도 가질 수 없음을 뜻합니다. 또한 저들이 공격앞에 속수무책이고, 부당한 대우를 받고, 사회로부터 소외당함을 뜻합니다. 인류 역사상 유례없이 세계가 부유해지고 먼거리가 하나로 연결되고 기술이 최고로 발달해 인간의 삶의 조건이 최고로 좋아진 세상이지만 수천만 난민들의 처절한 고통은 이 시간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것을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바로 '나눔'입니다. 내가 가진 것을 조금이라도 나누는 것입니다. - 본문에서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라는 책이 김혜자라는 배우가 썼다는 것을 보고 배우가 쓰는 에세이 제목치고는 참 독특하다..라는 생각만 했다. 그런데 이 책의 내용이 그가 쓴 자신의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주로 월드비전을 통해 활동하며 느끼고 생각한 이야기들을 풀어놓은 거라 한다.

책을 읽는 내내 맑은 눈으로 자분자분 이야기를 풀어놓는 김혜자라는 배우의 모습이 느껴졌다. 결코 자신을 자랑하려고 책을 쓴 것이 아닐것이다. 아니, 오히려  자신보다도 더 열악한 상황에서 훨씬 더 아름답고 훌륭한 모습으로 봉사활동을 하는 수많은 이 앞에서 자신의 이야기가 부끄러웠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 모습이 가식적이 된다하더라도 그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효과, 홍보라는 것을 통해 그 부끄러움을 기꺼이 감수해 내고 있는 것 같다. 이 책도 그래서 썼을 것이다. 무관심한 사람들에게,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사람들에게서 '사랑'을 끌어내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그래서 난 이 책을 주위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그리고 누군가의 말처럼 결코 빌려주지 않을 것이다. 꼭 사서 읽을 수 있도록... 당분간 책 선물은 이 책으로 하는 것도 좋겠다. 이 책은 정말 마음이 착해지는, 맑은 책이니까....

 

난 몇년 전부터 세계기아민돕기 후원회원이 되어, 내게는 그리 부담되지 않는 금액을 매월 자동이체하고 있다. 전 세계 가톨릭 교회에서 후원이 이루어져 도움이 필요한 곳곳에서 활동을 하고 그 활동내역을 담은 소식지를 분기마다 전하는데 그 소식지의 이름이 '희망'이다. 모든 것이 하루아침에 바뀌지는 않는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각자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노력이라도 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세계의 모두가 '절망에서 희망으로' 웃음 지을 수 있는 날을 기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기만 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기만 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

如知者 不如好之者 好之者 不如樂之者"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eylontea 2004-05-15 16: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랜만에 이 글을 보니 새삼 느껴지는 것이 많네요.. 퍼갈께요... (당근 추천도 합니다...^^)
 

1. 도덕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반드시 자신의 욕망과 싸운다는 것을 뜻하는가?

2. 우리는 좋다고 하는 것만을 바라는가?

3. 의무를 다하는 것만으로 충분한가?

4. 무엇을 비인간적인 행위라고 하는가?

5. 일시적이고 순간적인 것에도 가치가 존재하는가?

6. 무엇이 내 안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를 말해 주는가?

7. 우리는 정념을 찬양할 수 있는가?

8. 종교적 믿음을 가지는 것은 이성을 포기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9. 정열은 우리의 의무 이행을 방해하는가?

10. 진실에 저항할 수 있는가?

11. 진리가 우리 마음을 불편하게 할 때 진리 대신 우리에게 위안을 주는 환상을 쫒아도 좋은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hika 2004-05-10 16: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988년부터 2002년까지 출제된 바칼로레아의 질문이라고 한다. 책을 읽어보려고 폼을 잡다가...도저히 읽히지를 않는다.
진정 내가 의문을 제기하고 생각을 해보고 나의 대답을 정리해본 후에 다른 이들의 생각을 들어보고 토론을 통해 조율해야 하는 물음들이란 생각이 들어서인지...
어쨋든 이 책은 훗날 읽어봐야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어쩌면 우리나라의 학생들에게 이 책은 논술시험에 대비한 또다른 참고서가 되어버리고 있는것은 아닐까... 걱정스럽기도 하고... 쩝~
 

1. 권리를 수호한다는 것과 이익을 옹호한다는 것은 같은 뜻인가?

2. 자유는 주어지는 것인가 아니면 싸워서 획득해야 하는 것인가?

3. 법에 복종하지 않는 행동도 이성적인 행동일 수 있는가?

4. 여론이 정권을 이끌 수 있는가?

5. 의무를 다하지 않고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가?

6. 노동은 욕구 충족의 수단에 불과한가?

7. 정의의 요구와 자유의 요구는 구별될 수 있는가?

8. 노동은 도덕적 가치를 지니는가?

9. 자유를 두려워해야 하나?

10. 유토피아는 한낱 꿈일 뿐인가?

11. 국가는 개인의 적인가?

12. 어디에서 정신의 자유를 알아차릴 수 있나?

13. 권력 남용은 불가피한 것인가?

14. 다름은 곧 불평등을 의미하는 것인가?

15. 노동은 종속적일 따름인가?

16. 평화와 불의가 함께 갈 수 있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생물학적 지식은 일체의 유기체를 기계로만 여기기를 요구하는가?

2. 우리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만을 진리로 받아들여야 하는가?

3. 계산, 그것은 사유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가?

4. 무의식에 대한 과학은 가능한가?

5. 오류는 진리를 발견하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6. 이론의 가치는 실제적 효용가치에 따라 가늠되는가?

7. 과학의 용도는 어디에 있는가?

8. 현실이 수학적 법칙을 따른다고 할 수 있는가?

9. 기술이 인간조건을 바꿀 수 있는가?

10. 지식은 종교적인 것이든 비종교적인 것이든 일체의 믿음을 배제하는가?

11. 자연을 모델로 삼는 것이 어느 분야에서 가장 적합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