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두 번째 교과서 x 나민애의 다시 만난 국어 ㅣ 나의 두 번째 교과서
나민애 지음, EBS 제작팀 기획 / 페이지2(page2) / 2024년 12월
평점 :
나민애의 다시 쓰는 국어 이야기는 이비에스 제작팀에서 재미와 교양을 위한 학습을 목표로 과학, 미술, 국어, 경제 4개 과목을 구성으로 제작한 프로그램 중 국어 분야의 강의 내용을 책으로 출판한 것이다. 처음 '국어'라는 제목에서 이 책을 굳이 읽어봐야 할까,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지만 '잘 읽고, 쓰고, 말하는 법'이라는 문구를 보는 순간, 이 기회에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평소에도 국어를 잘 해야 소통도 잘 할 수 있고 사람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의 학문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는 했었는데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과학이나 수학 과목에서 사용하는 설명 역시 국어를 잘 해야 이해를 할 수 있다는 이야기에 더욱 신나는 느낌으로 책을 더 빨리 읽게 되엇다.
책을 읽는다는 것이 누구에게나 다 똑같이 쉽거나 어려운 것은 아닐 것이다. 책을 잘 읽는 사람에게는 특별한 조언이 필요없겠지만 아무래도 책과 친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조금씩 가까워질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저자 나민애 선생님은 시와 소설, 동화, 고전 작품 등을 통해 문학에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평소 시집 한 권을 읽으며 그 가운데 이해를 하거나 마음을 사로잡는 시가 많지 않아 시집을 읽는다는 것을 어려워했었는데 한 권의 시집에서 단 한편의 시라도 마음을 사로잡는다면 그것 하나로도 시집을 읽을만하다는 것에 나의 편협한 생각이 트이는 느낌이었다.
책을 읽을 때의 경험, 나이, 환경변화 등 많은 요인에 의해 책에 대한 이해와 느낌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한 권의 책을 읽는다는 것이 그 한번으로 명확한 이해를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너그럽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생각은 해본적이 없다는 것을 새삼 깨닫고 있다.
에세이에 대한 설명을 하며 글쓰기를 하는 것, 글쓰기를 통해 감정의 치유를 받을 수도 있다는 것 - 왜 그렇게 화가 많으냐는 남편의 말에 동의할 수 없었던 나민애 선생님은 글을 쓰면서 자신에게 화가 많았음을 깨닫게 되기도 하고 또 글쓰기에 모든 걸 쏟아넣어서 그런지 화도 많이 가라앉았다고 하는데 나 자신의 체험을 떠올려봐도 여러 형태의 글쓰기를 통해 부정적인 감정들이 사그라진다는 걸 확신할 수 있다.
나름 책을 즐겨 읽어서 그런지 이 책의 내용은 그리 어렵지 않아 금세 읽을 수 있었다. 글쓰기에 대한 좋은 도움글도 많고 특히 독후감이 아닌 서평을 쓰는 것에 대한 설명은 더 많은 도움이 된다. 선생님이 직접 낭독한 한강 작가의 시는 감동적이었고, 좋다는 이야기만 듣고 읽어보지 못한 동화 '긴긴밤'은 조만간 꼭 읽어야겠다는 결심도 했다.
굳이 '국어' 를 새삼스럽게 공부해야 할까,라는 물음을 던진다면 대답 대신 이 책을 건네 줄 것이라는 결심까지. 아니, 국어 공부만이 아니라 재미와 교양을 쌓기 위해 '국어'를 추천해야겠다는 생각이 먼저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