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스포라 기행 - 추방당한 자의 시선
서경식 지음, 김혜신 옮김 / 돌베개 / 2006년 1월
구판절판


모든 뿌리에서, 그 뿌리를 키울 토지에서조차 떠나 있는 나는 온갖 시대를 둘러보아도 좀처럼 드문, 참으로 그런 인간이다. 나는 1881년 하나의 거대한 제국,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그곳을 지도 위에서 찾는 것은 헛된 일이다. 그곳은 이미 자취도 없이 사라져버렸다. 나는 2000년에 걸쳐 국가를 초월해 존재해온 수도 빈에서 자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도읍이 독일의 일개 지방도시로 떨어지기 직전에 나는 마치 범죄자처럼 그곳을 떠나야만 했던 것이다. 내 문학작품은, 나의 책이 몇백만 독자에게 기쁨을 줬던 바로 그 나라에서 불태워져 재로 돌아갔다. 그러기에 나는 이제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모든 곳에서 이방인이며, 기껏해야 지나가는 객이다. 내 마음이 택한 진정한 고향 유럽도, 다시금 동포끼리의 전쟁이라는 불구덩이에 몸을 던져 자살한 것과 다름없이 제 몸을 찢은 이후로 내게는 잃어버린 존재가 되었다. 내 뜻이 아니건만 나는 온갖 시대의 연대기 가운데 가장 무서운 이성의 패배와 가장 흉포한 야만적 승리의 증인이 되었던 것이다.-188-190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릴케 현상 2006-02-05 1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이대로도 괜찮아 - 유쾌한 정신장애인들의 공동체 '베델의 집' 이야기
사이토 미치오 지음, 송태욱 옮김 / 삼인 / 2006년 1월
장바구니담기


저는 어떤 분한테서 행복이라는 것은 뭘까 하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행복이란 '지금 기쁘고', '지금 즐거운' 일이라고 했습니다. 만약 정신장애라는, 전혀 바라지 않았던 이 현실과 마주하면서 또한 행복해지려고 생각한다면, 사회 복귀를 위한 종합적인 치료와 훈련을 받아 좋아지고, 다시 말해 치료를 받아서 낫고 일자리를 찾아 일하고, 만약 이런 것이 행복해지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수많은 정신병자들은 행복이라는 건 포기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
장애인만이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들 '서로 마찬가지다'라는 감각을 가질 수는 없을까, 병을 치료하는 것에만 시선을 빼앗기지 말고 함께 생활하며 살아가려는 데서 좀 더 넓은 눈으로 사물을 바라볼 수는 없을까, 하고 말이다.
"같이 해보자고, 서로 배워보자고, 서로 교육해보자고, 저는 옛날보다 남을 생각하는 마음도 친절함도 없어진 의사가 되었습니다. 장애인이 이 세상에서 행복을 붙잡기 위해서는 말이에요, 특히 제 배려나 선의만으로는 아무것도 안 되며, 그런 쓸데없는 일은 하지 않게 되었다는 겁니다. 오히려 그런곳에 (환자를) 가둬두고, 갑갑하고 옹색한 곳으로 몰아넣는, 그리고 그런 일을 하는 자신도 (역시) 막다른 지경으로 몰아넣는 일에서 졸업하고 싶다는 것이 지금 가장 마음을 써서 하고 있는 일입니다"-142-143쪽

- '베델의 집'의 장점은 어떤 건가요?
"뭐라고 할까요, 차별하지 않는 점이라든가, 모두들 서로 격려해주거나 도와주고 또 조언해주고 하는 점이랄까, 그런 것들요. 그리고 절대 혼자 있게 내버려두지 않는다는 것도요. 아무리 병이 심하고 폐를 끼친다고 해도 다시 함께해 줄 수 있다는 것이랄까, 그 사람의 입장에서 봐주는 그런 점이요"-208쪽

- 그런데 그렇게 자신을 드러낼 수 있게 된 것은 어떻게 된 거죠?
"사람들과 즐겁게 지내면서 자연스럽게라고 할까, 싸우기도 하고 울기도 하고 여러 감정이 생기고, 그래서 순순히 자신을 드러낼 수 있게 된 거지요. 역시 시간, 인생, 여러 경험을 하고, 사람은 정해진 것처럼 살지 않아도 되는 거구나 하는 것을 알게 되었으니까요. 어떤 사람이나 좋은 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자신도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고, 또 그래서 자기 의견도 말할 수 있게 된 거예요.-21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이대로도 괜찮아 - 유쾌한 정신장애인들의 공동체 '베델의 집' 이야기
사이토 미치오 지음, 송태욱 옮김 / 삼인 / 2006년 1월
장바구니담기


밑바닥에서 끝났다고 생각한 인생은 진정한 인생의 서막에 지나지 않았다. 그렇게 생각하게 된 것은 '베델의 집'으로 옮겨온 지 꽤 많이 지난 다음이었다. 거기서 동료들과 만나고 장사를 시작해서 '유한회사 복지숍 베델'의 사장이 되어 일하는 사사키 씨는 언뜻보며 마치 정신장애인의 성공 신화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런 사사키 씨도 여전히 병과의 싸움을 계속하고 있다. 약을 중단해 병이 재발하고 입원하는 '실패'를 몇 번이고 반복했기 때문이다. 스물일곱에 입원한 이래 병은 자기 인생의 일부가 되어다. 그 병을 안고 성공했든 실패했든 여기까지 와서 생각하게 되는 것은 "이상한 힘으로 살아져왔다"는 것이다. 그 이상한 힘이란 함께 생활한 동료들이 가져다준게 아닐까 싶다.-45쪽

교회에 사람이 모여드는 게 말이에요. 하루하루가 축제같이 왁자지껄해서 정말 즐거웠어요. 그러니까 원래 이런 게 교회의 본래 모습이구나 하는느낌으로, 그런 만남, 큰 만남이었어요"

교회 본연의 모습이었고, 목사 본연의 모습이었다.-6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애니메이션으로 보는 일본 살림지식총서 195
박규태 지음 / 살림 / 2005년 7월
장바구니담기


문제는 인간 행위의 선악 너머에 있습니다. 말하자면 생명이 있는 존재의 차원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과연 살아갈만한 힘이 있느냐 없느냐 입니다. 문제는 생명력에 있다는 말이지요. (미야자키 하야오)

선이냐 악이냐, 옳은가 그른가를 말하는 것으로는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는다는 거지요. 그런 시시비비에 대한 관심보다는 생명력에 대한 시선이야말로 미야자키 애니의 핵심과 도처에 숨어있는 견자의 눈입니다.....

...... 생명과 죽음, 선과 악, 사랑과 증오는 나우시카 안에도, 산 아네도 공존하고 있습니다. 우리 안에 함께 뒤섞여 존재하는 모든 애증의 상반된 것들로 인해 우리는 늘 피흘리며 찢어집니다. 미야자키 애니는 이런 모순을 가지고 살 수밖에 없는 인간들이 자기자신을 넘어서는 하나의 방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시말해 미야자키 애니에는 '사물에는 선과 악의 양면성이 있다'는 세계관이 깔려 있습니다. -4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아스포라 기행 - 추방당한 자의 시선
서경식 지음, 김혜신 옮김 / 돌베개 / 2006년 1월
구판절판


대문자의 디아스포라 Dispora라는 말은 본래 "이산離散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이자 "팔레스타인 땅을 떠나 세계 각지에 거주하는 이산 유대인과 그 공동체를 가리킨다"고 한다. 그러나 그것은 물론 사전상의 의미에 지나지 않는다. 오늘날 '디아스포라'라는 말은 유대인뿐 아니라 아르메니아인, 팔레스타인인 등 다양한 '이산의 백성'을 좀 더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소문자 보통명사 dispora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12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1-31 23:5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