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양이의 조상

 

'집고양이의 조상'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고대 이집트에서 기르던 '리비아산(産) 야생 고양이'가 정설로 되어 있다.

 

리비아 야생 고양이는 아프리카, 지중해 연안, 인도, 동남아시아 등 넓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었지만 처음에는 나일강 상류의 원주민이 사냥을 위해서 길들였다고 전해진다.

 

지금으로부터 5천~6천년 전, 아프리카 북동부를 흐르는 나일강 유역에서는 고대 이집트인들에 의해 농경시대가 시작되었고, 곡물 창고에 있는 쥐를 없애기 위하여 리비아 야생 고양이를 기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게다가 약 5천년 전에는 강력한 고대 이집트 왕조가 탄생하여 숭배 대상이 사자에서 고양이로 변함으로써 고양이를 신비스럽고 신성한 동물로 숭배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몸은 여자이고, 머리는 고양이인 여신 '바스테트'는 다정한 모성애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피라미드에는 수십 만의 '가축화한 고양이의 미이라'가 묻혀 있고, 벽화나 파피루스에는 '목걸이를 걸고 있는 고양이' 등 사람과 고양이에 관한 그림이 많이 그려져 있다.

 

또한 고대 이집트에서는 고양이는 불 속으로 뛰어 든다고 믿었고, 고양이가 불에 타 죽으면 주인이 중죄를 받는 법이 있었기 때문에 화재가 일어나면 집이 타는 것을 걱정하기 보다는 고양이가 불 가까이에 가지 않도록 지켰다고 한다.

 

 

2) 고대 중세 유럽에서의 고양이 역사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르는 고양이를 구외로 반출하는 것을 막고 있었지만, 지중해 연안을 중심으로 무역을 하던 페니키아 상인이 '고양이 매매'로 큰돈을 벌었다고 전해지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무역이나 전쟁 중 병사들에 의해 점차 유럽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또한, 인도나 동남아시아에서도 유럽으로 '고양이'가 전해져, 그 고양이들이 전파된 지역의 토지나 기후, 풍토, 사람들의 취향에 맞추어져서 '토착 고양이'로 정착했다고도 한다.

 

BC 20세기 경 번성했던 그리스에서는, 고양이가 쥐나 두더지를 없애는 곡물 창고를 지키는 중요한 존재로 여겨졌으나, 고대 이집트에서처럼 신성한 존재로써 특별한 취급을 받았던 것은 아니다. 아라비아에서는 '황금으로 만들어진 고양이 상' 앞에서 제사를 지냈으며, 고대 터키왕조에서도 고양이는 숭배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유대교는 '우상 숭배 금지'로 이집트나 아라비아의 고양이 동상을 숭배하는 것을 벌하였고, 그 후 그리스도교에서도 우상 숭배는 신에 거역하는 행위로 간주하여, 고양이가 박해 받는 기나긴 암흑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5세기 후반부터 18세기까지 중세 유럽에서는 그리스도교가 절대적인 권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고양이는 '악마의 사자무리'로 간주되어 화형을 당하거나 심하게 박해를 받았다.

 

 

3) 진귀한 고양이에 대한 기록

 

한편 1,600년대 부터 1,700년대에는 동남아시아, 중근동, 북유럽, 영국 등 세계 각지에서 아비시니안, 샴, 코랏, 러시안 블루, 샤트룩스, 망스, 장모종 앙고라, 버만 등 혈통 있는 고양이의 조상이 된 귀중한 고양이들이 사원 등지에서 특별하게 사육되었던 기록이 남아 있다.

 

1,800년대 중반 영국(런던 크리스탈 궁)에서는 '진귀한 고양이 품평회'가 개최되었고, 1896년에는 영국 고양이협회가 창립되었다. 이어서 1,900년대에 이르러 유럽과 미국에서도 고양이 협회가 발족되어 앞에 나열한 진귀한 고양이들을 중심으로 고양이 혈통 등록이 시작되었다.

 

 

4) 혈통 고양이의 역사

 

혈통 등록이 시작되고 혈통 고양이가 탄생한지 100년의 세월이 흘렀으나,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등록된 혈통 고양이의 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그래서 남겨진 고양이들의 번식이 확대되었으나 그 수가 적었기 때문에 근친교배가 거듭되어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쟁 후에는 코니시 렉스나 데본렉스 등 돌연변이에 의한 곱슬털 고양이가 나오기도 하고, 중근동이나 동남아시아의 진귀한 고양이들, 일본의 꼬리 짧은 고양이 등이 미국으로 건너가서 개량이 거듭되어 혈통 등록되었다.

 

게다가, 혈통 고양이들끼리를 교미시킨 혼혈 고양이 등 인위적인 새로운 혈통 고양이가 탄생하였다.

 

최근에도 강모(털이 뻣뻣한)의 아메리칸 와이어헤어, 귀가 뒤로 젖혀진 아메리칸 컬, 헤어레스(털이 없는) 스핑크스 등이 발견되어 혈통 고양이로서 공인받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만나게 되는 고양이는 고대 이집트 왕족들이 기르기 시작했는데,

약 5천년 전부터 시작된 고양이의 역사는 곡물을 갉아먹는 쥐들로부터 곡식을 보호하기 위해
아프리카에 있는 리비아 고양이를 가축화한 것이 고양이를 기르게 된 시초이며 평균수명은 15년 이상이다.


그러나 고양이는 개처럼 충성심을 보이는 듯한 애교스러움이 없으며 주인이 부르거나 친근한 행동을 보여도 주인으로 생각하기보다 조금 특이한 고양이로 밖에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고양이의 임종에는 특이한 점이 있는데......

고양이는 혼자 죽기 때문에 주위의 어느 누구에게도 알리지 않는 것이 고양이의 습성으로
집고양이라도 일단 죽음을 눈앞에 두면 주인을 떠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숨을 거둡다.

이는 야생시대의 본능으로 부상을 당하거나 몸이 쇠약해지면 일단 숨을 곳을 찾는데 이는 야생시절 외적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한 궁여지책이었다.

숨어 있는 동안 몸이 회복되면 다시 주인 곁으로 오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병상에서 홀로 숨을 거둔답다.

고양이에게 특별히 공포증을 느끼게 하는 높이가 있는데 32층 높이도 겁을 내지 않는 고양이에게 치명적인 높이는 놀랍게도 4~5층 수준이랍니다.이 보다 낮은 고도에서는 야생의 본능을 발휘해
소프트 랜딩이 가능하고 이보다 높은 고도에서는
사지를 활짝 벌이는 낙하산 낙하를 할 수 있어 32층 높이에서 뛰어 내려도 이빨이 부러지고 가슴에 가벼운 상처를 입을 뿐 멀쩡한다.

그러나 4~5층 높이에 이르면 야생본능이 커버할 범위를
벗어난 고도지만 그렇다고 낙하산 낙하법을 펼칠
여유가 없기 때문에 이 높이에서 추락하면
대부분의 고양이들은 목숨을 잃게 됩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양이들의 조상은 5000년 전의 리비아 살쾡이가 선조라고 할수 있으며,
이 리비아 살쾡이가 고대 이집트시대때에 곡물창고의 쥐를 잡아먹었고,
사람들은 쥐로부터 곡식을 보호하기 위해 고양이를 사육하기 시작 하였다.
리비아 살쾡이를 사육하면서 번식을 시작해 시간이 많이 지나며,
지금의 고양이로 모습이 고정 되었다. 시간이 흐르며 고양이는 여러곳에서 쓰이게 되었으며,
무역선을 통해 여러지역으로 퍼지게 되었다.
아프리카와 인도에 살던 고양이는 유럽과 아시아로도 옮겨지기도 하고,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교배를 시켜 종류도 다양해 져서 현재는 약 30~40여 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미국의 CFA(Cat anciers Association)에서 인정받은 고양이종류는 30종에 이름다.
고양이의 체형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몸길이가 47∼51cm, 꼬리길이-22∼38cm,
몸무게-7.5∼8.5kg 정도 이며, 발가락은 앞발에 다섯개, 뒷발에 네개가 있다.
발가락에는 날카로운 발톱이 있으며, 이 발톱은 호랑이등 맹수들과 같이 속으로 감출수도 있으며,
위협이나 사냥을 할때는 숨겼던 발톱을 드러 냅다.
조상이 어디에 있었는가는 확실하지 않지만, 아프리카의 전 국토로부터
아라비아 지방에 분포하는 리비아고양이라고 하는 야생고양이가 아무래도 조상이라고 하는 것이
전설인 것 같다.
야생의 고양이는 5천년정도의 먼 옛날에, 곡물을 쥐로부터 지키는 목적으로 길들여진 것 같지만,
후에 고양이 특유의 생태로부터, 신성한 짐승으로서 다루어지고 숭배된다고 하는 기묘한 풍조가
일어났다.
그런데 15 세기가 끝나갈 무렵부터 유럽에서 생각치 못한 고양이의 고난의 시대가 시작됩다.
이것도 또, 특유의 생태로부터, 밤이 되면 눈을 번뜩거릴 수 있어 어둠안을 달린다고 하는
곳으로부터, 당시 굉장할 기세로 퍼지고 있던 마녀의 미신과 연결시킬 수 있어 버렸던 것다.
고양이의 신 격은 박탈되어 마귀화 되었던 것다.
마녀의 상징인 고양이를 죽이는 것이 사회적인 행사가 되게까지 발전했다.
고양이 학대는, 마녀의 미신이 기세가 꺽이는 18 세기까지 계속되었다.
동양의, 고양이에 있어서도 인도의 4천년의 역사가 있으며,
여기에서도 곡물의 수호자보다는 마귀 취급을 하고 있으며 중국에 있어도 같다.
유럽에서 「마녀」라고 여겨지고 중국에서는 「묘귀」라고 불려 졌었다.
18 세기무렵부터 고양이의 전문 책자가 발간되기 시작했고,
고양이 클럽이나 전람회가 시작되게 되었으며 고양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 지기 시작 했다.
특히, 일본에서는 삼색털 고양이의 수컷이 왜 태어나지 않는가를 해명한,
쿄토 대학의 고마이타쿠 박사는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옛부터 고양이를 영물로여겼으며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나,전설의 고향등 에 기분나쁜동물로 등장시키던 배경 때문인지
기성세대의 거의 모든사람들은 고양이를 징그러워하고 꺼리는 경향이 강한관계로 유독 한국만이
고양이 보급율이 가장 저조한 것을 볼수있으나.요즘에 이르러, 개와 함께 2대애완동물로서
각종 캣 클럽이 생기고 뉴미디어의 시대와 함께 신 세대를 주축으로 한국에도 고양이문화가
서서히 열리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와아키 히토시 지음★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기생수 애장판 1
이와아키 히토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3년 5월
7,000원 → 6,300원(10%할인) / 마일리지 350원(5% 적립)
2010년 12월 05일에 저장
구판절판
기생수 애장판 2
이와아키 히토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3년 6월
7,000원 → 6,300원(10%할인) / 마일리지 350원(5% 적립)
2010년 12월 05일에 저장
구판절판
기생수 애장판 3
이와아키 히토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3년 7월
7,000원 → 6,300원(10%할인) / 마일리지 350원(5% 적립)
2010년 12월 05일에 저장
구판절판
기생수 애장판 4
이와아키 히토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3년 8월
7,000원 → 6,300원(10%할인) / 마일리지 350원(5% 적립)
2010년 12월 05일에 저장
구판절판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arover 2010-12-05 19: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더블 땜에 정신 없음.

묘猫 2010-12-10 2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죄송 합니다 수정 하겠습니다^^;
 

★사노 다카시 지음★


1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리틀 슬러거 린 1
사노 다카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5년 5월
3,500원 → 3,150원(10%할인) / 마일리지 170원(5% 적립)
2010년 12월 02일에 저장
품절
리틀 슬러거 린 2
사노 다카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5년 6월
3,500원 → 3,150원(10%할인) / 마일리지 170원(5% 적립)
2010년 12월 02일에 저장
품절
리틀 슬러거 린 3
사노 다카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5년 7월
3,500원 → 3,150원(10%할인) / 마일리지 170원(5% 적립)
2010년 12월 02일에 저장
품절
리틀 슬러거 린 4
사노 다카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5년 10월
3,500원 → 3,150원(10%할인) / 마일리지 170원(5% 적립)
2010년 12월 02일에 저장
품절


1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