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발은 발바닥 전체가 평면에 접하는 발을 말합니다. 편평족(扁平足)이라고도 하지요. 정상인 경우 평면에 똑바로 서면 발바닥 부위에서는 발가락의 복측(腹側)과 발가락의 기부에서 바깥쪽 가장자리 및 발뒤꿈치의 전면이 평면에 접할 뿐이고, 발바닥의 내측부는 거의 타원형으로 평면에서 떨어지게 됩니다.

이 부분을 발바닥의 장심(掌心)이라고 하며, 이것은 보행의 충격을 완화시켜 뇌는 물론, 발바닥의 혈관이나 신경 등을 보호합니다. 이 발바닥 장심의 `아치구조'는 체중을 감당하는 지렛대 역할과 걷거나 뛰는데 중요한 스프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아치구조가 없는 평발은 오래 서 있거나 장시간 걸을 경우 피로가 쉽게 쌓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유아는 모두 편평족으로 보이지만, 이는 지방이 많기 때문이며 대부분 성장하면서 없어집니다. 다만, 3세 이후 발 도장을 찍어 발의 중간 아치부분이 없이 발바닥 전체가 찍히면 평발로 구분합니다.

평발인 사람은 운동을 하면 피로하기 쉽고, 걸으면 아프고 위장이 나쁘고 요통, 척추 변형 등 여러 증상에 시달리게 됩니다. 특히 어린이 평발은 그 정도가 심해 발 관절 이상을 유발,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평발이 생기는 이유는 원인을 모르는 경우, 가족력이 있는 경우, 아킬레스건에 이상이 있는 경우, 골격에 이상이 있는 경우, 뇌성마비등 신경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 등으로 분류하는 데, 이 가운데 원인을 몰라 특발성 편평족으로 불리는 경우가 90%에 달합니다.

평발에는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이 있는데 선천적인 평발은 극히 드물며, 후천적인 것은 그곳에 노폐물이 가득 차 마치 밀가루를 푼 것처럼 발바닥을 누르면 쭉쭉 밀립니다. 발 관리를 하면 후천적인 평발은 짧은 시간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아치에 쌓인 노폐물이 전신에 순환되기 전에 침전물을 없애주지 않으면 다른 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사실입니다.

치료법으로는 발 마사지를 자주 하여 경혈을 풀어주고, 꾸준한 운동을 할 것을 권장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반딧불,, 2004-05-07 18: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군요..
제가 평발에 가까워서 고생인데...
발마사지를 해봐야겠네요.
 

螳螂拒轍(당랑거철) :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사마귀가 수레에 항거한다"는 뜻으로 자기 힘을 생각하지 않고 강적 앞에서 분수없이 날뛰는 것을 비유한 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꽃 2004-05-10 15: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 이 사자성어 솔주막 5월의 책중 <나무로 깎은 책벌레>에 나왓는데 우연히 여기서도 보네요. 걍 반가운 마음에.^^;;

뚜벅이 2004-05-10 16: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람꽃님 방가방가^^
그랬군여
저 5월책 아적 못봤슴다.^^;;;

주말 잘 보내셨나여?^^ 아울러 좋은 한주 되시와요
 

There may be blue and better blu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프로디테 - APHRODITE(VENUS)

그리스의 사랑과 풍요의 신.
제우스와 디오네의 딸 또는 바다의 물결 속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
크로노스가 아버지 우라노스의 남근을 절단하여 바다에 던지자 남근 주위에 정액의 거품이 모여 여신이 나타났다고 한다.
애욕의 여신이기도 하며 '가장 아름다운 여성에게'라고 쓰인 황금사과를 받은 가장 아름다운 여신.
그녀가 서풍에 떠밀려 물결을 따라 키프로스섬에 도착하자 계절의 여신들이 그녀를 영접하며, 아름다운 옷을 입히고 신들이 모인 궁전으로 인도하였다.
아프로디테의 아름다움에 매혹된 신들은 저마다 그녀를 아내로 삼기를 원했으나 제우스는 헤파이스토스가 천둥과 번개를 잘 다루는 보답으로 아프로디테를 그와 맺어 주었다.
그래서 여신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여신이 가장 못생긴 남신의 아내가 되었다.

아프로디테는 케스토스라는 자수를 놓은 띠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띠를 매게 되면 사랑을 불러 일으키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가 총애한 새는 백조와 비둘기였고, 그녀에게 바쳐진 꽃은 장미였다.

그의 유명한 연인 아도니스와의 비련의 사랑얘기를 한마디 하겠다.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는 소아시아 키프로스에서 어린 소년 아도니스의 모습을 본 뒤 그만 한눈에 반해 이 아이를 몰래 지하의 여왕 페르세포네에게 맡겨두었다.
그러나 페르세포네 역시 아도니스를 사모하게 되어 이 아이를 아프로디테에게 돌려주지 않겠다고 우겼다.
두 여신 간의 실랑이는 제우스의 중재에 의해 아도니스가 1년의 1/3은 페르세포네와, 1/3은 아프로디테와, 나머지 1/3은 자기 좋은 사람과 함께 있도록 결말이 났다.
아도니스는 아프로디테를 더 좋아하여 1년의 2/3를 그녀와 함께 지냈다.
그러자 질투에 눈이 먼 페르세포네가 아프로디테의 정부인 아레스에게 이 사실을 일러바쳤고, 아레스는 멧돼지를 보내 청년 아도니스를 물어죽게 했다.
아도니스의 선혈 위에 피어오른 꽃 아네모네는 그리스말로 '바람'을 뜻하는 아네모스(anemos)에서 온 것이다.
바람이 불면 피어 올랐다가 다시 바람이 불면 지는 허무한 '바람꽃' 아네모네가 짧았던 아프로디테와 아도니스의 사랑을 잘 표현해주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자소학은 주희의 소학과 기타 경전의 내용을 알기 쉽게 생활 한자로 편집한 한자의 입문서로서 전통

전통적으로 우리 조상들이 서당에서 학동들에게 한자를 가르치기 위해 엮어 만든 기초한자교과서

 

사자소학은 어려서부터 각 가정에서 시작되는 가족에 대한 바른 마음가짐과 부모님에 대한 효도, 형재 우애, 친구사귀기, 스승 섬기기 등을 올바르게 가르치기 위한 도덕 교육과 종합적인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뚜벅이 2004-05-07 15: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는 문구들도 있지만 정말 주옥같은 말들이다.....
우리 아이들의 인성을 위해 꼭 필요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