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쓰기의 미래 - AI라는 유혹적 글쓰기 도구의 등장, 그 이후
나오미 배런 지음, 배동근 옮김, 엄기호 해제 / 북트리거 / 2025년 1월
평점 :
‘나’를 돌아보지 않으면 인간은 컨베이어 벨트 위의 일개 부품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시대가 도래하자 찰리 채플린은 《모던 타임즈》(1937)에서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의 기계적 삶을 풍자했다.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은 인간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다. 인공지능은 생활 곳곳에서 위력을 발휘한다. 인간의 편견과 착각, 확증편향 같은 주관적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업무와 직업은 이제 오차 없는 합리와 논리적 판단이 가능한 인공지능이 대체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세무, 회계 분야는 물론 법률, 의학 분야까지 이른바 전문직으로 분류되는 분야부터 지각 변동이 시작될 것이다. 하물며 일상생활과 검색 등은 길게 설명할 필요도 없다.
아주 잠깐이면 발표 자료를 만들고 수업용 PPT를 내놓는 ChatGPT에 감탄하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수집과 요약 능력이 뛰어나니 책 내용이나 특정 분야의 지식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데도 탁월하다. 굳이 독서와 글쓰기도 필요 없고, 밤새워 자료를 조사하고 필요한 내용을 선별해서 정리하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어졌을까. 도움을 받는다면 어느 정도가 적절할까. 졸저 『읽기의 미래』는 유튜브 시대가 본격적으로 사람들의 눈과 귀를 통해 뇌를 점령하면서 책은 살아 남을 것인가, 독서는 왜 필요한가, 미디어 리터러시는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했다. 같은 맥락에서 『쓰기의 미래』는 쓰는 인간과 쓰는 기계를 고찰한다. 읽기에서 한발 나아가 쓰기로 ‘나’를 확인하고 증명하며 ‘나’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내야 하는 인간에게 인공지능은 무엇이며 어떤 변화를 일으킬 것인가.
작곡은 물론 그림까지 그려주는 기계, 대신 레포트를 써주고 보고서를 정리하며 수업 준비를 해주는 기계, 집안일을 대신하고 어렵고 귀찮고 힘든 일을 시킬 수 있는 기계를 누가 마다하겠는가. 변화를 직시하며 적응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능력은 현대 사회에서 꼭 필요하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말은 여기에도 해당한다. 하지만 인간이 아니 기계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문해력에 관한 논의와 책들이 쏟아진지 오래다. 문해력이 문제라는 이야기다. 이제 글쓰기로 그 초점이 넘어간다는 반증일까. 기자라는 직업이 왜 필요한가. 뉴스는 무엇인가. 글쓰기는 설레는 일일까.
무엇을 쓸 것인가, 어떻게 쓸 것인가에 앞서 이제 ‘누가’ 쓸 것인가의 문제로 환원되는 시점에 도달한 건 아닐까. 언어학자 나오미 배런은 수천 년 동안 애써온 인간의 노력을 돌아본다.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타인과 의사소통을 위해 쓰기 체계를 갖춰온 세월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우리는 태어나 지금까지 또 얼마나 오랜 시간 공을 들여 글을 쓰기 위해 노력했는가. 그 시간과 노력이 아까워서가 아니라 글쓰기의 본질과 의미에 대해 다시 고민해야 하는 위기에 직면한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