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김기태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5월
평점 :
계절이 지나가는 소리를 듣지 못할 때가 많다. ‘어떤 형태로든 우울하다’라는 80년대식 감정의 과잉 토로가 아니라도 자기 안에 함몰되는 건 선택이 아닐 때가 많다. 세상에는 기이한 일들이 차고 넘쳐 소설의 재미를 반감시키기도 하고, 합리적 이유로 포장된 주관적 판단과 고집으로 한여름의 열기를 삼키기도 한다. 그러나 여전히 소설은 현실을 사는 우리에게 한숨을 틔워준다. 쉬어가라고 다독이고, 잊으라고 토닥거린다. 오늘과 내일 사이에서 위로와 기대로 점철된 하루하루를 견디게 하는 힘을 주는 소설은 언제나 반갑다.
내용과 방법에 따라 어떻게 분류하든 개별 독자도 취향이라는 게 있어 모든 소설에 몰입하기는 어렵다. SF가 집중하지 못하는 독자, 연애 소설에 하품하는 독자, 역사 소설에 열광하는 독자 등이 그렇다. 김기태의 소설은 ‘현실’을 담고 있다. 개연성 혹은 핍진성이 소설의 미덕 중 하나라면 유머 코드를 장착한 소설가는 군계일학일 터. 각자의 입맛에 따라 좋은, 아니 재밌는 소설의 책장을 넘기는 즐거움을 포기할 수는 없겠지. 그렇다고 하나의 단편 혹은 장편 소설에 모든 요소를 버무려 재미가 배가 될 리 없다. 방심하고 종이에 손을 베일 때가 있다. 그렇게 허를 찔러 독자의 폐부를 찌를 만한 이야기를 쓸 수 있는 작가 또한 많지 않다.
김기태의 단편들을 읽으며 몇몇 소설가를 떠올렸으나 이름을 지웠다. 비교가 아니라 온전히 김기태가 창조한 소설의 세계를 그대로 음미하면 그뿐이다. 실감나게 현실을 반영하지 않은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굳이 ‘세태 소설’이라는 구분이 필요치 않다. 찰스 디킨스와 빅토르 위고, 발자크와 도스토옙스키 또한 당대의 현실을 묘사하고 재해석하며 풍자하고 패러디하는 즐거움으로 아주 오랫동안 독자들에게 기쁨과 슬픔, 감동과 위로를 건넸다. 그밖의 많은 작가들 또한 그러하다. 보편적 개인의 내면 심리를 깊이 들여다보거나 사회적 사건과 당대의 모순을 드러내는 작업 또한 이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들은 곧 ‘나’이며 ‘너’이고 ‘우리’에 해당하는 주인공과 주변 인물들이다. ‘그들’을 조롱하고 풍자하는 재미도 없지 않으나 대개 비참하고 신산스런 현실을 견디는 사람들, 구별 지어 금 밖으로 밀려난 사람들, 평온한 일상에서 위기를 맞은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는 사실 모두 내 이야기고, 네 인생이며, 우리들의 삶이다. 그들의 이야기는 대개 ‘역사’로 분류된다. 히스토리he-story.
기록은 재미와 교훈을 함께 전한다. 권진주와 김니콜라이, 표제작에서 두 사람을 인터내셔널로 그렸으나 오히려 매우 동일한 집단에서도 심리적 거리와 생각의 차이는 북극과 남극만큼 하나가 되기 어렵다. 우리는 타인의 고통을 통해 얻는 안도의 한숨 혹은 이 정도면 그래도 견딜만하다는 위로를 얻기도 한다. 무관심과 침묵은 ‘나타懶惰와 안정’을 선물한다. 굳이 김수영을 떠올릴 필요가 없다. 「세상 모든 바다」를 지나 「전조등」을 켜고, 「보편 교양」을 갖춰 「무겁고 높은」 곳에 도달하긴 어렵다.
BTS 응원하려고 군대(ARMY)에 가는 사람, 《나는 솔로》에 출연 신청을 하는 사람, 네이버에서 최저가로 구입할 물건을 검색하는 사람……. ‘내 얘긴가, 친구 닮았네’ 친근한 주인공들을 보며 이런 생각을 들게 한다는 정도로도 충분하다. 그 평범함이 무려 소설의 주인공이 되지 않았는가. 아니 각자 삶의 주인이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화려한 학벌, 선망하는 직업, 높은 연봉을 누가 마다하겠는가. 그러나 소설에서 우리가 확인하는 건 매번 삶의 가치 혹은 진정성 같은 것들이다.
사실 “너 뭐 돼?”라는 질문 앞에서 쭈뼛거리지 않기 힘들다. 뭐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들을 떠올려 보면 정말 그것이 뭐가 되는 이유가 아닐 수 있다는 걸 아무도 몰라도 스스로는 잘 알기 때문이다. 그것이 위선이든, 허위든, 가식이든, 거짓이든 세상과의 불화보다 무서운 건 자신과의 불화다. 온전히 ‘나’로 살지 못하는 마음은 신발 속에 든 돌을 빼내지 않고 걷는 것처럼 불편하다. 지금 이대로 괜찮을까. 사람들은 귀신같이 포장지와 알맹이를 구별한다. 인생이 그리 쉽고 세상이 만만하면 누가 소설을 읽고 쓰겠는가.
김기태의 응원과 위로를 보내는 방식은 독특하다. 아니 그가 독자를 쓰다듬기 위해 소설을 썼을 리 없을 지도 모른다. 다만 내가 그렇게 읽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김기태의 소설은 「깊이에의 강요」로 괴로워하는 독자는 없을 터. 그것만으로도 차고 넘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