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자 : 절대적인 자유를 꿈꾸다 - 완역결정판
장자 지음, 김학주 옮김 / 연암서가 / 2010년 6월
평점 :
30대 초반에 읽은 『장자』는 거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게 없다. ‘앉아서 삼천리, 서서 구만리’ 같은 허황한 이야기로 시작하는 장자. 그러나 그 상상력은 오래도록 여운을 남겼다. ‘호접지몽胡蝶之夢’으로만 기억하는 장자도 나쁘지 않다. 존 윅이 되어 나타나기 전 메트릭스 안에서 유연한 허리꺾기의 모티프가 됐을 거라는 추측이면 어떤가. 현실보다 꿈이, 꿈보다 더 환상적인 아니 환장할만한 현실이 매일 펼쳐질 테니. 그걸 알고 생을 시작하는 사람은 없다. 어느 철학자의 장난 같은 말이지만 그야말로 내던져진 인생, 그 하나하나의 탄생과 소중함이 우주에 비견되는 고귀함들이 허망하게 스러지고 짓밟히는 현실, 그래도 내일을 향해 노력하자는 비현실적인 희망 고문을 견디며 오늘도 우리는 장차 무엇이 중요한지 고민하며 장자 한 페이지를 넘긴다.
어슬렁어슬렁 노니는 소요유逍遙遊, 세상을 살아가는 더없이 편안하고 유연한 태도. 힘빼기의 기술은 아무나 다다를 수 있는 경지가 아니라는 사실을 대개 게임이 끝난 후에, 인생의 마무리 단계에서나 깨닫게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직립보행의 자유와 푸른 하늘이면 충분하다는 건 상징적 수사가 아니다. 장자는 무소유를 권하지는 않으나 하늘과 땅의 본성을 이야기한다. 물론 그것은 ‘인간’, 즉 나의 삶을 위한 관찰과 사유의 과정이다. 제 눈에 뵈는 게 전부이고 자기 감정과 판단이 정답이라는 전제. 그것은 직업과 나이, 학력과 재산의 유무를 따질 수 없는 태도의 문제라는 걸 매번 확인한다. 왜 언제나 부끄러움은 나의 몫인가. 연민조차 아쉬운 순간들 그리고 남은 시간.
우리의 삶에는 한이 있으나 앎에는 한이 없다. 한이 있는 삶을 가지고 한 없는 앎을 뒤쫓음은 위태로운 일이다. 그런데도 앎을 추구하는 자가 있다면 위태로울 따름인 것이다. - 제3편 養生主
읽는다고, 쓴다고 달라지지 않는다. 광화문 교보문고 앞에는 여전히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는 기대가 새겨져 있다. 그렇다, 그 기대가 오히려 사람을, 세상을 미혹하게 하기도 한다. 안다는 착각, 그럴 거라는 추측이 빚어내는 비극들. 나와 다른 생각과 감정, 잘못된 전제를 인식하지 못하는 편견 앞에서 장자는 자기 삶의 주인으로 길러 주는 말들을 건넨다.
말이 말을 만든다. 생존의 비법은 침묵과 무용함이라는 아이러니. 좋은 목재는 톱으로 잘리고 못에 박힌다는 장자의 말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생존이 미덕인 시대를 지났으나 그때 그 시절을 떠올리며 장자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는 자명하다. 시대가 변해도 사람은 쉽게 달라지지 않는다. 인간의 속성은 아주 오랜 시간을 거쳐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고 본능으로 자리 잡아야 하니 책을 읽거나 글을 쓰며 한순간에 변신로봇이 될 거라는 기대나 착각은 금물이다. 즐기며 취미로 삼는 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 다만 그조차 아니 한다면, 그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면 또다시 야만의 시대가, 오욕의 세월이 돌아온다. 학벌과 직업 같은 외피를 벗기고 나면 악취만 풍길 수도 있다는 걸 그렇게 오랫동안 지켜보면서도 변한 게 별로 없다. 인간도 세상도, 그리하여 장자가 여전히 혀를 찬다. 거울이나 좀 들여다 보라고.
“아서라, 그런 말 말거라. 그것은 쓸데없는 나무다. 그것으로 배를 만들면 가라앉고, 관을 만들면 빨리 썩어 버리고, 그릇을 만들면 바로 깨어져 버리고, 문짝을 만들면 나무진이 흘러내리고, 기둥을 만들면 곧 좀이 먹는다. 재목이 될 만한 나무가 아니다. 쓸 만한 곳이 없어서 그처럼 오래 살고 있는 것이야.” - 제4편 人間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