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세시옹, 소유라는 악마
줄리아 크리스테바 지음, 김인환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절판


우리는 흔히 어디어디가 결린다고 말한다. 하지만 서양에서는 절대 이런 말이 없다. 즉 몸에서 느끼는 통증이라는 것도 그가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다. 그것을 표현할 언어가 없다면 그 지각또한 없는 것일지도 모른다.

또 우리가 그 결린다는 것을 말할 상대가 없다면 그 언어라는 것 또한 무용지물이 되어 버린다. 누군가가 결린다는 말을 들어주고 그 말에 대해 어떤 행동(가령 침을 놓는다거나)을 취해 주었을 때만이 결린다는 말은 효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런 이야기가 소설과 무슨 상관이 있냐고? 소설 <포세시옹-소유라는 악마>는 언뜻 보기엔 추리소설로 보이지만 단순히 그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앞서 말한 언어와 지각에 대해 이야기하고, 범죄와 사회에 대해 이야기하며, 개인적 심리상태와 행동의 연관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모든 이야기를 관통하는 것은 바로 사랑이다. 앞에서 말한 언어가 지각을 유도하고 그것이 효력을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말을 경청하는 사람의 자세에는 필연적으로 필요한 것이 바로 사랑이라는 것이 이 소설의 메시지라고 볼 수 있다.

소설 속 몇 대목을 살펴보자.

언어를 자극하는 것은 지각이 아닙니다. 그 반대예요. 언어가 지각을 유도하는 것이지요.
새로운 언어가 새로운 육체에 앞선다는 것을 인정할 용의는 있었다.
말이란 선천적인 것이 아니다. 말은 경청하는 사람의 사랑에서 생성된다.

이런 소설의 메시지는 이야기의 전체 구도속에서도 드러난다. 목을 잘린 시체가 발견되고 사건은 미궁에 빠져있다. 화자인 기자이자 사립탐정은 점차 범인의 폭을 좁혀 나가고 결국 사건을 해결하게 된다. 하지만 시간이 조금 흘러 다시 범죄현장에 도착했을 때 그녀는 진짜 범인이 누구인지를 알게된다. 이 범인은 바로 죽은 여자의 아이를 자신의 사랑으로 키우기 위해 살인을 저지르게 된 가정교사였다. 언어능력을 갖지 못하고 태어난 아이를 어머니는 애정을 갖지 못하고 더군다나 아이를 미워하는 새로운 남자에게만 정신을 쏟고 있자 살인을 저지르게 된 것이다. 어렸을 적 사랑하던 동생을 잃고나서 말을 잃었던 경험이 있는 그녀는 그 아이를 통해 동생을 찾게되고 그녀의 이런 사랑은 아이에게 말(언어)을 선사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도 많은 소설속에서 사랑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속의 사랑은 대부분 개인적 감정 상태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그 사랑이라는 것도 장밋빛이거나 그 장미속의 가시만을 이야기 할 뿐이다. 반면 포세시옹은 사랑이라는 소유욕이 가지고 있는 악마적 성격과 함께 그것이 가져다 주는 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그 사랑이라는 것이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항상 관계속에서만(이것은 이야기를 하고 들어주는 관계로 보아도 된다.) 이루어진다는 것도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사랑이야기를 선사하고 있다고 보아도 될 것이다.

아, 누군가 나의 이야기를 들어줄 사람이 그리워진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nabee 2006-09-27 1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범인밝히기는 스포일링입니다.
 
21일 만에 시나리오 쓰기 - 친구 매스컬처 시리즈 1, 마음으로 영화 쓰는 법
비키 킹 지음, 이지영 옮김 / 동녘라이프(친구미디어) / 199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인생은 실천하는 것이다. 실천하는 것이 인생이다. 엎치나 매치나.

이것은 영화 뤽베송의 '서브웨이' 첫 장면에 등장하는 자막이다. 영화 속 주인공 렘브란트는 지하철이라는 공간 속에서 자신만의 밴드를 만들어 공연을 성사시키고 죽어간다. 밴드만들기. 그게 자신의 꿈이었으며 결국 그것을 해낸다.

시나리오 쓰기. 이건 나의 꿈이기도 하다. 대부분 호흡이 짧은 시나리오 몇편에 그쳐버리고 있지만 언젠가 장편에 꼭 도전하리라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실천을 하지는 못한체 세월만 훌~훌~. 실천하지 못하는 삶, 아직 인생을 제대로 살고 있지 못한 것인가? 그런 차에 이 책을 접하게 됐고 과감히 지폐를 건넨 대가로 나의 안방에 이 책을 꽂아둘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순간 나는 나의 인생을 찾아 길을 떠나게 됐다.

이 책의 장점은 바로 이곳에서 출발한다. 누군가 이 책을 읽었다면 바로 그 순간 벌써 시나리오는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책을 읽는 기간이 21일이 더 걸릴 수도 있다. 나의 게으름을 매일매일 탓하며 허송세월을 보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책에 관심을 가진 그 순간 나의 시나리오 작업은 벌써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책에 쓰여진 대로 그대로 따라하기는 힘들 것이다. 아마 책에 쓰여진 방식대로 사람들이 살아가고 행동할 수 있었다면 모든 사람들이 성공하고 모범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성공할 수 없듯 모든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21일만에 시나리오를 완성할 순 없으리라.

그러나 책을 집어든 순간 나는 벌써 한걸음 시나리오를 향해 내걸었으며 책에서 이야기하고 있듯이 일단 한줄 쓰여진 시나리오는 그 시나리오의 주인공들의 아우성에 의해 계속 쓰여져 나갈 수 있다.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일상생활 속에서 부딪힐 수 있는 세세한 일에 대한 조언이라고 하겠지만 보다 더 큰 것은 시나리오라는 것이 생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우쳐 준다는 것이다. 내 자신의 시나리오 속 캐릭터들이 살아 움직이고 있는 생명체임을 자각하는 그 순간 나의 시나리오 작업은 계속될 것이다. 그들이 자신의 제 목소리를 낼 수 있을 때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도원
아사다 지로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199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름엔 뭐니뭐니해도 귀신이야기가 최고다. 오싹한 귀신이야기를 듣다보면 어느새 열대야는 저만치 사라져간다. 그런데 꼭 귀신이야기라고 해서 납량물일 이유는 없다. 사랑의 따스함이 온건히 가슴에 와 닿는 동화같은 귀신이야기도 있는 법. 아사다 지로의 <철도원>에 나오는 단편들이 바로 그렇다.

어렸을 때 죽어버린 아이가 귀신이 되어 성장한 모습을 차례차례보여주는 '철도원', 망자가 직접 나타나지는 않지만 죽은 이의 편지가 마음 속 깊은 암흑으로부터 뚫고 나와 빛이 되는 '러브레터', 돌아가신 할아버지가 나타나 자신의 어려운 처지를 대신해주는 '백중맞이' 등등.

<철도원> 속 단편 주인공들은 저마다 아픈 현실속에서 살아가다 망자를 맞이한다. 그들은 망자를 보면서 절대로 무서워하거나 도망가지 않는다. 그 망자들은 자신의 처지를 이해하고 그들을 위로하고자 나타난 것이기에. 망자의 이러한 사랑은 그들을 맞이하는 주인공들의 망자에 대한 이해로 더욱 빛나게 된다. 왜 그들이 현실 속에 나타나 자신을 돕는지를, 위로하는지를 깨달아 주기 때문에 그들의 출현은 빛을 발한다. 서로간의 자리를 이해해주는 사랑의 정신이 소설 전체에 깔려있어 그 따스함을 책을 잡고 있는 손끝에서 바로 느낄 수가 있다.

아~, 사람에 대한 사랑이란 이렇게도 따스한 것이구나. 죽어서도 그 사람을 이해하려는 마음. 미움과 한이 가득찬 귀신이 되기 보다는 애정과 관심을 갖는 귀신이 된다는 것. 소설이 직접적으로 죽음을 이야기하고 있진 않지만 이렇게 아름다운 귀신이 될 수 있다면 죽는것조차도 두렵지 않을듯 싶다. 가슴 한 켠을 따뜻이 적셔주는 동화같은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도하는' 

'와' 함성이 울린다. 장막이 걷히고 모습을 드러낸 조용필은 다시 한번 '기도하는'을 외친다. 또다시 쏟아지는 함성소리. 작년 8월에 열렸던 콘서트의 서막이다. 직접 가서 본 것도 아니지만 그 순간의 감동이 거세게 밀려온다. 도대체 이 벅찬 감동의 정체는 무엇인가?

35년이라는 세월을 자신이 사랑한 일에 한결같이 헌신하는 삶이란 자랑스러워 할 만하다. 그리고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은 그를 존경해도 된다. 아무도 욕하지 않을 것이다. 딴따라를 넘어서 예술의 경지로 대중음악을 이끈 작은 영웅은 아직도 노래를 부를땐 가슴이 심장이 들뜬다고 한다. 사랑하는 여인마저도 세월이 지나면 두근거림이 사라져갈 터인데 오직 노래를 부른다는 그 행위 하나만으로 아직도 가슴이 뛴다는 것은 얼마나 행복한 일인가?

목석마냥 살아온 사람으로서 그의 정열은 하나의 열병이다. 그의 노래를 듣는 이순간 나의 몸은 뜨거워질테지만 시간이 흐르면 언제 그랬냐는듯 깨끗이 나을 것이다. 하지만 그 열병의 기억은 뇌리속에 남아 또 다시 누군가의 심장소리를 듣는 순간 가차없이 발병할 것이다.

난 나의 심장소리를 듣고 그 열병이 도지길 바란다. 무엇인가에 쿵쾅쿵쾅 뛸 수 있는 심장을 가지고 있으니 기어코 언젠가는 그 심장을 신나게 뛰도록 만들리라. 무대위에서 열정적으로 자신을 불사르는 저 킬리만자로의 표범 조용필이 있지 않은가? 이미 50을 넘은 나이가 무슨 상관이냐는 듯 그 쏟아지는 비 속에서도 그의 몸은 뜨겁다. 나도 뜨거워지길 바란다. 살아있다는 것은 바로 그 뜨거움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병상에 누워있으면 한없이 약해진다. 그래서 조그만 친절에도 감사하는 마음이 샘솟는다.

날마다 아픈 사람을 보아야 하며 그들의 불평을 들어주어야 하는 간호사. 왠만해서는 짜증을 낼만도 하건만 무던히도 잘 참아낸다. 더군다나 형식적 친절이 아니라 웃음까지 안겨주며 쾌활하게 일하는 그네들을 보면 이건 감동이다. 속마음이야 알 수 없지만 아파도 웃게 만드는 힘을 준다는게 얼마나 고귀한가?

이네들을 보면 뭐 인생 별건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렇게 웃으며 사는 거지 하며 말이다. 그래서 살아간다는 것은 어찌보면 명랑체육대회일지도 모르겠다. 끝까지 뛰어야하지만 말 그대로 명랑하게 갈수 있다면 행복하지 않겠는가?

명랑극장, 명랑만화, 명랑소년, 그리고 명랑인생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4-02-20 18: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씩씩하게 사십시오! ^^

하루살이 2004-02-22 1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씩씩하게]라고는 한번도 생각해본적이 없었는데...
힘 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