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을 넘기며 어김없이 블루베리가 동해를 입었다. 10그루 정도가 고사했다. 이렇게 죽어나간 자리에 묘목을 새로 심는 보식 작업이 필요하다. 다행이라고 할까. 2년 전 삽목했던 것 중 10여개가 잘 살아남았다. 그런데 막상 보식을 하려고 보니 대여섯개 정도만 잎을 내밀고 초록빛을 뿜어내고 있었다. 다른 개체는 겨울을 못 이기고 죽은 듯하다. 



죽은 나무를 뽑아내고 묘목을 심었다. 상토를 한 삽 뿌리고 피트모스를 대여섯삽 정도 뿌려줬다. 죽은 나무를 뽑아보니 흙이 촉촉했다. 아무래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보인다. 이것이 나무를 죽게 만든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든다. 그래서 피트모스 이외에 상토도 조금 뿌려준 것이다. 그리고 흙을 깊이 파지 않고 두둑을 조금 높이 올리는 방식을 택했다. 아무래도 비가 많이 올 경우, 또는 지하수위가 높을 경우를 대비해서 두둑을 두텁게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블루베리도 곧 잎과 꽃이 필 터인데 이번 추위로 냉해를 입지 않았을까 걱정이 됐다. 



아직은 활짝 핀 상태가 아니기에 큰 피해는 없을 듯하다. 올해는 삽목을 오십여 개 정도 진행하고 있는데, 잘 키워서 보식에 문제가 없도록 하고 싶다. 어차피 죽음이란 피해갈 수 없을테니. 새로운 삶으로의 순환을 꿈꾸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기온이 불규칙할 때는 서두르지 않는 게 좋다. 4월 13일과 15일 연달아 0도~영하 1도까지 아침 기온이 떨어지면서 일찍 핀 과일나무의 꽃들이 냉해를 입었다. 



세 그루의 배나무 중 원황이 가장 먼저 꽃을 피웠는데, 이 차가운 날씨에 직격탄을 맞았다. 



분홍색 술을 내밀지 못하고 까맣게 타버렸다. 꽃술  중 2~3개 정도를 남겨 놓고 냉해를 입었고, 이런 꽃들이 꽃 뭉치 7~8개 중 4~6개에 달했다. 이렇게 냉해를 입게 되면 수정이 어려워지고, 수정이 된다 해도 기형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다행이라고 한다면 신고배는 이제 꽃봉오리를 맺고 있어서 냉해를 피해간 건 아닐까 싶은 것이다. 하지만 꽃봉오리 자체가 냉해를 입은 경우도 있기에 꽃이 다 피어날 때 다시 한 번 살펴봐야 할 것이다. 



개복숭아도 어느새 분홍색 꽃을 활짝 피웠다. 옆의 복숭아밭에서는 아직 꽃 필 기미가 보이지 않는데, 개복숭아가 부지런을 떠는가 보다. 



원황배 보다 2~3일 정도 늦었는데, 그 덕에 냉해를 피해갈 수 있었다. 날씨가 이렇게 뒤죽박죽일 때는 꽃이 되도록 늦게 필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해 보인다. 그것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는 어렵겠지만, 마냥 날씨탓만 하고 있을 수는 없어 보인다. 

전 세계적으로 커피, 아몬드를 비롯한 여러 곡물과 과일이 기후변화로 인해 생산량이 떨어지고 있다. 이대로라면 어떤 과일과 곡물은 사치품이 될 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5년 4월 12일~15일


가시오가피 잎이 제법 자랐다. 매년 가시오가피가 여름에 병에 걸리면서 열매를 수확하지 못하고 있지만, 봄에 잎을 따서 나물은 무쳐 먹고 있다. 



올해는 병에 걸리지 말라고 빽빽하게 자란 가지를 정리해 주었다. 가운데 줄기를 친 부분들을 솎아 준 것이다. 솎은 가지에서 자란 잎을 따서 따로 모아두고, 줄기는 삽목을 위해 잘랐다.



가시오가피 삽목은 한 번도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올해는 정성스레 가꿔볼 심산이지만, 결과는 장담하지 못한다. 그래도 계속 도전은 해보아야 할 터.



상토에 삽수를 꽂고 비를 듬뿍 맞혔다. 시간이 날 때 그늘막을 쳐 둘 계획이다.



잎은 살짝 데쳐서 간장과 참기름, 마늘, 참깨를 넣고 조물조물 섞어 주었다. 연한 잎의 식감과 가시오가피의 향이 그윽하다. 봄이 되면 즐길 수 있는 호사다. 



밭을 이리저리 정리하다보니 아스파라거스가 솟아나 있는 것이 보였다. 지난해 심었던 모종이 올해 드디어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5주를 심었는데, 1주 마다 아스파라거스가 제법 자라나올듯 하여 기대가 된다. 실수로 한 개를 부러뜨려서 아직 충분히 자라지는 않았지만 시식을 해 보았다.



보들보들한 것이 기분을 좋게 만든다. 특별한 맛이 나거나 자극적이지 않지만 은은함과 보들거림이 좋다. 달랑 한 개라서 맛을 충분히 만끽하지는 못했지만, 앞으로가 기대가 된다. 



하지만 15일 아침 영하로 떨어진 날씨에 아스파라거스가 살짝 얼었다. 꽁꽁 얼어붙진 않아 다행이지만 동해를 입은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몇 일 더 살펴보면 알 수 있을터다. 추위를 이겨내고 더 튼튼하게 자라주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5년 4월 12일~15일 비 갬 비 갬 눈 잠깐 비


4월인데도 최저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고, 중순에 눈까지 내려 농사를 짓는 게 어려워지고 있다. 이런 이상 기후가 계속된다면, 노지에서 농사를 짓는 일을 포기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지 않을까 걱정이 될 정도다. 이제 농사는 시설을 지어 에너지를 고도로 투입해 기후를 제어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지 않았나 싶을 정도다. 


아무튼 날씨 탓에 조금씩 뒤로 미뤄진 정식을 더 이상 늦출 수가 없어서 비가 흠뻑 온다는 예보를 믿고 행동에 나섰다. 브로콜리와 양배추를 각각 5개씩, 상추를 10여 개 이상 심었다. 



원래 골을 파지 않고 될 수 있으면 흙을 뒤집지 않는 즉 무경운 농법을 지향하고 있지만, 이미 풀들이 잔뜩 인데다, 요즈음 비가 쏟아지면 무섭게 내리부어서, 살짝 골을 파기로 했다. 오전 중 밭을 고르고 정식을 한 후 물을 따로 주지 않았다. 오후부터 비가 쏟아진다는 예보를 믿고 놔 두었다. 

하지만 비는 내리지 않고 물을 주어야 했나 싶은 마음이 꿈틀꿈틀 일어날 때쯤 비가 한 두 방울 내리기 시작했다. 



한 두 방울 내리던 비가 밤새 꾸준히 내렸다. 다음날 흙이 어느 정도 촉촉히 젖어 있고 모종은 잘 활착된 듯 보인다. 비가 이렇게 사납지 않고 부드럽게 반나절 내린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다. ^^ 하지만 날씨가 어디 바라던 대로 이뤄진더가. 



15일 아침에는 온도계가 영하 1도를 가리킨다. 강아지 물통의 물이 얼지는 않았지만 살얼음이 언 곳도 보인다. 브로콜리 잎에 맺어진 물방울은 꼭 얼어붙을 기세다. 다행히 얼지는 않은 듯한데 동해를 입었을련지도 모르겠다. 내일 오전까지는 1~2도 수준이라니 잘 견뎌주기를 바랄 뿐이다. 앞으로 또 어떤 날씨가 닥칠지, 또 어떤 벌레들이 덤벼들지 모르겠지만, 부디 잘 이겨내서 튼튼하게 자라기를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5년 4월 7일~13일 : 블루베리를 삽목한 지 6주차에 접어들었다. 

눈이 잘 발달한 가지 끝의 삽수는 잎을 내고 풍성하게 자라고 있다. 살짝 삽수를 뽑아보니 실뿌리 2~3가닥이 1센티 가량 자라고 있다. 잎이 무성한 만큼 뿌리가 내리는 것은 아니다. 반면 두꺼운 삽수는 여전히 잎조차 내밀지 못하고 있는 것들도 많다. 뿌리가 잘 내릴 수 있도록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할 필요가 있다. 





삽목한 가지의 새 잎은 상반된 역할을 한다. 광합성 작용을 통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활발해지면서 뿌리를 내리는데 도움을 준다. 반면 증산작용으로 인해 삽수가 마를 수 있는 확률도 커진다. 이렇게 되면 뿌리가 자라서 활착하는데 방해가 된다. 따라서 잎이 너무 무성해지지 않도록 관리하면서 촉촉하게 유지해 주어야 한다. 분무기로 물을 뿌려주면 좋을 성 싶다. 그렇다고 너무 습도를 높게 유지하면 뿌리가 자칫 썩을 수도 있다. 뿌리가 썩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습도 유지가 관건이라 할 수 있겠다. 



혹시 위치의 차이로 삽목의 성장 속도가 달라진 것은 아닐까 싶어 박스 2개의 위치를 바꿔 보았다. 큰 차이가 없기는 하지만, 작은 차이로 인해서도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을 테니 말이다. 

올해도 어김없이 동해로 인해 블루베리 10여 그루가 죽었다. 이를 튼튼한 어린 묘목으로 바꾸어 주기 위해서라도 삽목한 개체를 건강하게 잘 키우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