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5월 10일 맑음 7도~26도


집에 들어갈 때면 아까시꽃 향기가 코끝을 간지럽힌다. 



보통 다른 꽃들은 냄새를 맡기 위해 꽃을 향해 가까이 다가가지만, 아까시꽃은 그럴 필요가 없다. 수십 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그 향을 맡을 수 있다. 이런 강한 향 덕분인지, 아니면 강한 생명력 덕에 널리 펴져서인지, 꿀벌들도 아까시꽃을 좋아하나 보다. 시중에 판매되는 꿀을 보면 잡꿀, 밤꽃꿀 등과 함께 아까시꿀은 꼭 빠지지 않는다. 실제 양봉을 전문으로 하시는 분들 중 일부는 아까시꽃이 피는 시기에 맞추어 남도에서 중부까지 벌통을 옮겨가며 꿀을 채취한다. 그런데 기후변화로 인해 아까시꽃의 개화시기가 남쪽에서부터 북쪽까지 차이를 보이지 않고, 거의 일시에 피어, 꿀을 얻기가 훨씬 어려워졌다고 한다. 올해 3월~4월 사이 꽃들이 차례를 지키지 않고 뒤죽박죽 피어나듯이 말이다. 



집 뒤의 찔레꽃도 피었다. 찔레꽃을 보면 매번 장사익의 노래 <찔레꽃>이 떠오르는데, 그 슬픔의 감정은 잘 모르겠다. 추측컨데 찔레꽃이 피는 시기가 보릿고개 시기와 겹쳐서 인건 아닐까 생각해본다. 아무튼 노랫가사에 취해 찔레꽃 향기가 어떨까 싶어 근처에 가보지만 그 향을 맡기는 쉽지 않다. 꽃에 코를 바짝 대면 은은하게 향기가 난다. 그 은은함이 간혹 서글픔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초봄에 캐지 않았던 달래는 꽃대를 쑥쑥 키운 듯, 키가 허리께까지 왔다. 



백합과여서 그런지 꽃이 예쁘게 피려 한다. 관상용으로도 괜찮지 싶다.



게걸무꽃은 올해도 알아서 핀다. 벌써 3년째인가 싶다. 첫해에 씨앗을 뿌리고 나서 무를 수확하지 않고 놔두었더니 꽃을 피우고, 씨를 떨어뜨리면서 매년 꽃을 피우고 있다. 게걸무꽃도 나름 예쁘다. 무를 캐지 않고 놔두면 거름이 되고, 그 중 인산이 풍부해서 주위 나무들이 자라는데 도움을 많이 준다. 따로 비료가 필요없을 정도라고 생각한다. 이런 자연스러운 순환이 밭 전체에 이루어진다면 더할 나위 없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정관념이 생기는 데에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어떤 문제적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 문제를 풀기 위한 답을 정해 놓고 재빠르게 해결하기 위한 방책이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묘책을 찾기 위해 에너지를 쓰는 것을 아끼는 것이다. 하지만 때론 고정관념이 편견이나 선입견이 되어, 문제 해결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 그런 측면에서 고정관념은 꽤 무섭다. 


문이 뻑뻑해져서 열고 닫는 것이 힘들어지면, 자연스레 윤활유를 찾게 된다. 흔히 사용하는 것이 WD-40 같은 윤활제다. 집의 중문이 갑자기 뻑뻑해져 열고 닫는데 힘이 들었다. 그래서 당연히 기름칠을 해야겠다는 생각에 윤활제를 뿌려 주었다. 하지만 윤활제를 뿌리고 나서 2~3일 만 지나면 다시 문이 뻑뻑해졌다. 그러면 다시 윤활제를 뿌리고.... 그러다 갑자기 느끼게 된 건, 윤활제 효과가 이리 짧을 순 없다는 것. 분명 다른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래서 문짝을 떼어보니 레일의 구슬이 살짝 보일 만큼 들어가 있었다. 이러면서 구슬이 굴러가는 것이 아니라 문짝 하단과 레일이 부딪히며 움직였던 것. 둘의 마찰로 인해 문을 여닫는 것에 힘이 든 것이다. 윤활제로는 제 역할을 할 수 없는 상태.

 


레일의 구슬을 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궁리해보고 살펴보니, 문 옆구리 양쪽에 나사못이 보였다. 나사못이 두 개나 있을 이유가 있을까? 그래서 이 중 위의 것을 살짝 살짝 돌려보니 구슬이 내려왔다. 아! 이거구나. 옆구리 양쪽 모두 나사못을 돌려 구슬을 충분히 내린 후 다시 문을 달았다. 그리고 문을 여는데, 웬걸 이렇게 스르륵 열릴 줄이야. 너무 쉽게 열리는 통에 문 손잡이를 잡고 있던 손이 문틈에 끼여 다칠 ^^; 정도였다. 구슬을 내리기 전 문을 열고 닫을 때의 힘을 쓰다가 순식간에 문이 열려서다. ㅋ 


고정관념! 참 무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3년 5월 8일 맑음 3도~22도


아마도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병충해가 왕성해지는 시기일 것이다. 



구기자 일부는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잎에 구멍이 나고 바스라졌다. 한쪽에만 집중적으로 벌어진 일이다. 분명 벌레의 소행일텐데 눈에 보이지는 않는다. 데리스 등 식물추출물을 활용한 약재를 뿌려서 방제에 나섰다. 다른 곳으로 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한편에서는 구기자꽃이 피기 시작했다. 하지만 꽃이 생각보다 많이 피진 않았다. 손으로 셀 수 있을만큼 드문드문 피었다. 올해 구기자 열매는 거의 열리지 않을 성싶다. 가지 정리를 좀 더 해줘야 할련가 보다. 



블루베리는 수정이 대부분 이루어졌는데, 이제 꽃을 피우는 것들도 있다. 한 나무에서도 이렇게 차이가 크다 보니, 수확에 어려움이 많다. 한 번 따고 나서 한참을 기다리다 또 따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그래도 주렁주렁 튼실하게 열매를 맺어주면 좋겠다. 올해는 각별히 신경을 썼는데, 과연 과육의 크기가 어느 정도 될지 기대가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배 열매 솎는 방법 - <퍼온 글 정리>

배 열매속기는 보통 꽃이 활짝 핀 다음 약 20일 후부터 시작하는데 구체적인 시기와 양은 열매 발육 정도와 열매 달림 양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크기가 큰 배를 생산하려면 열매 개수와 비교해 잎의 개수 비율을 늘리고 600g 이상의 신고, 신화 등의 품종은 잎 30~40개 당 열매 1개가 달리도록 조절한다.

과일 크기가 크고 모양이 좋으며 가지와 열매를 연결하는 열매꼭지가 길고 굵은 열매는 솎지 말고 남겨 둔다.  꽃송이나 열매송이 중 어느 열매를 남길 것인지는 과일 모양과 나무 자람새 등을 보고 결정한다.  자람새가 강한 것은 열매송이 아래쪽 3, 4번 열매를 약한 것은 열매송이 아래쪽 2, 3번 열매를 남기는 것이 좋다.

현재 텃밭에서 자라고 있는 신고배의 열매 상태다. 위 솎는 방법을 참고해서 솎아줄 때가 왔나보다. 오늘도 이렇게 또 하나 배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3년 5월 7일 비 6도~15도


사흘 간 내리 비가 내렸다. 덕분에 달콤한 휴식을 취할 수 있었다. ^^



비가 주춤할 때 텃밭을 둘러보다 깜짝 놀랐다. 유일하게 싹을 틔웠던 방울양배추 모종 하나가 툭~ 부러져 있었던 것이다. 성장점이 잘려져 버렸으니 더 이상 자랄 수 없게 되어 생명이 끝난 셈이다. 도대체 누가? 옆에서 같은 시기에 싹을 틔웠던 케일 모종은 다행히 무사했다. 범인은 누굴까. 짐작조차 되지 않는다. 모종에서 이렇게 변?을 당한다면, 대책이 거의 없다. 나중에 심은 씨앗들도 아직 싹을 내밀 기미가 없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다시 씨앗을 뿌려 보아야 하나. 


줄기나 가지가 부러지더라도 대부분의 식물들은 상처를 극복하고 잘 자란다. 일종의 회복탄력성이라고나 할까. 하지만 아직 어릴 때 성장점이 손상되면 더 이상 자라는 것은 불가능하다. 어린이날이 지나긴 했지만, 혹여 우리가 아이들을 대할 때 성장의 기세를 꺾는 일은 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최근 아이들을 죽이고, 자살을 택하는 부모들에 대한 기사를 접했다. 이는 동반자살이 아니라 분명한 살인이다. 부디 부모라 하더라도 어린 생명을 함부로 대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모종이 잘린 것이 모가지를 떨군 듯하여 슬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