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 4
최명희 지음 / 매안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이라고 해서 이야기만 따라가야 하는 건 아니겠지만, 《혼불》 4권, 2부 평토제는 이야기가 많이 나아가지 않았다. 혼례를 치르고 얼마 안 되어 남편이 죽은 청암부인은 이씨 종가 며느리로 살았다. 청암부인은 기울어가는 이씨 종가를 일으켜 세우기도 했지만, 일제 강점기가 오고 가뭄이 들고 저수지가 말랐다. 이 일은 창씨개명을 하고 난 뒤였다. 청암부인은 집안을 지키지 못했다 여기고 손자인 강모가 부청 돈을 횡령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쓰러졌다. 지난 《혼불》 3권에서 청암부인은 세상을 떠났다. 그 뒤 이야기는 참 천천히도 흐른다.


 강모는 사촌 강태를 따라 만주로 달아난다. 강모가 큰 뜻이 있어서 만주에 가는 건 아니다. 종손이라는 게 부담스러워서 달아나는 거였다. 강모가 일하는 곳에서 횡령한 돈으로 기생집에서 빼낸 오유키가 기차에 있었다. 오유키는 어떻게 그 기차에 탔을까. 강모가 떠난다는 걸 알고 강모를 따라간 건지. 그건 잘 모르겠다. 기차에서 오유키는 강모한테 아무 말하지 않았다. 강모는 오유키가 어딘가에서 내리지 않을까 했는데 내리지 않았다. 기차표 검사할 때 오유키는 차표가 없어서 차장실에 가야 했다. 강모가 그 모습을 보고 함께 갔다가 돈을 낸다.


 청암부인은 자신의 장례를 치를 때 음식을 많이 하고 많은 사람과 나눠 먹으라 했다. 그런 건 좋은 거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번 ‘혼불’ 4권 맨 앞부분에는 노비 이야기가 나온다. 그런 게 왜 나오려나 하는 생각을 하고 보았다. 노비 신분 세습이 조선 전기에는 부모에서 하나만 천인이어도 자식은 천인이 되었다. 한때는 종부법(從父法)을 시행하고 아버지 신분에 따라 자식 신분이 정해졌다. 그 일을 양반이 반발해서 종모법(從母法)이 시행되고 어머니가 종이면 아들은 노(奴)가 되고 딸은 비(婢)가 되었다. 이 책 《혼불》 시작은 1930년 후반으로 이제 노비는 없어졌는데, 아주 사라지지 않은 곳이 매안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지난번에 거멍굴 옹구네가 춘복이한테 강실이를 이야기를 하지 않았나. 춘복이가 강실이를 넘보는 건 종모법 때문이겠지. 강실이가 양반이고 강실이가 자기 아이를 낳으면 그 아이는 양반이니.


 미국에 노예제도가 있지 않았나. 그런 거 보면서 참 너무한다 싶은 생각을 했는데, 한국 아니 조선이라고 다르지 않았다. 뭐가 다르지 않았냐면 양반이 종을 자기 마음대로 하고 아이를 갖게 한 일이다. 그런 건 예전에 드라마에서 보기도 했구나. 백인이 흑인 노예를 성폭행하는 건 끔짝하게 여기면서 양반이 여자 종을 성폭행하는 건 그렇게 끔찍하게 여기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어떻게 그랬는지. 이씨 종가에 사는 우례는 어릴 때 기채 동생 기표한테 성폭행 당하고 아이를 낳았다. 그 아이는 봉출이로 지금 열다섯이다. 다들 용출이 아버지가 누군지 아는가 보다. 봉출이도 그런 말 들었겠다. 우례는 언젠가 꼭 봉출이가 자기 성을 찾기를 바랐다. 앞으로 봉출이가 나올지. 우례 이야기 하기 전에 어머니가 종이고 아버지가 양반이었던 유자광 이야기가 나왔다. 유자광은 서얼이었지만 잘됐다고 한다. 죽을 때와 죽고 난 뒤는 안 좋았지만.


 조선에 노비가 없어졌다 해도 노비였던 사람은 그게 싫을지도 모르겠다. 그때 돈을 벌고 신분세탁한 사람도 있을 거다. 춘복이가 그걸 바라는 건 아닌가 싶다. 신분상승인가. 옹구네는 춘복이 마음을 눈치채고 자신을 버리면 춘복이가 강실이를 넘본다는 소문을 내겠다고 한다. 자신을 버리지 않고 죽 산다면 촌복이를 돕겠다고 한다. 옹구네 무섭구나. 그것보다 춘복이가 뭐가 좋다고. 옹구네는 양반인 강실이가 자신이 사는 곳에 오는 걸 보고 싶다 했구나. 강모가 자기 마음을 참았다면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을 텐데. 강모가 강실이한테 한 것도 성폭행 아닌가. 그런데도 강실이는 강모가 와서 자신을 도와주길 바라는 듯하다. 강모는 희망이 없다. 자기만 힘들다고 떠나지 않았나.


 종부뿐 아니라 종손도 쉽지 않겠다. 그 뒤에도 조선, 한국은 첫째아들을 더 생각했다. 지금은 아이가 하나거나 아예 없는 사람도 있구나. 이제는 대를 잇는 걸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아이가 살기 좋은 나라여야 사람들이 아이를 낳을 텐데. 그것보다 결혼 안 하는 사람이 더 많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편지는 밤에 써야 할 것 같아요

밤에 이런저런 생각을 하고

글을 쓰는 거죠


밤에 쓴 편지는 아침에 보면 유치하다고요

그럴지도 모르죠

편지를 쓰고 바로

봉투를 붙이면 다시 안 보잖아요


이튿날 늦지 않게 편지를

우체통에 넣으면

잘 갈 거예요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금 늦었지

미안해


늦지 않으려고 했는데,

내가 게을러서 그래


늦은 마음이지만

받아줄래

늦어서 안 된다고


아주 안 오는 것보다

낫다고 여겼는데

시간을 지키는 건 중요하지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커피 드립백 홀더 - 커피 드립백 홀더

평점 :
절판


드립백 커피를 조금 편하게 내리고 싶어서 이걸 샀다. 드립백을 손으로 들지 않아도 돼서 좋기는 하다. 마지막엔 들어올려야 하다니. 컵이 작아서 그렇구나. 물을 덜 부어야 커피가 맛있을 텐데, 물을 많이 붓는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불 3
최명희 지음 / 매안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누구나 나고 살다 죽는다. 그런 일이 자연스럽다 해도 오래 가까이 살던 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무척 슬프겠다. 아프지 않다 자다가 세상을 떠나도 그러겠지. 이씨 종가에 온 김씨부인은 잠을 자다 세상을 떠났다 한다. 청암부인은 남편과 시아버지가 없는 종가 종부로 왔다. 그나마 시어머니보다 덜 무서운 김씨부인이 있어서 의지하고 살았다(이 김씨부인은 보쌈당했다. 옛날에 그런 게 있었다니. 이건 거의 사람을 억지로 끌고 오는 거 아닌가. 그런 게 죄가 되지 않는 시대였다니. 여성은 아무 말 못하고 그대로 살아야 했겠다). 두 사람이 서로 의지했다고 해야겠구나. 혼례를 치렀다 해도 남편이 죽으면 그 집에 안 가도 됐다면 좋았을 텐데, 옛날엔 그런 게 없었구나. 남편이 죽어도 여자는 그 집 귀신이 되어야 한다고 했던가.


 이번 《혼불》 3권은 2부다. 혼불은 모두 5부고 두 권씩이다. 강모는 집에 오고 사랑에 갇혀 있었던가 보다. 강모는 부청 돈을 기생 때문에 횡령했다. 강모가 집에 오고 청암부인을 만났을 때 청암부인은 강모가 횡령한 돈 삼백원을 주었다. 청암부인은 아파서 거의 잠으로 보냈는데, 강모가 왔을 때 잠시 눈을 뜨고 그걸 전해주었다. 그런다고 강모가 정신차릴까. 강모는 자신이 종가를 이어야 하는 걸 부담으로 여겼는데. 강모는 자신이 아무것도 아니기를 바랐다. 종가에서 태어나지 않고 가난한 집안에 태어났다면 어땠을지. 그때는 그때대로 불평했겠지. 거멍굴에 사는 춘복이였다면. 사람은 자신이 가진 걸 고맙게 여겨야 하거늘 그러지 못한다.


 거멍굴 이야기가 나와서 하는 말인데, 옹구네는 춘복이한테 강실이 이야기를 한다. 춘복이가 자신한테 마음을 안 줘서 그런 건지. 춘복이는 결혼하고 자식을 낳지 않겠다고 했다. 자신처럼 제대로 살지 못할 걸 생각하고. 춘복이가 노비는 아닌 것 같은데. 옹구네가 강실이 이야기를 하자 춘복이는 강실이를 생각했다. 강실이는 양반집 딸이다. 지금까지 멀리서 보기만 했지 넘본 적은 없었다. 강모와 강실이 이야기는 거멍굴에 퍼지고 춘복이도 알았겠지. 춘복이는 그 일을 약점으로 잡고 강실이를 넘보게 됐다. 기회를 잡으려는 것 같다. 왜 옹구네는 강실이 이야기를 한 건지. 그러지 않아도 강실이 혼사 이야기가 잘 안 됐다. 다른 사람은 다 아는 걸 강실이 부모는 아직도 모르는가 보다. 등잔 밑이 어둡구나. 강모는 강태가 떠난다고 하는 말을 듣고 자신도 따라가기로 한다. 달아나는 거구나. 아버지가 음악하는 걸 반대했지만 강모도 거기에 큰 뜻은 없었다.


 남편도 없이 종가 종부가 되고 집안 어른이 된 청암부인이 세상을 떠났다. 청암부인은 집안 재산도 늘렸다. 그게 갈수록 줄어들지 않을까 싶다. 효원은 청암부인이 세상을 떠나서 무척 슬펐다. 효원은 강모와 잘 지내지 못해도 청암부인이 있어서 살았는데. 청암부인은 효원을 자신과 비슷하게 여긴 듯도 하다. 며느리한테는 마음을 잘 주지 않은 것 같았는데. 강모 어머니인 율촌댁은 시어머니한테 눌리고 살았다 여겼다. 효원을 보고 자신이 눌릴 것 같아서 처음부터 기를 누르려 했다. 꼭 그렇게 눌러야 할까. 청암부인이 죽은 건 이씨 문중이 기우는 것과 같을까. 저수지도 마르고. 이기채보다 동생인 기표가 여러 가지 일을 맡아서 했는데, 어쩐지 걱정스러워 보인다. 땅을 사고 땅값을 제대로 안 주다니. 아니 기채가 준 돈을 기표가 가운데서 가로챘다. 그런 일이 한두번이 아닐 것 같다. 형제도 다 소용없나 보다.


 예전 이야기가 나오기는 하지만 ‘혼불’은 1930년대 후반부터 나온다. 그때가 더 힘들었으려나. 일본이 조선에서 쌀을 다 가져가고 남자는 군인이나 탄광에 여자는 일본군 위안부나 공장 일을 시키려고 끌고 갔으니. ‘혼불’은 조선이 독립한 뒤도 나올지. 이때 가뭄이 이어져서 굶어죽는 사람이 많았다. 소작인은 거의 받는 것도 없었다. 일본이 다 빼앗아가서. 창씨개명을 했다면서 양반이 어디 있나 하는 사람도 있다. 이씨 집안은 어떻게 되려나. 효원이 집안을 지키려 할 것 같기는 한데, 청암부인처럼 하지는 못하겠다. 강모는 아주 돌아오지 않을까. 앞으로 보면 알겠지.




희선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11-08 12: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1-10 23: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페넬로페 2023-11-08 20: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몇 년전에 전주에 있는 최명희문학관에 가 본적이 있어요. 아기자기하면서 예쁘더라고요.
혼불 리뷰 읽으니 그때가 생각났어요.

희선 2023-11-10 23:41   좋아요 1 | URL
저는 혼불 문학관하고 최명희 문학관 같다고 여겼나 봅니다 전주에도 그게 있구나 했네요 혼불 문학관은 남원에 있더군요 최명희 문학관은 전주였다니... 그런 게 한 곳에 있는 게 아니군요 지금 찾아보니 거기에 느린우체통 있다는 말이 나왔어요


희선

stella.K 2023-11-08 20: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혼불 읽고 계시는군요.
이 책 오래된 책인데...
저는 1권인가, 2권 읽고 다시 못 읽고 있습니다.
희선님은 완독하시길.^^

희선 2023-11-10 23:44   좋아요 1 | URL
이것보다 먼저 《토지》를 봐서 이것도 한번 볼까 하고 보게 됐습니다 앞으로 잘 안 나가요 책 이야기도 그렇고 책 읽는 속도로 잘 안 나요 천천히라고 봅니다 한권 보는 데 며칠이나 걸리다니... 다른 이야기도 중요할 텐데, 그런 건 조금 지루하게 여기는군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