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광선의 신작. 추석때 우선 1권을 읽어야 겠다.




나는 먼지보다는 재가 되리라

내 삶의 불꽃이 마르고 부패되어
숨 막혀 죽기보다는
차라리 찬란한 불길 속에서 타오르리라

졸린 듯 영원한 행성보다는
차라리 떨어지는 최고의 별똥별이 되어 이
내 모든 원자 하나하나가 장엄한 빛을 발하리라

존재가 아니라 사는 것이 곧 인간의 본분일지니
나는 생의 연장을 위해 주어진 날들을 허비하지 않으리
내게 허락된 시간들을 모두 쓰리라 - P7

그는 이해했다. 여기 지적인 삶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가 꿈도 꾸지 못했던 온화하고 경이로운 아름다움이 여기에 있었다. 그는 자신을 잊고 굶주린 눈으로 그녀를 바라보았다. 여기에 그것을 위해 살 만한, 자신을 내던질만한, 싸울만한, 아, 죽음도 무릅쓸 만한 어떤 것이 있었다. - P25

그는 경청하기도 했지만, 자신의 시선이 그녀에게 박혀 있다는 것도, 자신의 눈에서 지극히 남성적인 본능이 뚜렷하게 내비친다는 것도 모른 채, 그녀를 바라보았다. 그녀는 남자들의 세계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었으나, 여자이기 때문에 그의 불타는 눈을 예민하게 의식했다. 이제까지 그렇게 쳐다보는 남자는 없었으므로 당혹스러웠다. 그녀는 말을 더듬다 멈추거나 주장의 맥락을 놓치기도 했다. 그가 부담스러우면서도 그의 그런 시선을 받는다는 것에 야릇한 쾌감이 느껴졌다. 위험하다고, 나쁘다고, 미묘하고 기이한 유혹이라고 그녀가 받은 교육이 경고했다. 그러나 그녀의 본능은 그녀의 존재 전체에 걸쳐 높고 맑게 울렸다. - P25

그는 평생 사랑에 굶주렸고, 그의 본성은 사랑을 갈구했다. 사랑은 그라는 존재의 본원적 요구였다. 그러나 그는 사랑 없이 살아가야 했기 때문에 자신을 무감각하게 만들어 왔다. 자신이 사랑이 필요한 사람이라는 것조차 알 수 없게 되었고, 지금도 여전히 알지 못했다. 단지 사랑이 작동하는 장면을 보고, 그 광경에 짜릿함을 느끼고, 사랑이란 멋지고 고귀하고 찬란하다고 생각할 따름이었다. - P32

마침내 그 여자, 생각하지도 못했던, - 여자들 생각을 별로 하지도 않았지만 - 그래도 언젠가 만나리라고 막연히 기대했던 여자를 만났다. 초저녁의 정찬에서 그는 그녀 옆에 앉아 있었다. 제 손으로 그녀의 손을 잡았고, 그녀의 눈을 들여다보았으며, 내비치는 아름다운 정신을 보았다. 그러나 정신을 내비치는 눈은 정신보다 더 아름다웠고, 정신에 표현과 형태를 주는 육체는 더욱 아름다웠다. 그는 그녀의 육체를 단순한 육체로 생각하지 않았다. 여지껏 아는 여자들에 대해서 단순하게만 생각했던 그에게는 새로운 경험이었다. 그녀의 육체는 어쨌든 달랐다. 그는 그녀의 몸을 병들고 무너져야 하는 몸으로 이해하지 않았다. - P45

그러나 그가 그녀의 눈에서 본 것은 영혼, 절대 죽지 않는 불멸의 영혼이었다. 그가 아는 어떤 남자도 여자도 그에게 불멸이라는 메시지를 준 적이 없었다. 그런데 그녀가 그것을 주었다. 처음 그를 본 순간, 그녀는 불멸을 속삭였다. 걸어가는 동안 그녀의 얼굴이 눈앞에 어른거렸다. 오직 영혼만이 지을 수 있을 듯한 연민과 상냥함이 담긴 미소를 짓는, 창백하고 진지하며 다정하고 예민한, 그가 결코 꿈도 꾸어 보지 못했을 정도로 순수한 얼굴이었다. 그녀의 순수함이 한 방 먹이듯 그를 강타하며 뒤흔들어 놓았다. 그는 선과 악을 알았으나 순수함은 존재의 한 속성으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그런데 이제 그녀로 인해 그는 순수함이 최상의 선함과 정결함이며, 둘의 합이 영원한 생명을 이룬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 P46

"루스" 그는 단순한 소리가 그토록 아름다울 수 있음을 이제껏 알지 못했다. 그 소리가 귀를 열광케 했다. 그는 도취되어 반복했다. "루스" - P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전에 봤던 영화의 감동이 다시 느껴진다. 영화도 다시 봐야겠다.




이 이야기는
7할의 진실과,
1할의 편의적 상상과,
1할의 구성적 변경과,
1할의 이유를 알 수 없는 고백으로 이루어졌다.
말할 수 있는 바이다

시도 자기 생각을 펼치기에 부족하지 않아. 사람 마음속에 있는 살아 있는 진실을 드러내야 문학은 온전하게 힘을 내는 거고…. 그런 힘이 하나하나$모여야 세상이 변하는 거라고. - P59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나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 보고,
흙으로 덮어 버리었습니다. - P64

부끄럽지. 부끄러운 일이야. 침묵하고 있는 나도 부끄럽고, 술에 취한 나도 부끄럽고, 일본으로 유학 가라고 권하는 나도 부끄럽네. 부끄럽지 않게 사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이겠나? 부끄러움을 아는 건 부끄러워할 일이 아니네. 부끄러움을 외면하는 게 부끄러운 일이지. - P71

바람이 어디로부터 불어와
어디로 불려가는 것일까, - P88

바람이 부는데
내 괴로움에는 이유가 없다 - P89

오늘도 기차는 몇 번이나 무의미하게 지나가고,

오늘도 나는 누구를 기다려 정거장 가차운 언덕에서 서성거릴게다.

아아 젊음은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 - P113

비밀리에 조선어 문학과 서적을 유통시키며…. 아…. 내가 정말 이렇게 못 해서 한스럽다. 징집령을 이용하여 황군 내 조선인 반군 조직을 결성, 활용할 군사적 계획을 지시했으며…. 아..… 이게 정말 이렇게 됐으면 얼마나 좋았겠냐…. 내가 정말.… 그렇게 못 해서 너무 부끄러워서… 부끄러워서... 서명을 한다… 부끄러워서…. - P145

저는 서명하지 않겠습니다. 당신 말을 들으니 정말로 부끄러운 생각이 들어서 못 하겠습니다. 이런 세상에서 시를 쓰길 바라고 시인이 되길 원했던 게… 너무 부끄럽고…… 앞장서지 못하고 따라나서기만 한 게 또 너무 부끄럽고… 부끄럽고..…부끄러워서…. 서명을 못 하겠습니다. - P1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기 끝. 다시 읽은 1Q84는 역시 좋다. Back to the real life.
















내가 지금 이 세계에서 사라져버린다 해도 그걸 알아차릴 사람은 아무도 없으리라. 어둠 속에서 비명을 질러도 그 목소리는 어느 누구의 귀에도 가 닿을 리 없다. 하지만 그래도 어떻든 죽을 때까지는 살아가는 수밖에 없고, 살아가자면 내 나름의 방식으로 살아가는 수밖에 없다. 별로 칭찬받을 만한 일은 아니라 해도, 그것 말고는 살아갈 방법이 없으니까. - P13

"다른 세계라고 할까 내가 살고 있는 이 세계에서 몇 광년이나 떨어진 어느 소행성에 대한 아주 상세한 보고서를 읽는 것 같은 느낌이에요. 거기에 묘사된 정경 하나하나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건 가능해요. 그것도 꽤 선명하고 극명하게. 하지만 이곳에 있는 정경과 그 정경이 잘 이어지지 않아요. 물리적으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니까. 그래서 한참 읽다가 다시 앞으로 돌아가서 똑같은 곳을 몇 번이나 읽게 돼요."

(하루키도 프루스트는 몇번이나 다시 읽어야 되는 작품이었나 보다.) - P32

"뭔가 타인의 꿈을 바라보는 것 같아요. 감각의 동시적인 공유는 있어요. 하지만 그 동시라는 게 어떤 것인지 파악이 안 돼요. 감각은 아주 가까이에 있는데, 실제 거리는 지독히 멀리 떨어져 있어요."

"그런 감각은 프루스트가 의도했던 것일까?"

(잃시찾에 대한 하루키의 대답) - P32

"정말 기묘한 세계로군. 어디까지 가설이고 어디서부터 현실인지, 그 경계가 갈수록 모호해져. 이봐 덴고, 자네는 소설가로서 현실이라는 것을 어떻게 정의하겠나?"

"바늘로 찌르면 붉은 피가 나는 곳이 현실세계예요." 덴고는 대답했다.

"그렇다면 틀림없이 이곳은 현실세계네." - P72

나는 우연히 이곳으로 실려온 것이 아니다.
나는 있어야 하기에 이곳에 있는 것이다. - P186

"사람 하나가 죽는다는 건 어떤 사연이 있건 큰일이야. 이 세계에 구멍 하나가 뻐끔 뚫리는 거니까. 거기에 대해 우리는 올바르게 경의를 표해야 해. 그러지 않으면 구멍은 제대로 메워지지 않아." - P194

"차가워도, 차갑지 않아도, 신은 이곳에 있다." - P217

"이렇게 된 이상, 이 세계의 어디에도 안전한 장소 같은 건 없어요." - P238

그런 전 단계 없이 갑자기 그와 단둘이 만나면 무슨 말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좋을지 아오마메는 짐작이 가지 않는다. 그 장면을 상상하면 숨이 가빠지고 머리가 멍해진다. 말해야 할 게 너무도 많다. 동시에, 막상 그 순간이 되면 해야 할 말이라고는 하나도 없을 것 같기도 하다. 그녀가 말하고 싶은 것들은, 일단 입 밖에 내면 소중한 의미가 상실되는 것들뿐이다.

(입 밖에 나가면 의미가 상실된다.) - P241

"멀리까지 간다고 했지." 다마루는 말한다. "얼마나 멀어질까."

"그건 숫자로는 잴 수 없는 거리예요."

"사람의 마음과 사람의 마음 사이의 거리처럼." - P245

이십 년이라는 세월이 덴고 안에서 한순간에 녹아들고 한데 섞여 소용돌이쳤다. 그동안에 집적된 모든 풍경, 모든 언어, 모든 가치가 한데 모여들어, 그의 마음속에서 한 줄기 굵은 기둥이 되어 그 중심을 녹로처럼 빙글빙글 회전했다. 덴고는 말없이 그 광경을 지켜보았다. 한 행성의 붕괴와 재생을 목격하고 있는 사람처럼. - P263

"우리는 이제부터 어디로 이동하게 될까? 너와 나와 그 작은 것은"

"여기가 아닌 곳으로."아오마메는 말한다. "하늘에 달이 하나만 떠 있는 세계로. 본래 우리가 있어야 할 장소로, 리틀 피플이 힘을 갖지 않는 곳으로." - P294

"우리가 얼마나 고독했는지 아는 데는 서로 이만큼의 시간이 필요했던 거야." - P317

그녀는 공중에 가만히 손을 내민다. 덴고가 그 손을 잡는다. 두 사람은 그곳에 나란히 서서, 서로 하나로 맺어지면서, 빌딩 바로 위에 뜬 달을 말없이 바라본다. 그것이 이제 막 떠오른 태양빛을 받아, 밤의 깊은 광휘를 급속히 잃고, 하늘에 걸린 한낱 회색 오려낸 종이로 변할 때까지. - P320


댓글(8)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9-05 01: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9-05 08: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9-05 13: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9-05 14: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9-05 14: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9-05 17: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9-06 17: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9-06 17: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간만에 읽은 에세이인데 좋았다. 커피와 담배는 좋을 수 밖에 없다.


그때까지 나는 스스로를 대접하고 아낀다는 의미가 뭔지 잘 몰랐다. 진정한 휴식의 의미도 몰랐다. 무엇을 원하고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본 적이 없었다. 미래를 계획한 적도 없고 그냥 되는대로 살고 있었다. 그저 세상이 나를 몰라주고 내 자리가 없다고 불평하면서. 한마디로 내가 나를 사랑하는 법을 몰랐다. 내가 나를 인정하고 대접해야 채워지는 허기를 못 알아보고 공허한 마음으로 먼 곳까지 와서 끝없이 카페를 방문하며 힘들게 900킬로미터를 걷고 있는 내 모습이 그제야 보였다. - P16

커피는 유일하게 사치를 부릴 수 있는 영역이고 내가 다른 세계로 넘어갈 수 있는 영역이었다. 커피는 내가 나를 사랑하고 대접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이다. 커피는 민주적이다. 커피는 쉽게 손을 내밀어준다.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는 내가 발을 반쯤 걸치고 삶의 여유를 꿈꿔볼 수 있게 한다. 커피마저 없다면 내 삶은 무미건조하고 비참해질 것이다. 커피는 아무것도 아니므로 거기에 많은 것을 담을 수 있다. - P18

사람이 사람에게 반하게 되는 이유는 아주 사소한 것.일 때가 많다. 스웨터에 난 작은 구멍이라던가, 담배를 피울 때의 미묘한 손의 위치라던가. - P23

커피를마시는 허상의 이미지에 자신을 담기 위해 커피를 마시기 시작하지만 때때로 커피는 ‘내가 지금 바로 여기에 있다‘는 걸 완벽하게 느끼게 한다. 그 순간은 내가 만들어낸 ‘커피를 마시는 나의 이미지’를 넘어서는 것이다. 커피는 내 몸으로 감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58

나의 담배는 그렇다. 다른 사람들도 각자의 담배가 있겠지. 담배에 불을 붙일 때면 함께 불려 나오는 기억들. 방처럼 펼쳐지는 기억들. 그래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집을 들고 다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수많은 기억으로 이루어진 집. 그렇지만 무게가 전혀 나가지 않는 집. 담배에 불을 붙이면 그것들은 안정감 같은 특수한 감정의 형태로 몸에 잠시 내려앉는다. 그것이 담배를 끊지 못하는 이유다. 담배를 피우는 것은 단순히 담배를 피우는 것만이 아니라 어떤 기억을, 감정을 잠시 소환하는 의식에 가깝기 때문이다. - P67

계속 그렇게 살았으면 훌륭한 작가가 되었을 텐데, 곧 이렇게 사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 하는 회의가 들이닥쳤다. 커피와 담배 없이 숙면의 힘으로 훌륭한 작품을 생산하는 삶보다는, 그냥 커피를 마시고 담배를 피우고 괴로워하며 그럭저럭한 글을 쓰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스멀스멀 올라오기 시작했다. 무미건조한 삶보다는 고통도 있고 행복도 있고 많은 것들을 견디는 삶이 더 의미 있어 보였다. 아니 사실 이 모든 것은 다 핑계고 그냥 내 몸은 카페인과 니코틴을 원했다. 나는 금욕이 싫었다. 나는 그가 아무것도 원하지 않는 사람이 된 것이 싫고 미웠다. - P85

혼자 있다고 꼭 고독 속에 있는 것은 아니다. 내가 말하는 고독은 물론 ‘다른 사람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지만 이 순간 나는 나 자신을 벗 삼고 있다. 반면 내가 혼자있든 누구와 함께 있든 나 자신이 내게 결핍되어 있을때, ‘내게 결핍되어 있는 그 누구’가 다름 아닌 나 자신일 때, 이런 상태는 고립이다(반대로 사랑은 상대방이 거기 있을 때조차 그가 그리운 상태를 말한다). 고독 속에 있다는 것은 상대방이 거기, 내 안에 있다는 확신을 느끼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상대방과 내가 모두 결핍되어있는 단절도 있다. - P95

빗대어 말하면, 커피와 담배는 고립을 고독의 상태로 만들어준다. 커피와 담배는 내가 나 자신과 함께 있게 해준다. 각자의 안에는 결코 들여다볼 수 없는 블랙홀 같은 부분이 있고 그것이 일으키는 중력의 힘이 우리를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 스스로에 대해 모든 것을 이미 다 알고 있다면 더 알 필요가 없을 것이다.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내면의 어떤 부분이 있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만으로도 인간은 성숙해진다. - P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전에도 좋았던 문장은 지금봐도 좋다.


"그거면 돼요. 만일 가능다면 소프트볼용 금속 배트도 다마루는 몇 초 동안 침묵한다. "배트는 용도가 다양해요." 아오마메는 말한다. "그저 가까이에 놔두기만 해도 마음이 차분해져요. 나와 함께 커온 거나 마찬가지인 물건이니까."

(태엽감는 새 연대기 생각이 날 수밖에 없다.) - P42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어때?" 다마루는 말한다.

"만일 아직 읽지 않았다면 완독할 좋은 기회일지도."

"당신은 읽었어요?"

"아니. 나는 교도소에도 간 적이 없고 어딘가에 오래 은신할 일도 없었어. 그런 기회라도 갖지 않는 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완독하는 건 어려운 일이라고들 하더군."


(교도소에 가야만 완독할 수 있는 잃시찾 ㅋㅋ) - P43

「공기 번데기」는 진즉에 베스트셀러 목록에서 자취
를 감췄다. 1위에 오른 건 『먹고 싶은 거 먹고 싶은 만큼 먹으면서 살빼기』라는 다이어트 책이었다. 훌륭한 제목이다. 안이 완전한 백지여도 잘 팔릴지 모른다.

(ㅋㅋㅋㅋㅋㅋ 역시 하루키) - P58

그녀는 다마루가 보내준 프루스트를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하루에 이십 페이지 이상은 읽지 않도록 주의했다. 시간을 들여 그야말로 한 자 한 자 꼼꼼하게 이십 페이지를 읽는다. 거기까지 다읽으면 다른 책을 손에 든다. 그리고 잠들기 전에는 공기 번데기를 반드시 몇 페이지씩 읽는다. 그것은 덴고가 쓴 글이고, 또 어떤 의미에서는 그녀가 1Q84년을 살아가기 위한 매뉴얼이기도 하니까.

(잃시찾은 하루에 이십페이지 까지만 ㅋ) - P93

그는 조금만 더 손을 내밀면 닿을 곳에 있었다. - P95

인간은 희망을 부여받고, 그것을 연료로, 목적으로 삼아 인생을 살아간다. 희망 없이 인간이 계속 살아가는 건 불가능하다. 하지만 그것은 동전 던지기와도 같다. 앞면이 나올지 뒷면이 나올지는 동전이 떨어질 때까지 알지 못한다. 그런 생각을 하면 가슴이 옥죄어온다. 온 몸의 뼈라는 뼈가 모두 삐걱거리며 비명을 울릴 만큼 강하게. - P96

아무리 조용히 숨을 죽이고 있어도 누군가가 반드시 당신을 찾아냅니다. - P104

By the pricking of my thumbs.
Something wicked this way comes,
Open, locks.
Whoever knocks. - P130

그 자그마한 여자가 나간 뒤, 우시카와는 한참이나 석연찮은 기분으로 문을 골똘히 쳐다보았다. 그녀가 등뒤로 닫고 간 문을 사무실에는 아직 그녀의 기척이 강하게 남아 있었다. 어쩌면 그 여자는 자신의 기척을 남기는 대신 우시카와의 영혼을 일부 가져갔는지도 모른다. 그는 새로 생겨난 그 공백을 가슴속에서 느낄 수 있었다. 어째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걸까, 우시카와는 신기하게 생각했다. 그리고 그것은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덴코와 아오마에의 데쟈뷰?) - P144

"나는 좀더 일찍 너를 찾아나서야 했어. 그런데 그렇게 하지 못했어."

"지금부터라도 늦지 않아. 너는 나를 찾아낼 수 있어." 소녀는 말한다. - P189

재생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덴고는 물었다. "재생에서 가장 큰 문제는 말이지." 자그마한 간호사는 중요한 비‘밀을 털어놓듯이 말했다. "인간은 자기 자신을 위해서는 재생할 수 없다는 거야. 다른 누군가를 위해서만 재생할 수 있어.

(누군가를 위해서만 재생할 수 있다.) - P191

이 여자는 덴고를 진심으로 좋아하는구나, 하고 우시카와는 감탄했다. 거의 무조건적인 호의를 품고 있다. 타인에게서 그토록 깊은 호감을 사면 과연 어떤 기분이 들까.

(역시 좋은 문장. 타인에게 무조건적인 호감은 어떤 느낌인까?)
- P2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