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만큼 감동을 잘 전해주는 것이 또 있을까. 음악은 듣는 그대로 느끼면 그만이지 복잡한 사유를 거치는 무언가를 우리

에게 요구하지는 않는다. 순수 기악음악은 언어의 장벽도 없고, 있다고 하더라도 타인의 심금을 울리기에는 충분하다.

 클래식을 처음 들었던 시절, 여러 친숙한 곡들을 듣고 알아가며 즐거워 했었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던가. 불이 꺼진 방에서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을 듣던 중 마음 속에서 알 수 없는 뭔가가 울컥 솟아오르더니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었다.

 그 눈물의 정체가 뭐였는지는 지금 생각해봐도 잘 모르겠다. 그 전까지 가요나 팝송 등 다른 장르의 음악들을 듣긴 했지만

귀로만 듣고 마음으로는 듣지 않았었는지 그런 경험이 한 번도 없었는데 말이다. 음악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꼈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여튼 생경한 경험이었으니...

 이 때의 일로 하나 깨달을 것이 있다면 음악은 듣는 장소, 청취자의 마음,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음악을 받아들이는 감정이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는 거였다. 라흐마니노프 2번은 그 전부터 여러번 들었던 음악인데 어느 날 갑자기 이런 일을 겪었으니

그럴 만도 했다.

 그러나 그 후부터가 문제였나보다. 이 때의 감격을 잊지 못 하고 나는 '클래식 음악에서 내가 감동을 받아야 한다'란 명제가

무의식 중에 성립되어 버렸던 듯 하다. 어떠한 음악을 들어보아도 눈물이 흘렀던 그 때의 기분에 비슷하지 못 했으며, 점점

공허만 더해갈 뿐이었다. 쉽게 말해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을 뛰어넘는, 혹은 감동을 주는 음악을 찾기 힘들자

점점 음악을 듣는 것에 대해 회의가 더해져 갔다.

 뭘 들어도 그냥 '좋다..'란 느낌만 있고 그 이상의 뭔가를 느끼기가 힘들었다. 계속 이런 상황이 지속되자 감상을 중단했는데,

더 들어봤자 아무 의미와 목적도 없는 곳을 허우적거리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음악이란 것을 너무 진지하게 대하고 있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든다. 락도, 일렉트로니카도 음악이고,

클래식도 음악인데 자기가 좋아서 들으면 그만이지 맨날 감동을 찾는 내가 참 어리석었다. 시작부터 이상한 방향으로 가면

목적지도 멀어지고 엉뚱한 방향으로 가듯이, 내가 딱 그 꼴이었던 거다. 굳이 음악에 감동을 요하지 않고, 내가 들어서 기분이

나아진다면 감상의 목적은 다 이룬 셈인데 무얼 더 바란 단 말인가.. 이게 내가 내린 답이었다.

 마음을 그렇게 먹자 음악을 듣는 기분이 편했다. 이전까지는 음악을 들으면서 '이 음악에서 뭔가를 내가 느끼고 찾아야만 해'

란 강박관념이 자리하고 있어서 세부에만 치중하다보니 음악 그 자체를 소홀히 했었는데.. 마음 하나 먹기로서니 기존에 듣던

음악들도 이렇게 다르게 다가올 줄은 몰랐다.

 지금도 그렇다. 음악에서 뭔가 크게 기대를 가지고 듣는다기 보다는 물 흐르듯이 편하게 듣고, 내가 느낀 감정을 쓰다듬어 볼

뿐이다. 이것이 옳은 음악 감상 방법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이미 나는 이에 적응해 버린 것 같다.

 

 그러나 이렇게 무의식 중에 듣다가도 이전처럼 가슴이 벅차오르는 감동을 몇 번씩 느끼기도 한다.

 Rockwell - Knife를 들었을 때도, Secret Garden - Serenade To Spring을 처음 들었을 때도 이러 했다. 장르를 가리지 않은

채 이러는 걸 보니 내가 감수성 과잉인 것 같기도 하고..  

 

 

 특히 클래식을 주로 듣는 분들에게서 이런 일이 종종 발생하는 것 같은데, 혹여 나와 같은 경험을 하시는 분이 있을까해서 글

을 남긴다. 음악은 감동을 찾기위해 듣는 것이 아니라, 들음으로해서 내 기분이 나아졌다면 감상의 목적은 다 이룬셈이라고..

 허나 음악 감상의 목적은 내 나름의 답을 내렸을지 몰라도 '음악을 듣는다는 것'이 뭔지는 잘 모르겠다. 단순히 '누군가가

작곡한 것을 가수나 연주자들이 공연, 혹은 녹음한 것을 듣는 것'이란 말로 설명할 수 있는걸까..?

 이에 대한 답은 모른다. 혹시 모르지.. 세월이 더 지나서 답 근처에 갈 수는 있을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누군가가 만들었지만 현재는 없어진 악기도 있고, 존재만 할 뿐 그다지 연주되지 않는 악기도 있기 마련이다.

 건반악기도 버지널, 하프시코드, 클라비코드, 피아노, 오르간, 첼레스타 등 많은 종류가 있(었)지만 피아노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대중성을 어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프시코드는 쳄발로, 클라브생 등으로도 불리며 16C~18C까지 근 200년 동안 유럽 음악사에서 확고히 주름을 잡았지만,

크리스토포리가 발명한 피아노에 의해 건반악기 왕좌를 내주고 말았다.

 한 세기 넘게 잊혀졌다가(19C 작품 중 하프시코드 작품을 찾기는 정말 어렵다) 20C에 란도프스카, 레온하르트 등 뛰어난

하프시코디스트들이 부활에 힘써서 현재는 나름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악기 부활운동과 맞물려 파야, 글래스 등 대작곡가들

이 하프시코드를 위한 독주곡이나 협주곡 들을 남겼지만.. 음.. 솔직히 그다지 두각을 나타낸 작품은 아닌 것 같다.

 

 아무래도 하프시코드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음악들은 이 악기가 빛을 발한 바로크 시대의 음악들이 아닐까.

 F.쿠프랭, 라모, J.S.바흐, D.스카를라티로 대변되는 소나타나 모음곡 등은 세공사가 다듬은 듯한 우아함이 느껴지는

하프시코드 음악들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하프시코드에 특별히 관심을 가지지 않는 한 이 악기의 소리를 못 들어봤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바로크 음악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음악에서 하프시코드가 사용된다. 바로 통주저음(바소 콘티누오) 때문이다.

 바로크 기악에서 반주자가 즉흥적으로 연주를 하는 건박악기가 바로 하프시코드이다. 주선율이 아니기 때문에 무심코

지나쳤을, 그러나 명징한 건반악기 소리..

 부활을 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연주회에서 하프시코드를 만나기란 쉽지 않고, 악기의 가격도 적게는 수 천 만원, 많게는

수 억을 호가하기 때문에 구매하기는 커녕 배우기도 쉽지가 않다(주변에 하프시코드 학원 보신 분?=_=;).

 

 결국 하프시코드 음악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길은 인터넷, 혹은 음반구매 밖에 없다. 처음 접했을 때는 이 악기의

소리나 음색이 매우 신기하여 한 동안 매달렸던 기억이 난다. 지금이야 그런 열정이 많이 식었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악기라는 건 틀림없다. 현대에도 대중성 있는 하프시코드 음악들이 많이 작곡되고, 분야를 넓혀가다보면 다시 피아노와

대등한 위치에 서게 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져본다.

 

 

 내가 특별히 좋아하는 퍼셀과 솔레르의 곡들..^^

 

 

 Purcell (1659~1695) - Harpsichord Suite No. 1 in G major, Z 660

 

 

 

 Soler (1729~1783) - Harpsichord Sonata in C majo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클래식 음악의 새로운 보물을 찾고 싶다면 그야말로 강력추천하고 싶은 음반이다!

 낙소스는 거의 매달 15~20개의 음반을 출시하기 때문에 레퍼토리가 너무나 방대하여 관심을 가져두지 않으면

잊혀져버리는 앨범들이 수두룩하다. 물론 음반의 질이 얼마나 뛰어나느냐가 문제겠지만..

 상기 앨범은 2006년 출시되었을 때 눈독을 들이고 있다가 바로 구매..^^

 

 이름조차 생소한 칸도쉬킨(Khandoshkin)은 18C 러시아의 유일한 바이올린 비르투오소라고 봐도 무방하다.

 초상화가 안 전해지는건지 인터넷에 없는지는 모르겠지만 작곡가의 사진은 구할 수가 없고...

 그의 비올라 협주곡이 전해지고 있지만 위작설이 있어 확실하지가 않다.

 

 실린 곡으로는 3개의 바이올린 소나타와 6개의 러시아 민요를 바이올린용으로 편곡한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서구화되던 시기의 작품이라 이탈리아의 음악적 경향이 짙게 느껴지나 러시아 고유의 특색이 깃든 점도 무시할 수 없다.

 오히려 18C의 클래식에서는 변방이던 러시아에서 이런 수준의 곡을 남겼다는 것은 경탄스러울 정도다.

 

 연주자인 아나스타샤 커트루크의 연주는 명징하며, 드미트리 야쿠보프스키와 키릴 예프투셴코의 반주도 탁월하다.

 소장한지 7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즐겨 듣고 있는 음반이다. 낙소스에서 칸도쉬킨의 다른 작품도 발매가 되었으면!

 

 

 14번 트랙 - Once I Gathered Golden Sheaves

 http://www.youtube.com/watch?v=lBSkrJciuBI

 

 8번 트랙 -  Violin Sonata No. 3 in D major, Op. 3 - Minuetto grazioso

 http://www.youtube.com/watch?v=l3J6GA7ormM

 

 9번 트랙 - Violin Sonata No. 3 in D major, Op. 3 - Allegro vivace

 http://www.youtube.com/watch?v=Kt8janVfLsc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raus - Piano Trio in D major, VB 171 - 1st Movement : Allegro moderato

 

 

음악부터 감상해보자!

 

 

 나는 클래식 음악을 처음들었을 때부터 이상하게 작곡가들의 생몰년도에 신경을 쓰면서 음악을 감상했는데, 그런 일이

오래 지속되자 한 번 알게 된 작곡가들의 생년과 몰년은 다 외워버리는 특이한 습관(?)이 생겨버렸다.

(생일과 망일까지는 뇌가 따라가지 못 한다..)

 어찌됐든 별로 도움은 안 되는 지식이다.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인 숫자놀음이라고 봐도 되겠다...ㅜㅜ

 왜 이런 얘기를 했냐면 이 생몰년도로 인해 크라우스란 작곡가에 주목하게 된 계기이기 때문이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요제프 마르틴 크라우스 (Joseph Martin Kraus, 1756~1792)

 

 

 영원한 음악의 신동인 모차르트는 거짓말 좀 보태서 갓난아기 빼고는 모르는 사람이 없다고 봐도 될 정도다.

 그런 그의 생몰년도는 진즉에 알고 있었는데, 정말 우연히 알게 된 이가 크라우스였다.

 ('뭐 음반 좀 살게 없나...'하면서 둘러보다가 그냥 얻어 걸렸다...;;)

 '아니, 생존시기가 모차르트하고 거의 비슷하네?' 그냥 호기심이었다고나 할까.. 한 번 들어보기나하자란 마음으로 구매했다.

 그런데 이게 웬일.. 처음 접했을 때는 모차르트의 음악들을 듣는 줄 알았다. 급관심이 생겨서 이런저런 정보들을 알아보았

는데 잊혀진 인물이었다가 요즘들어서 재발굴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음악들도 Op 넘버가 없는 작품들이 많아서 정리가 안 되어있었는데 보어(Bertil van Boer, 1952~ )란 미국의 음악학자가

정립하고 VB 넘버를 부여하여, 현재 VB 204까지 이르고 있다.

 음반설명에 있는 하이든이 '나는 두 명의 천재를 알고 있다. 모차르트와 크라우스이다'라고 한 말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지

는 이유도 그의 음악들이 뛰어나기 때문이었다.

 

 '스웨덴의 모차르트'라고 주로 언급되는데, 독일 태생이지만 인생의 대부분을 스웨덴에서 보냈기 때문에 얻어진

별칭이다. 스웨덴에서 음악을 사랑하는 구스타프 3세의 배려로 이탈리아로 유학을 떠나 공부를 했고, 이 때에 당대의

유명인사인 하이든이나 알브레히츠베르거, 글루크 등과 친교를 나누었다고 한다.

 1787년에 스웨덴으로 돌아와 왕성한 활동을 했지만 든든한 후원자였던 구스타프 왕이 암살되고는 입지가 좁아졌고,

건강이 점차 악화되는가 싶더니 36세에 결국 결핵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작품들은 아직 많은 것들이 녹음이 안 된 상태이고, 산실된 것도 그 수가 꽤 되는 비운의 작곡가다.

 생몰년도 때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지만 이대로 묻혀있기에는 너무나 안타깝다고나 할까..

 다행히 그래도 요즘은 여러 녹음들이 선을 보이고 있다!

 내가 좋아하는 피아노 협주곡이 크라우스에게 없는 것은 안타깝지만(ㅠㅠ) 교향곡과 실내악들, 바이올린 협주곡이나

비올라 협주곡 등 뛰어난 음악들이 정말 많다~!

 전집을 소유하고픈 욕망이 불끈불끈...(브릴리언트에서 크라우스 전집 좀 발매 해 주었으면... 흑흑)

 

 

 

 

 그래도 현재까지 발매된 크라우스의 녹음들은 대부분이 만족스럽다. 낙소스에서도 나름의 비중을 두고 발매해주고

있고.. 다른 곡들도 듣게 되길 바라며 음반 추천~

 

 

 

 

 

 

 

 

 

 

 

 

 

 

 

 

 

 

 

 

 

 

※추가 - 기타 생몰년도에 관한 잡지식.. 내가 어쩌다 발견한 것들.. 그냥 아포페니아...=.=

 

첫 번째!  페르골레시 (Pergolesi, 1710~1736) 26세
              부르크뮐러 (Burgmüller, 1810~1836) 26세

              - 똑같이 26세에 요절했는데, 연도가 딱 100년이 차이가 난다. 혹시 환생?!(....)

 

두 번째! 스트라디바리 (Stradivari, 1644~1737) 93세

             비도르 (Widor, 1844~1937) 93세

              - 여기도 93세에 사망했는데, 연도가 딱 200년 차이! 역시나 환생?!!(.......)

 

세 번째! 모차르트 (Mozart, 1756. 1. 27)

             아리아가 (Arriaga, 1806. 1. 27)

              - 아리아가는 모차르트가 태어나고 생일도 똑같은 정확히 50년 후에 태어났다! 아리아가가 괜히

                '스페인의 모차르트'로 불리는 것이 아니었어!(그나마 신빙성이 있...ㅠㅠ)

 

네 번째!  생일에 사망한 안타까운 이들..

              프레토리우스(Michael Praetorius, 1571. 2. 15~1621. 2. 15)

              B.마르첼로(Benedetto Marcello, 1686. 7. 24~1739. 7. 24) - 유명한 오보에 협주곡의 작곡가인 A.마르첼로의

              동생이다.

 

- END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eav - I Dreamt That I Dwelt in Marble Halls

 

 

 너무나 유명한 음악! 조수미의 애창곡으로 우리네 귀에도 익숙하다.

 '나는 대리석 궁전에 사는 꿈을 꾸었어요'란 뜻인데 제목만큼이나 환상적이며 아름답고 우아하다.

 장 폴 마르티니의 '사랑의 기쁨'처럼 현대에도 여러 가수들이 자주 부르다보니 일반 대중가요처럼 인식되기도 하지만,

실은 작곡가 밸프의 '보헤미아의 소녀'란 오페라의 아리아이다.

 

 밸프(Michael William Balfe, 1808~1870)는 흔치않은 아일랜드의 작곡가이다(발페, 발프 등으로도 불림).

 바리톤 가수로 시작하여 명성을 쌓았으며 작곡가로도 전향한, 이 역시 특이한 경우다.

 38곡의 오페라, 250여 곡의 가곡들을 남겼지만 오늘날에는 알려진 것이 '나는 대리석..'밖에 없다.

 '보헤미아의 소녀' 역시 이 아리아 때문에 언급된다 뿐이지 전곡이 무대에 올려지는 일은 매우 드문 실정..

 

 그 외에 언급되는 것은 '로셸의 함락(The Siege of Rochelle)' 정도.. '보헤미아의 소녀'덕에 흥행사로 떠올랐지만

점점 명성이 하락, 지휘에도 손을 댔지만 별다른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고 결국 만년은 쓸쓸하게 보냈다.

 

 

 

 (밸프씨.. 활약 좀 해보세용..ㅜㅜ)

 

 

 

 밸프의 단독음반은 출시된 것도 별로 없고 우리나라에는 수입된 것이 전무하여 구하기가 쉽지 않다.

 '보헤미아의 소녀'는 전곡을 꼭 한번 들어보고 싶은데... 언젠간 구할 수 있겠지..ㅜ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