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펜젤러는 정동(貞洞)에 가면 자주 들을 수 있는 이름이다. 정동 제일교회와 배재학당을 세운 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 이화여고 6대 교장을 지낸 그분의 따님 아펜젤러..

정동 제일교회와 배재학당을 세운 아버지 아펜젤러는 헨리 아펜젤러(Henry Appenzeller: 1858 – 1902)이고 이화여고 6대 교장을 지낸 따님 아펜젤러는 앨리스 레베카 아펜젤러(Alice Rebecca Appenzeller: 1885 – 1950)이다.

헨리 아펜젤러는 44세에 성경 번역을 위해 목포로 가는 배에서 한국인 소녀를 구하다가 물에 빠져 목숨을 잃는다.

마이어 구겐하임의 여섯째 아들인 벤자민 구겐하임이 1912년 딸 페기 구겐하임의 생일에 가려고 타이타닉호에 탔다가 배가 가라앉기 시작하자 여자와 아이들을 구명 보트에 태우고 자신은 정장 차림으로 신사답게 죽을 것이라면서 구명 조끼를 거부하고 죽은 것을 생각나게 한다.(아,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페기 구겐하임 미술관, 솔로몬 구겐하임 미술관..)

앨리스 레베카 아펜젤러는 1912년 이화여고 교사가 되었고 1922년에는 교장이 되었다. 이화여고 창립자는 감리교 선교사 메리 스크랜턴(Mary Scranton: 1832 – 1909)이다.
헨리 아펜젤러 선교사가 배재학당을 설립하자 이에 자극을 받아 이화학당을 설립했다.

한편 고종과 명성황후 민씨의 주치의이자 선교사였던 알렌은 호레이스 뉴턴 알렌(Horace Newton Allen: 1858 – 1932)이다.

헨리 아펜젤러와 동갑이다. 장로교 선교사인 언더우드는 호레이스 그랜트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1859 – 1916)이다.

그런데 “정오가 되면 성공회쪽 담을 넘어 종소리가 들린다/ 시내의 한복판에서 듣는 종소리는 일종의 슬픔과 같은 것이었다..”는 김용범 시인의 시는 어디서 전문(全文)을 찾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중명전은 현재 경운궁 밖에 위치하고 있다. 정동극장을 나와 바로 우회전 해 십여 미터 가면 만날 수 있다. 지난 8월 경운궁 답사에서 동선을 설정하며 문의했는데 경운궁 경내에서 중명전을 보기 위해 나가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나는 중명전을 보러 갔다가 다시 들어오는 동선을 취해도 되는지를 물었었다. 당연히 안 된다는 답을 들었다.

중명전의 옛 이름은 수옥헌이다. 중명전이 궁 밖에 위치하게 된 것은 일제가 궁을 축소하기 위해 석조전과 중명전 사이에 도로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사건으로 중명전은 궁 밖으로 떨어져 나가게 되었다.

중명전은 을사늑약이 체결된 비운의 전각이자 고종의 서재로 쓰이던 곳이다. 고종은 이곳에서 여러 외국 사신을 접견했다.

긴박한 대한제국기에 서재라니 할 수도 있다. 1904년 경운궁의 대화재로 고종은 수옥헌을 임시 거처로 쓰며 전각의 이름을 중명전으로 격상시켰다.

궁궐 전각에도 위계가 있다. 전당합각재헌루정(殿堂閤閣齋軒樓亭)이 그것이다. 근정전, 자선당, 곤녕합, 비현각, 집옥재, 영춘헌, 경회루, 향원정 등이 그 예이다.

이 여덟 전각들 중 일곱 전각은 경복궁의 것들이다. 하나 예외인 것은 영춘헌이다. 창경궁의 건물로 정조의 서재로 쓰인 곳이다. 정조 역시 책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군주이다.

모레 치를 시연 준비를 하며 이런 저런 생각을 한다. 나 역시 미적거리고 있다. 그래도 나는 내일 치를 시연을 아직 준비하지도 못했다는 분에 비하면 나은 걸까?

미적거리다가 꼭 마감에 임박해 글을 쓰는 경향이 있는데 일단 시작을 하면 어떤 미지의 힘이 자신을 쓰기 모드로 몰고 간다는 분의 글을 최근 읽었다.

글과 달리 해설은 쓰고 외워 말로 설명까지 해야 하니 더 어려운데 참 길게 미적거린다는 생각이 든다. 완벽주의 탓도 아니고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면 쓰다가 자신감이 떨어지면 중단하는 이 것, 양가감정일까?

그나마 글을 외우기 좋게 쓰는 비결 같은 것을 조금 알게 되었다. 다행이지만 그것을 믿고 미적거린다면 문제이다. 뒹굴거리다가 영감이 생기기를 바라는 거라면 의도적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월요일(9월 11일) 서울 서대문 골목길에서 면장집이란 세로 현판을 보았다. 그곳이 서울이니 행정 단위인 면(面)을 의미할 리는 없는데..

‘서대문 면장집‘이라 검색하자 서대문 영천 시장에 면장(免墻)이란 상호의 만두집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담장을 면하다란 뜻이다. 담장이란 답답하게 사람을 가로막는 무지를 말한다.

인이불학人以不學 기유정장면이립其猶正墻免而立이라는 ‘논어‘ 구절에서 힌트를 얻은 말이다.

저런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하고 쓴 말이다. 사람이 되어서 배우지 않으면 담장을 마주하는 것처럼 미련하게 된다는 뜻을 가진 문장이다.

알아야 면장을 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면장(面長)을 한다는 말이 아니라 면장(免墻)을 한다는 뜻 다른 말로 담장이 앞에 있는 것 같은 답답함 즉 무지를 면할 수 있다는 뜻이다.

면장(面墻)이란 말도 있다. 면장(免墻)과는 정반대의 의미를 가진 말이다. 면장(面墻)은 담장을 마주하듯 식견이 좁고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면장집이라는 한글 현판을 내건 집은 골목길에 어울리게 낡고 누추하다. 한자로 썼다면 이런 혼란(?)은 불필요했으리라 보인다.

면장(免墻)이라면 주인은 자신은 누추하고 옹색한 집에 살지언정 학식은 있다는 말을 하고 싶어서 그렇게 썼다고 보인다.

골목이 사라져간다는 말이 들린다. 이야기거리가 사라져간다는 말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구운몽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2
김만중 지음, 송성욱 옮김 / 민음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이 숙종(肅宗) 15년인 1689년 쓴 구운몽(九雲夢)‘은 불후의 소설이다. ’구운몽을 불후의 작품으로 보는 이유는 1) 저자의 문장이 세련되었고, 2) 주인공 성진(性眞)의 천상계에서 인간계로의 여정, 인간계에서 다시 천상계로의 여정이 리얼하게 그려졌기 때문이고, 3) 유교, 불교, 도교의 가치관을 적절히 혼합해낸 솜씨가 정묘(精妙)하기 때문이고, 4) 인생무상의 진리를 자연스럽게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또한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는 점, 귀양지에서 어머니의 병환을 위로하기 위해 지은 소설이라는 점, 저자의 학식이 잘 드러난 소설이라는 점 등의 특징을 가진 작품이다. 구운이란 아홉(주인공 성진 + 8선녀)개의 구름을 뜻한다. 구름 같은 꿈이라는 의미로 성진과 8선녀의 허망한 세상사를 꿈으로 표현한 것이다.

 

천상계의 성진은 용왕에게 사례하고 올 사람을 찾는 스승 육관대사의 부름에 자청해 응한다. 용왕을 만난 성진은 그가 권하는 술 석 잔에 취해 돌아오는 길에 남악(南岳)의 위부인이 대사에게 보낸 8선녀를 만나 꽃을 꺾어 던져 명주(明紬)로 만드는 등의 희롱을 하다가 염라(閻邏國)을 거쳐 지상으로 유배된다.

 

8선녀 역시 유배되는데 유배란 인간으로 태어나는 것이다. 숙종이 장희빈을 왕후로 책봉하는 것을 반대하다가 유배당한 저자의 생이 반영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티벳 사자(死者)의 서()’에는 중음신이 자신이 태어날 어머니를 골라 그의 태()에 드는 장면이 있다. 성진은 유()씨 부인의 태로 들어가 남자 아이로 태어난다.

 

()처사(處士)가 아버지인데 그는 아들이 분명 하늘 사람이었다고 확신하고 성진에게 소유(少遊)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자신은 소임을 다했다며 하늘로 돌아간다. 소유란 천상계에서 지상계로 오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8선녀 역시 인간으로 태어난다. 진채봉, 계섬월, 정경패, 난양공주, 가춘운, 적경홍, 백릉파, 심요연 등으로 태어난 8선녀는 결국 인간계에서 소유의 여자들이 된다.

 

소유는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고 할 일을 다하고 말년에 깨달음을 얻는다. 그것은 자신의 삶이 하룻밤 꿈 같은 것이었다는 인식이다. ‘구운몽이 일부다처의 문제점을 환기시킨 작품이라는 말이 있는가 하면 교묘히 그런 점을 합리화하는 작품이라는 말도 있다.

 

소설의 말미에 8선녀가 관음보살께 한 낭군(郎君)을 모시게 되었음을 아뢰며 백년해로 후에 함께 극락으로 가게 해달라고 비는 장면이 나오는데 8선녀들은 소설에서 일부다처제도를 불편해 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함께 백년해로하고 극락으로 가게 해달라고 빌기까지 하니 소설이 일부다처제도를 합리화하는 것이라 볼 여지가 충분하다.

 

구운몽이 한국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세종이 한글을 창제한 지 300년 정도가 지난 영, 정조대에 이르러 소설이 널리 유행했다. 처음 한글이 창제되었을 당시 문자를 조합하는 원리 정도만 알려졌을 뿐이었으니 문장으로 표현되고 소설에 쓰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으리라는 점은 충분히 상상할 만하다.

 

소유와 8선녀는 말년까지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인생은 허망하다는 깨달음을 얻고 극락으로 간다. 제목이 같지만 시대 차이가 300년 정도 나는 최인훈의 구운몽과 비교해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한문 소설을 쓰지 않고 한글 소설을 쓴 김만중은 우리 것을 사랑하고 우리 것의 진정성을 높이 산 진정한 한글 전도사라 할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난 2월 조너선 보로프스키(Jonathan Borofsky: 1942 - )의 ‘해머링맨‘이란 작품을 처음 보았다. 광화문 흥국생명 빌딩 앞에서이다. 해머링맨은 전 세계 여러 나라 도시에 설치되었다.
서울에 설치된 해머링맨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큰 것은 프랑크푸르트에 설치된 작품이다.

흥국생명 빌딩 앞에 설치된 헤머링맨은 무게 50톤, 높이 22미터의 거대 작품이다. 노동의 신성함에 경의를 표하는 작품이라고 작가는 말한다.

작가는 세계 곳곳의 다른 지역에 서로 다른 해머링맨을 설치하는 것이 목표라 말한다. 서울 작품에는 크리스마스 이브를 맞아 털모자를 씌우고 신을 신긴 적이 있었다.

그렇게 지난 2월 처음 거대 조각상을 보았을 때는 숭고(崇高)라는 개념을 떠올리고 말았을 뿐 사진을 찍지는 못했다.

숭고는 거대 건축물을 보며 느낄 수 있는 감정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그것을 인식하는 우리 내면에 드러나는 이성의 이념이 숭고하다는 것이 칸트의 주장이다.

이번 걷기 일정(9월 11일)에서는 사진을 찍었다. 조금 다른 이야기이지만 거대 건축물을 지으면 국력이 쇠퇴하는 경우가 있다.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했을 때가 대표적이다. 이집트의 피라미드와 관련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이집트는 문자가 처음 만들어진 뒤 얼마간 모든 기록이 단어 단위로만 이루어졌는데 이 거대 건축물을 지었을 때 오히려 비로소 문법을 갖춘 문장이 쓰이기 시작한 것이다.(양정무 지음 ‘난생 처음 공부하는 미술 이야기 1’ 249 페이지)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무리하게 건축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집트의 경우 국력이 강해져 건축에의 여력이 충분히 생겼을 때 피라미드를 지었다고 보아야겠다.

‘해머링맨‘을 보며 하는 나의 이런 생각을 사유라고 해도 될까? 누구에게나 상상의 자유가 있다는 사실이 다행이다.(텍스트 일변도에서 가끔 사진도 게시하라는 페친의 조언을 받아들이며... 감사함을 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