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마네와 모네 - 인상주의의 거장들 아티스트 커플
김광우 지음 / 미술문화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네와 모네는 인상주의의 거장들이다. 둘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은 사이이다. 그 둘의 관계를 해명한 김광우의 마네와 모네는 아티스트 커플 시리즈의 한 권이다. 저자 김광우는 철학 및 현대 미술, 비평을 전공한 분이다. 저자는 예술가의 창조성은 주변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전제한다.

 

마네와 모네의 특징 중 하나는 방대한 자료들을 실었다는 데 있다. 그래야 예술가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두아르 마네(1832 1883)올랭피아풀밭에서의 오찬으로 유명하고 클로드 모네(1840 1926)는 수련(睡蓮) 연작으로 유명하다.

 

마네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고 모네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마네는 인물화를 주로 그렸고 모네는 풍경화를 주로 그렸다. 마네는 모더니즘을 연 사람이고 모네는 최초의 회화 혁명을 체계적으로 일으킨 사람이다. 마네와 모네는 일본 판화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응용했을 뿐 아니라 일본 판화를 그림의 배경으로 장식했다.(46 페이지)

 

모네와 마네는 행복한 시간을 공유했다.(171 페이지) 마네는 모네를 끝없이 도왔다. 모네는 마네에게 금전적 도움을 요청했다.(192 페이지) 모네는 마네 사후 마네를 위대한 화가로 기억되도록 적극 나섰다.(267 페이지) 모네는 마네의 작품이 루브르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도움을 청했다.(268 페이지) 둘의 관계는 고흐와 고갱의 그것과 달리 바람직한 것이었다.

 

인상주의란 말이 처음 생긴 것은 모네의 인상, 일출이란 그림을 본 루이 루르아에 의해서이다. 물론 루르아는 이 그림을 보고 얼마나 자유로운가, 얼마나 쉽게 그렸는가라는 경멸조의 말을 했다.(166 페이지) 모네는 빛이 일기(日氣) 변화에 따라 사물에 일으키는 변화를 파악하고 그것을 영롱한 색조로 나타낼 줄 알았으며 빛이 사물에 닿아 분산되는 것을 상상하면서 순간적인 현상을 빠른 붓질로 캔버스에 담았다.(15 페이지)

 

모네가 항상 같은 시간에만 그림을 그린 것을 쿠르베가 기이하게 여긴 것은 유명하다. 모네는 대상 하나하나에 대한 사실주의 묘사를 중요하게 여긴 것이 아니라 빛이 시시각각 대상에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관심을 두었다.(97 페이지) 모네는 인내심이 많은 화가였다. 그는 바라는 그림이 그려지지 않으면 같은 시각 같은 장소에서 그리고 또 그렸다.(247 페이지)

 

마네의 불로뉴 해변1868년 작품으로 처음으로 인상주의 화법으로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에서 마네는 사람들을 분명하게 묘사하지 않고 색을 적당히 쓱쓱 문지르는 것으로 처리했다. 이런 화법이 오히려 과학적인데 그것은 시선이 닿는 중심지가 아닌 주변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132 페이지)

 

마네는 많은 예술가들과 어울렸다.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이 시인 보들레르이다. 마네는 보들레르의 시신이 안장(安葬)되는 모습을 장례식이란 제목으로 그렸다. 한편 시인 말라르메는 마네의 미학적 대변인으로 평가된다. 말라르메는 마네의 10년 연하이다. 보들레르는 마네의 11년 연상이다.

 

조르주 바타유는 마네가 그린 스테판 말라르메의 초상을 보고 위대한 두 영혼 사이의 애정을 표현하는 작품이라 극찬했다.(189 페이지) 모네가 그린 템스 강 풍경 시리즈 석 점은 스케치처럼 그린 인상, 일출에 비해 완성도가 높아진 것으로 평가받는다.(153 페이지) 1872년 모네는 작품의 질과 값에서 큰 결실을 맺었다.(157 페이지) 이런 점은 저자의 의도(예술가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게 하려는..)에 부합한다.

 

에밀 졸라의 나나가 출간되기 전 마네가 나나를 그렸다.(215 페이지) 마네는 평생 일곱 개의 화실을 전전했다.(223 페이지) 마네는 벨라스케스를 우상으로 여겼다. 벨라스케스의 라스 메니나스(시녀들)‘는 마네에게 영향을 주었다. 벨라스케스의 라스 메니나스는 프랑스 철학자 푸코가 말과 사물에서 분석한 그림으로 유명하다.

 

마네는 52세까지, 모네는 86세까지 살았다. 마네는 말년을 투병 속에서 보냈다. 마네는 현대 감각을 일깨워주고 떠난 화가로 평가받는다. 마네는 현대적 감각으로 그림의 주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며 우발적인 변화라도 주의 깊게 살펴보라는 보들레르의 권유를 소중하게 받아들인 화가이다.(244 페이지)

 

반면 모네는 앞에서도 언급했듯 인내심이 많은 화가였다. 모네는 모파상과 친하게 지냈다. 같은 주제를 연속적으로 그리는 연작은 오늘날 많은 화가가 그리지만 모네가 건초더미 시리즈를 그릴 때만 해도 과거에 없던 획기적인 방법이었다.(278 페이지) 물론 모네의 가장 유명한 연작은 수련(睡蓮)‘ 연작이다.

 

프랑스 철학자, 과학자, 시인인 가스통 바슐라르가 꿈꿀 권리에서 다룬 모네론()은 유명하다. 모네는 지베르니(Giverny)를 유명하게 했다. 지베르니는 파리에서 약 75km 떨어진 곳으로 모네가 거주하며 작업한 마을이다. 모네는 종일 수련을 그리고 그렸다.

 

당시 모네는 아들 장을 먼저 떠나 보낸 70대의 노인이었다. 하지만 1차 대전 발발로 작업에 대한 도취는 중단되었다.(305 페이지) 이 장면은 1차 대전이 발발하자 마의 산을 내려오는 주인공 한스 카스트로프를 그린 토마스 만의 마의 산을 연상하게 한다.

 

모네는 오랑주리의 타원형 전시실에 맞는 패널화를 그리려 했지만 백내장으로 시력이 나빠져 계획대로 하지 못했다. 오랑주리는 식물원이었다가 미술관이 된 곳이다.(참고로 오르세 미술관은 기차역을 미술관으로 개조한 곳이다.)

 

모네, 하면 가스통 바슐라르의 꿈꿀 권리의 한 구절이 생각난다. “..클로드 모네처럼 물가의 아름다움을 거두어 충분한 저장을 해두고 강가에 피는 꽃들의 짧고 격렬한 역사를 말하기 위해서는 아침 일찍 일어나 서둘러 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마네도 거장이었지만 모네를 보며 거장이란 말을 더 떠올리는 것은 작품 때문이기도 하지만 긴 구십에 가까운 나이까지 그림을 그리다가 간 삶 때문이다. ’마네와 모네의 특징은 전기(傳記) 위주의 평이한 글이 인상적이라는 점이다. 같은 저자의 칸딘스키와 클레’, ‘고흐와 고갱’, ‘뭉크, 쉴레, 클림트’,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등을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모로 산다는 것 - 왕권과 신권의 팽팽한 긴장 속 조선을 이끌어간 신하들의 이야기, 개정판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모(參謀)에 대해 특별히 아는 바가 없다. 책사(策士)와의 차이도 그렇다. 신병주의 ‘참모로 산다는 것’을 통해 자세히 알 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한다. 정도전, 조광조, 조식, 정인홍, 이원익, 조경(趙絅), 김육, 허목 등에 관심이 있지만 잘 아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책을 7개의 장으로 나누었다. 새 왕조를 설계하다, 국가의 기틀을 다지다, 당쟁의 시대와 철학 등. 책에 의하면 17세기 소신과 원칙, 직언의 정치인 조경은 6장 명분과 실리 사이, 인조 반정에 넣었고 남인의 영수 허목, 고학에 심취하다는 7장 당쟁의 시대와 실학에 넣었다. 


익숙한 인물만 계속 공부하려는 것인지 모르겠으나 신병주의 책을 산 것은 미수 허목 때문이다. 내가 미수 허목에 대해 잘 아는 걸은 아니지만 모르던 것을 알았다. 미수 허목이 그가 중시한 육경 가운데 춘추에서 존군비신(尊君卑臣)의 이념을 골라 강조했다는 사실이다. 주목할 사실은 복재(復齋)/ 화담(花潭) 서경덕이 미수 허목 학문의 연원이라는 점이다. 이는 허목 부친 허교(許喬)가 서경덕의 제자 박지화에게서 배웠다는 데에서 나온 말이다. 눈여겨볼 대목은 용주(龍洲) 조경과 허목의 우정이다. 두 사람의 나이 차이는 9세로 조경이 연상이다. 


두 사람의 인연의 중심에 거창(居昌)이 자리한다. 조경은 광해군의 정치가 싫어 거창으로 가 은거했고 허목은 부친 허교의 부임지인 거창에 함께 내려갔다. 조경이 남인으로 인식되는 데 중요 근거가 된 것은 훗날 남인의 영수가 된 허목과의 친분이다.(375 페이지) 허목은 스스로 박학불무택(博學不無擇; 여러 학문을 하여 선택에 힘쓰지 않음)을 인정했다. 이는 거창에 갔다가 성주에 들러 만나 스승으로 모신 정구에게서 비롯된 바다. 정구는 영남학파의 영수인 조식과 이황의 학문을 함께 계승한 학자다. 정구의 박학풍이 허목에게도 이어진 것이다.(413 페이지) 


허목의 학문에 영향을 준 사람으로 들 또 한 사람은 오리 이원익이다.(오리 이원익의 손녀 사위가 미수 허목이다.) 이원익은 선조, 광해군, 인조 3대에 걸쳐 각 두 번씩 모두 여섯 차례 영의정을 지낸 인물이다. 이원익은 원균을 변호하는 이산해와 윤두수에 맞서 이순신의 공을 높이 샀다. 이순신은 자신이 군사들로 하여금 목숨을 아끼지 않도록 한 것은 이원익 대감의 힘이었다고 말했다. 이원익은 조선 후기 최고의 세제 개혁인 대동법 실시의 주역이다. 인조와 서인 정권은 광해군 흔적 지우기로 일관했지만 영의정만은 예외였다. 광해군 때 두 번이나 영의정에 오른 이원익이 인조 정권의 첫 번째 영의정에 오른 것이다. 광명시 소하동의 관감당은 인조가 이원익에게 하사한 집이다.(334 페이지) 이런 사례는 숙종과 미수 사이에서도 있었다. 숙종이 허목에게 연천에 7칸의 집을 하사하자 허목이 임금의 은혜에 감사한다는 의미로 당호를 은거당(恩居堂)이라 했다. 미수는 은거당 뒤의 바위를 일월석, 용문석호라 이름했다.(418 페이지) 


황희 역시 정승을 오래 역임한 인물이다. 미수 허목의 기언에 의하면 임금이 정승 출신의 신하에게 집을 하사한 경우가 셋(이원익, 허목, 황희)이다. 이 책(‘참모로 산다는 것‘)에는 이원익의 사례, 미수 허목의 사례가 언급되어 있지만 황희의 사례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원익의 수(壽)는 88세였다. 미수 허목과 같은 연수다. 이원익이 선조, 광해군, 인조 대에 영의정을 지냈다면 장만(張晩)은 선조, 광해군, 인조 대에 활약한 장군이자 문신이다.(장만의 사위가 최명길이다.) 광해군 대의 요직을 두루 지낸 장만은 광해군이 만년에 궁궐을 조성하기 위해 토목공사를 추진하자 이를 적극 비판해 광해군의 노여움을 사자 미련 없이 관직을 그만두었다.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장만은 정묘호란 패전의 책임을 지고 연안으로 유배를 갔다. 장만은 계보 중심, 당쟁사 중심의 역사 연구로 인해 큰 활약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저자는 장만, 최명길, 김신국, 이산해, 이항복 등 조선이라는 나라에 진정으로 도움이 되었던 인물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 바란다는 말을 한다. 2022년 11월 백사 이항복을 모신 포천 화산서원 해설을 했다. 당시 알게 된 바는 백사 이항복은 서원, 묘지 모두 포천에 있고 친구인 한음 이덕형은 서원은 포천에, 묘지는 양평에 있다는 사실이었다. 시간이 더 있었다면 용주 조경(趙絅)의 포천 묘지도 함께 해설할 수 있었을 것이다. 


조경은 미수 허목처럼 원종(인조 아버지) 추존을 강하게 반대했다. 이에 조경은 외직인 지례(知禮; 경북 성주) 현감으로 밀려났고 1632년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거창 등지에서 보냈다. 성주는 미수 허목이 아버지의 부임지인 거창에 갔다가 들른 곳으로 미수가 스승 정구를 만난 곳이기도 하다. 조경은 1차 예송인 기해예송 때 윤선도의 입장을 적극 지지하였다. 조경은 남인이긴 했지만 당파적 입장이 그리 강하지 않았는데 소신에 의해 윤선도를 지지하는 상소를 올려 확실한 남인 정치인으로 인식되었다.(384, 385 페이지) 


조경이 원종 추존을 반대해 외직인 지례 현감으로 밀려났다면 미수 허목은 정거(停擧) 처분을 받았다. 1628년의 일이다. 당시 용주는 43세, 미수는 34세였다. 미수는 벌이 풀린 뒤에도 과거 시험에 응시하지 않고 광주(廣州) 자봉산 자락에 은거하면서 독서 및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미수가 존군비신을 생각했다면 정도전은 재상 즉 신하의 역할을 특히 강조한 정치를 시스템화하려 했다. 정도전의 이런 구상에 강력하게 반발한 사람이 이방원이었다. 미수가 조선 초의 인물이었다면 정도전 vs 이방원의 대립에 어떤 입장을 취했을까? 궁금하다. 이방원에게 제거된 후 역적의 대명사로 인식되던 정도전은 정조대에 삼봉집이 간행되면서 어느 정도 멍에를 벗었고 1865년 대원군에 의해 문헌공이란 시호를 받았다.(24 페이지) 


태조에게 정도전이 있었다면 태종에게 하륜(河崙)이 있었다.(25 페이지) 하륜은 1388년 최영의 요동정벌에 반대해 양주로 유배를 갔다. 하륜은 태조의 계룡산 정도(定都)를 반대해 한양 정도를 주장한 인물이다. 하륜이 주장한 곳은 지금의 신촌 일대인 무악(毋岳)이었으나 정도전, 무학대사 등에 밀렸다. 세종의 참모 장영실은 과학자라는 점에서 남다르다. 흥미로운 점은 장영실을 발탁한 사람은 세종이 아니라 태종이었다는 사실이다. 세종은 강무(講武)할 때에 장영실을 자신의 곁에 모시어서 내시를 대신하여 명령을 전하기도 하였다고 썼다. 장영실은 광물 채취 및 제련 기술도 가지고 있었다. 세종과 장영실의 만남은 아름다운 인연의 대표 사례다. 신분보다 능력만을 보고 확실히 지원해준 것만으로도 세종의 이름은 길이 빛날 것이다. 


세종 대에 집현전 학사로 뽑힌 성삼문은 계유정난(1453년) 2년 후인 1455년에 예방승지가 되었다.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상징하는 옥새를 전해주는 비서의 자리가 예방승지(우승지)다. 성삼문이 예방승지가 된 것은 기구한 운명을 증거하는 바다. 단종 즉위 후 왕권과 신권의 조화가 무너졌다.(62 페이지) 김종서, 황보인 등은 권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세종의 3남인 안평대군과 손을 잡았다. 안평대군은 강화로 유배되었다가 사사되었다. 집현전 학자로서 세종의 총애를 받던 성삼문과 신숙주는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 이후 완전히 다른 길을 갔다. 


세조 제거를 위한 거사 당일 성삼문은 신숙주는 나의 평생 친구이지만 죽이지 않을 수 없다고 선언했다. 성삼문은 세조를 제거하려는 계획이 연기된 후 이 사실을 모르고 있던 윤영손이 신숙주를 죽이려 하자 이를 막아주는 마지막 우정을 보여주었다. 세조 제거 계획이 발각되어 성삼문 일행이 체포되자 세조는 “그대들은 어찌하여 나를 배반하였는가?”라고 추궁했다. 성삼문은 “옛 임금을 복위시키려 했을 뿐입니다. 천하에 그 누가 자기 임금을 사랑하지 않는 자가 있겠습니까? 제 마음은 나라 사람들이 모두 아는 바이거늘 어찌 배반이라 하십니까? 나리는 평소에 걸핏하면 주공(周公)을 끌어 댔는데 주공에게 또한 이런 일이 있었습니까. 제가 이렇게 한 것은 하늘에 두 개의 해가 없고, 백성에게 두 임금이 없기 때문입니다”라고 하였다. 


그렇다. 주공은 어린 조카 성왕을 잘 보필했다. 서거정은 신숙주처럼 세조의 총애를 받았던 인물이다. 서거정(徐居正)의 거정은 춘추의 공양전에 나오는 군자대거정이라는 구절에서 따온 이름이다. 항시 정도를 지키며 살라는 의미가 담긴 말이다. 서거정은 세종에서 성종 대까지 6명의 왕 아래에서 문병(文柄)을 장악했던 학자다. 문병을 장악했다는 말은 과거의 시관(試官)을 맡은 것을 이르는 말이다. 서거정은 법전, 역사, 지리,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방대한 책을 썼다. 


강희맹은 서거정과 쌍벽을 이룬 조선 전기의 문장가다. 강희맹은 서거정과 절친한 사이였다. 사마천, 한유, 유종원, 구양수에 비유되었다. 역시 문장이 뛰어났던 강희안은 강희맹의 형이다. 강회백이 할아버지다. 세종 비 소헌왕후 심씨가 큰 이모다. 강희맹과 서거정은 관중과 포숙의 사이였다. 칠삭둥이 한명회는 자라면서 기골이 장대해졌다. 한명회는 1456년 성삼문 등이 단종 복위운동을 벌였을 때 특유의 정치적 감각으로 이를 좌절시키는데 공을 세운 인물이다. 세조는 한명회를 나의 장자방이라 칭했다. 압구정(狎鷗亭)은 송나라 재상이었던 한기가 만년에 정계에서 물러나 한가롭게 갈매기와 친하게 지내며 머물던 서재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점필재 김종직은 평생 재야에서 은거의 삶을 선택했을 것 같지만 세조, 성종 시대에 관료 생활을 한 관료학자였다. 소학동자 김종직이 사림파의 영수로 확실하게 각인된 것은 그의 사후인 1498년 일어난 무오사화로 인해서다.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은 표면적으로는 항우에게 희생당한 어린 조카인 초나라 희왕(의제)의 죽음을 조문(弔問)하는 글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어린 조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한 수양대군을 비판하는 내용의 글이다.


’참모로 산다는 것‘에 한(限)하는 일은 아니지만 역사 책을 읽으면 어떤 이의 정체성과 길은 누구를 만나는가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무오사화로 희생당한 사관 김일손(金馹孫)은 문장을 쓰려고 붓을 들면 수많은 말들이 풍우같이 쏟아지고 분방함과 웅혼함이 압도적인 기상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을 만큼 학문과 문장에 뛰어났을뿐 아니라 현실에 대한 개혁적 제시에도 적극적이었다. 김일손은 호매(狐邁; 호탕하고 영민함)하고 강직했다. 본문에는 추폐(追廢)라는 말이 나온다. 김일손이 세조 집권 후 추폐된 소릉(昭陵)과 현덕왕후의 신주를 복위하여 문종에 배향할 것을 주장했다는 대목에 나오는 말이다. 추존의 반대어라 할 수 있다. 추탈(追奪)이란 말도 있다.(163 페이지) 


김일손이 처형을 당할 때 냇물이 별안간 붉은 빛으로 변해 3일간 흘렀다고 하여 붉은 시냇물이란 의미의 자계(紫溪)라는 이름이 붙었다. 경북 청도의 자계서원(紫溪書院)은 김일손을 배향한 서원이다. 김일손을 추존하는 데 가장 많은 힘을 기울인 김대유(김일손의 조카)는 남명 조식이 존경했던 인물이다. 김일손의 사림파 정신은 김대유를 거쳐 조식으로 이어졌다. 악학궤범의 편찬을 주도한 성현은 성종을 음악과 학술 분야에서 보좌한 대표적 참모였다. 성종과 성현의 관계는 세종의 명을 받아 궁중음악을 정리한 박연의 관계와 유사하다. 


악학궤범 서문에 이런 글이 나온다. 모든 고르지 못한 소리를 융합하여 하나로 만들 수 있는 것은 임금이 그를 어떻게 지도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이를 보면 정도전이 경제문감에서 사용한 구절을 연상하게 된다. 정도전이 쓴 구절은 도견(陶甄)을 잡는다는 말이다. 도견이란 도공이 질그릇을 잘 만들어내는 것처럼 임금이 선정(善政)을 펼쳐 천하를 잘 다스리는 것을 의미한다. 


장녹수는 연산군의 참모로 나온다. 운평(運平)이란 말이 있다. 연산군(延山郡) 시절 여러 고을에 널리 모아 둔 가무(歌舞) 기생(妓生)을 말한다. 이들 가운데서 대궐로 뽑혀 온 기생을 흥청(興淸)이라 하였다. 흥청 중 왕을 가까이서 모신 사람은 지과흥청(地科興淸), 잠자리를 같이 한 사람은 천과흥청(天科興淸)이라 하였다. 흥청망청(興淸亡淸)이란 말은 연산군의 방탕, 난잡함을 조롱한 말이었다. 장녹수는 흥청 중 최고였다. 장녹수는 연산군의 광기를 거의 유일하게 제어할 수 있는 존재였지만 오히려 연산군의 음탕과 악행을 더욱 부추겼다. 


연산군의 사치와 향락, 폭정에 기름을 부은 대표 인물이 희대의 간신 임사홍이다. 그는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 문제를 2100년이 지난 뒤까지 아무도 논하지 말라는 성종의 유명(遺命)을 어긴 사람이다. 임사홍 류의 간신으로 중종의 참모였던 사람이 남곤이다.(조광조는 중종의 핵심 참모는 아니었다.) 연산군은 부왕 성종이 신하들과 경연을 하는 것을 좋지 않게 보았다. 왕권이 신권에 휘둘리는 것이라 보았기 때문이다. 남곤의 순탄한 행보에 조광조는 걸림돌로 작용한 셈이었고 중종은 결국 조광조가 아닌 남곤을 택했다. 조광조는 경학(經學)을 중시하는 사림파였고 남곤은 사장(詞章)을 중시한 훈구파였다. 


조광조는 짧은 삶을 살았음에도 조선왕조실록에 910건의 이름이 나올 정도로 불꽃 같은 삶을 산 인물이다. 조광조가 만난 주요 인물은 김굉필이다. 17세의 조광조가 평안도 어천 찰방(察訪)에 부임한 아버지를 따라가 만난 인물은 무오사화의 여파로 회천에 유배되어 있던 김굉필이다. 김종직의 제자인 김굉필과의 만남은 조광조가 성리학의 이념과 실천에 빠져든 확실한 계기가 되었고 훗날 사림파 학맥의 중심에 서게 된 중요 배경이 되었다. 


조광조가 중종을 만난 것은 성균관 유생 시절이었다. 1515년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한 알성시에서 중종은 오늘날과 같이 어려운 시대를 당하여 옛 성인의 이상 정치를 다시 이룩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란 책문(策問)을 던졌다. 조광조는 공자의 도는 천지의 도이며 공자의 마음은 천지의 마음이기 때문에 이를 실천해야 한다, 왕이 성실하게 도를 밝히고 항상 삼가는 태도로 나라를 다스리는 마음의 요체를 삼을 것을 결론으로 하는 답안(答案)/ 대책(對策)을 제출했다. 책문은 정치에 관한 계책(計策)을 물어서 답하게 하던 과거 과목을 의미하고 대책은 책문에 대한 답이다. 


조광조는 자신과 뜻을 같이하는 정치 세력을 규합하기 위해 기존의 과거 시험 대신 추천제 시험인 현량과(賢良科)의 실시를 추진하였다. 조광조는 위훈(僞勳)삭제(削除)를 추진했다. 훈구파의 반격을 맞은 조광조의 중요 죄목은 붕당을 맺어 자신의 세력을 확산시켜 나간다는 것이었다. 반정에 의해 추대된 왕이었지만 점차 자신의 왕권을 확대해가려는 중종과 성리학의 이상론에 입각해 왕권을 견제하려는 조광조의 입장이 충돌한 것이다. 반정공신들과 훈구대신들의 견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편으로 조광조를 파격적으로 기용했던 중종은 어느 정도 정치적 기반을 잡자 더 이상 조광조에게 휘둘리기를 원하지 않았다. 


인종(仁宗)의 스승 하서(河西) 김인후는 가장 관심이 가는 인물이다. 김인후는 호남 지역에 성리학을 전파한 학자다. 김인후는 인종이 내린 묵죽도에 대한 답례로 인종을 대나무에 비유하고 대나무 주변의 돌은 자신과 같이 충성스런 신하로 비유한 답례의 시를 올렸다. 인종은 성리학을 숭상하는 한편 기묘사화로 희생된 사림파들의 명예회복에 힘을 기울였다. 인종이 희구했던 성리학 중심의 세상은 오지 않았다. 사림파 학자로서 김인후의 위상을 다시 한 번 끌어 올린 인물은 정조다. 정조는 김인후를 문묘에 배향했다. 김인후는 정조가 호남 끌어안기의 상징으로 지목한 인물이었다. 


이황이 살아간 시대는 크게 사림파의 성장기로 볼 수 있다. 이황은 사림파의 학문적 기반인 서원이 자리를 잡는데 역할을 했다. 주자 성리학이 발상지인 중국에서보다 조선에서 더욱 이론적으로 체계화되고 사회적으로 정착하게 된 것도 이황의 영향에 따른 것이다. 남쪽의 아득한 바다라는 의미인 남명(南冥)이라는 호는 장자의 소요유에서 인용된 것으로 남명이 성리학 이외에 노장 사상에도 깊이 빠졌음을 보여준다. 정확하게 말하면 북명(北冥)이란 말을 남명으로 바꾼 것이다. 


남명에게 부유한 처가의 경제적 힘이 크게 작용했음도 주목할 만하다. 남명은 잘못된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것을 선비의 책무로 여겼다. 이황이 성리학을 이론적으로 심화 발전시켜 당시의 지적 수준을 높여갔던 유학자라면 조식은 경과 의를 바탕으로 성리학의 실천을 중시한 학자였다. 조식이 사단칠정 논쟁에 대해 이것이 백성의 삶에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라고 일갈한 것도 이런 입장을 잘 보여준다. 이황과 달리 조식은 자신이 살아갔던 시대를 모순이 절정에 이른 구급(救急)의 시기로 파악했다. 


이황이 일본과의 강화 요청을 허락할 것을 청하는 상소문을 올리는 등 주로 교린정책을 견지했다면 조식은 일본에 대한 강력한 토벌 정책을 주장했다. 이황의 성리학이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 큰 영향을 준 것, 조식의 문하에서 많은 의병장이 배출된 것은 스승의 성향과 연결고리를 갖는 부분이다. 이이는 어린 시절 조광조의 문인이었던 성수침의 가르침을 받았고 성수침의 아들 성혼과 친분을 유지했다. 훗날 두 사람은 서인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이이가 공물과 방납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제안한 수미법은 훗날 대동법의 발판이 되었다. 


선조에 대한 평가가 극단적이라는 말이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마자 도성을 버리고 피난길에 급급했던 왕, 전쟁 영웅 성웅 이순신의 공을 시기하고 이순신을 죽음의 구렁텅이에 몰아넣은 비겁한 왕이라는 부정적 평가가 있는가 하면 목릉성세(穆陵盛世)라는 표현으로 대표되는 학문과 문화의 전성기를 이끈 왕이라는 완전히 상반된 평가가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선조에 대한 평가가 극단적으로 나뉜다고 해야 하는가? 과(過)가 훨씬 크고 결정적이었고 학문과 문화의 전성기란 것도 민생이나 평화 또는 전쟁 승리와 무관한 것이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정철에 대한 평가가 극단적으로 엇갈린다는 표현도 문제적이다. 정철은 문학 분야에서 뛰어난 자질을 보이며 최고의 작품을 썼지만 정치인으로서는 기축옥사 사건 수사를 맡아 수많은 사람을 죽이는 등 가혹하고 무자비한 면모를 보였다.(희생자 가운데 조식의 수제자 최경영, 서경덕의 수제자 이발도 있었다.) 정철은 기축옥사의 원래 수사 담당이었던 정언신을 정여립과 연관이 있다는 이유로 모함해 정언신을 유배 가게 했다. 정철은 정치적 잔혹함이라는 허물이 문학적 재능을 퇴색하게 한 사례다.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의병장 조헌은 이이와 성혼의 문인이고 정철과 함께 서인 강경파에 속했다. 조헌은 이지함을 평생토록 가장 존경하는 스승으로 모셨다. 조헌의 개혁론이 유형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등 후대의 실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보는 이들도 많다. 김충선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 장수의 선봉이 되었다가 조선에 귀화하여 일본 공격에 앞장 선 인물이다. 김충선의 일본 명은 사야가(さやか)다. 조선에 투항한 일본인을 항복한 왜군이라 하여 항왜(降倭)라 한다. 사야가는 처음부터 조선을 동경해 투항을 결심했다. 사야기는 오랑캐의 문화를 가진 일본에 태어난 것을 탄식하던 중 가토 기요마사 군대의 선봉장에 임명 되었다. 


의롭지 못한 전쟁임을 알았지만 예의지국 조선을 구경하고자 선봉장이 되어 조선에 오게 되었다. 사야가가 김씨 성을 갖게 된 것은 바다를 건너온 모래를 걸러 금을 얻었다는 선조의 생각에 따른 결과다. 충선은 忠善으로 충성되고 착하다는 의미다. 김충선은 임진왜란 이후에도 조선에 충성하는 한결같은 모습을 보였다. 선조 시대는 당쟁이 본격적으로 전개된 시대였던 만큼 선조대에 활약한 참모들은 대부분 당파의 영수였다. 유성룡이 남인, 정철이 서인의 영수였다면 이에 맞서는 북인의 영수로 활약한 대표적 인물은 이산해였다. 한산 이씨인 이산해는 목은 이색의 후손이자 토정 이지함의 조카였다.(한음 이덕형이 이산해의 둘째 사위다.) 


이산해는 기축옥사 때 정여립과 같은 동인이었던 까닭에 곤욕을 겪었다. 이산해는 선조가 인빈 김씨의 소생 신성군을 총애한다는 사실을 알고 유성룡, 정철 등과 한 광해군 책봉 건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자리에 나아가지 않았다. 유성룡은 정철이 먼저 말을 꺼냈다가 선조가 분노하는 것을 보고 감히 말하지 못했다. 성질 급한 정철이 화를 당했다. 정철은 강계로 유배를 갔고 서인의 영수 정철의 자리를 북인 이산해와 남인 유성룡이 채웠다. 이산해는 숙부 이지함, 이지함의 스승 서경덕의 영향을 받아 실용 중심 사상을 갖추었다. 


유성룡은 이순신을 천거하고 영의정으로서 전쟁의 현장에서 중요 사항들을 결정했던 인물이다. 유성룡의 호 서애(西厓)는 안동 하회마을의 서쪽 절벽을 의미한다. 유성룡은 임진왜란 발발 1년 2개월 전에 정읍현감으로 있던 이순신을 전라좌수사로 천거했고 권율을 의주목사로 천거했다. 두 건 모두 신의 한수로 불릴만하다. 유성룡은 이발, 정인홍, 이산해의 북인과 맞서는 남인의 영수가 되었다. 유성룡은 조선이 초기 전투에서 패배한 중요 원인을 진관체제를 버리고 제승방략 체제를 고수한 것에서 찾았다.


유성룡은 임진왜란 당시 평양성 사수를 포기하고 피난을 하려는 선조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1598년 명나라 조사관 정응태와 지휘관 양호 사이의 내분이 일어났다. 유성룡은 선조가 자신을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하려 했으나 응하지 않고 이항복과 윤두수를 추천해 결국 탄핵을 당했다. 1598년 11월 19일의 일이다. 이 날은 이순신이 노량해전에서 전사한 날이기도 하다. 파직당한 유성룡은 고향 안동 하회마을로 돌아와 징비록 집필에 착수했다. 1607년 5월 유성룡이 사망했다. 이 해는 서인의 영수 송시열이 태어난 해이기도 하다. 


이덕형은 당색이 뚜렷하지 않고 관료적 성향이 강한 인물이다. 이덕형의 장인이 북인의 영수 이산해다. 그럼에도 이덕형은 뚜렷한 당론을 형성하지 않고 서인 및 남인의 관료, 학자들과 두루 교분을 형성하면서 자신에게 맡겨진 시대적 책무를 해결해 나갔다. 이덕형은 자신보다 3년 앞서 진사 시험에 합격한 이항복과 1580년 알성문과에 함께 급제하여 성인이 되어 다시 만나는 인연을 맺었다.(이항복이 이덕형보다 5년 연상이다.) 


이덕형은 관직생활 초기 유성룡, 김성일, 이산해, 이원익 등과 친분을 맺으며 동인과 가깝게 지냈고 동인이 다시 남인과 북인으로 나뉜 이후에도 남인과 북인의 중도파였지만 시종일관 당인의 입장보다 관료로서 능력을 발휘했다. 1610년 북인의 핵심 정인홍은 스승 남명 조식을 문묘에 추존하고자 했다. 정인홍의 제자들은 영남에서 집단 상경하여 조식의 문묘종사에 반대하는 이덕형 등의 대신들을 비방하는 상소를 올리고 농성했다. 


광해군은 기존 궁궐을 중건한 창덕궁, 창경궁보다 새 궁궐 건설에 집착한 가운데 그것이 여의치 않다면 교하 천도를 할 것이라 결정했다. 이덕형 등 여러 대신들의 반대에 부딪혀 교하 천도가 실현되지 않자 광해군은 인경궁과 경덕궁 건설에 총력을기울였다. 광해군의 무리한 궁궐 조성 사업은 결과적으로 동생 영창대군을 죽이고 왕통상의 어머니 인목대비를 폐위하는 악행을 자행하게 했고 이는 결국 정권 붕괴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허균은 무수히 탄핵을 받은 인물이다. 허균에 대한 탄핵은 생전에는 물론 사후에도 끊임없이 가해졌다. 허균은 선조 시대에서 광해군 시대를 살다 간 문장가이자 사상가였고 개혁가였다. 허균의 아버지 허엽은 호가 초당으로 서경덕의 문인이었으며 동인과 서인이 분당되었을 때 동인의 영수로 지목될 만큼 명망이 높았다. 허균의 스승 손곡(孫谷) 이달(허균의 중형 허봉의 벗)은 시를 짓는 재능이 뛰어났지만 서자라는 이유로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은 것은 스승의 한을 풀어주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허균은 스승의 전기에서 글재주가 뛰어나도 세상에 쓰이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하였다. 허균의 학문과 사상에서 주목할 것은 허균이 성리학뿐 아니라 불교, 도교, 서학 등에 두루 관심이 깊었다는 사실이다. 허균은 백성을 호민(豪民), 원민(怨民), 항민(恒民)으로 나누었다. 호민은 자신이 받는 부당한 대우와 사회 모순에 과감하게 대응하는 백성, 원민은 정치적으로 피해를 입지만 원망만 하고 스스로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백성(나약한 지식인), 항민은 무식하고 천하며 자신의 권리나 이익을 주장할 의식이 없는 백성이다. 


허균은 칠서사건의 당사자들인 서얼의 실질적인 후원자라는 혐의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되자 대북정권의 최고 실세이자 글방 동문이었던 이이첨에서 도움을 청했다. 이이첨의 후원 속에 허균은 집권 대북 세력에 적극 협력하면서 광해군의 든든한 후원자가 되었다. 허균은 폐모론과 같은 정국의 최대 이슈에 직면하여 인목대비의 처벌을 강경하게 주장하면서 광해군의 정치적 부담을 덜어주는 한편 자신의 입지를 강화했다. 폐모론으로 대북 중심의 강성 정국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광해군의 두터운 신임을 받은 허균은 뜻밖에 내면으로는 광해군을 몰아내려는 위험한 발상까지 했다. 


허균은 동료였다가 인목대비 폐출을 계기로 반대의 정치 노선을 걸었던 기자헌의 아들 기준격이 자신의 역모를 고발하는 비밀 상소문을 올리는 바람에 궁지에 몰렸다. 1618년 허균의 역모를 확증하는 격문이 남대문에 붙었다. 광해군을 비방하고 민심을 선동하는 내용의 이 격문이 허균의 심복이 한 짓이라는 사실이 폭로되면서 허균은 빠져나갈 곳이 없게 되었다. 허균은 죽는 순간까지 역모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를 변호하는 세력은 없었다. 1618년 허균은 저잣거리에서 능지처참되었다. 파란만장한 50세 의 생애를 마친 것이다. 허균에 대한 평가는 조선시대 내내 부정적인 흐름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오늘날에는 점차 그의 진보적인 사상을 긍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허균의 비극적 생애는 무엇보다 스스로의 표현대로 불여세합(不與勢合; 현실과 타협하지 못하는 것)하는 기질과 혁신적인 사상, 자유로운 행동가적인 면모에서 기인하였다. 세상과 타협하지 못한 허균은 세상을 자신에게 맞도록 바꾸려 했으나 생각만 앞선 무리한 시도로 역적이란 부메랑을 맞았다. 한때 광해군의 큰 총애를 받았지만 결국 왕을 배신함으로써 처형으로 삶을 마감했다. 


광해군 시대 정국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 남명 조식의 수제자, 광해군의 남자, 의병장 등으로 기억되는 북인인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이다. 당시 정국은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가 영창대군을 출산해 북인이 영창대군을 지지하는 소북과 광해군을 지지하는 대북으로 나뉜 상황이었다. 소북의 핵심은 유영경이었고 대북의 핵심은 정인홍이었다. 정인홍 사상의 중심은 군주를 정점으로 하여 백성을 보호하는 보민(保民)이었다. 정인홍은 구양수의 붕당론을 인용하여 군자, 소인의 구별을 엄격히 하였다. 이는 자신이 속한 대북이 군자당이라는 자신감에서 기인한 것이다. 


정인홍은 이언적과 이황을 문묘에서 내쫓는 대신 스승인 조식의 문묘종사를 강력 주장하여 사류들의 반발을 샀다. 이를 회퇴변척(晦退辨斥)이라 한다. 정인홍은 서인 정철과 성혼의 기축옥사 때의 행적에 대해 “간악한 정철을 부추겨 고명한 선비를 죽이게 한 성혼은 고니시 유키나가와 가토 기요마사를 부추겨 조선을 침략한 토요토미 히데요시에 비유할 만하다.”고 말할 만큼 극단적이었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났을 때 정인홍은 89세였지만 반정의 주축이었던 서인 세력은 정인홍을 살려두지 않았다. 처형된 정인홍은 국가에 대한 의리(의병장), 왕에 대한 의리(광해군에 대한 충성), 스승에 대한 의리(스승 조식을 극진히 받음)를 일관되게 지킨 인물이었다. 


광해군의 참모 김개시는 상궁 출신으로 국정을 좌지우지한 인물이다. 광해군은 자신이 하고 싶은 정치적 행위를 대리해서 처리해주는 김개시에게 인사권, 청탁권, 경제권까지 무한 권력을 부여했다. 광해군 집권 내내 국정을 농단했으나 정작 마지막에는 광해군의 편이 되지 못하였다. 장녹수가 연산군과 최후를 함께 한 것과 대비되는 장면이다. 김개시는 반정군 측에 포섭되어 김자점 등에게서 뇌물을 받고 여러 차례 반정을 알리는 상소를 받은 광해군을 안심시켰다. 인조반정의 성공에 일정 부분 기여했던 김개시는 반정군의 칼에 목숨을 잃었다. 


광해군은 지지 세력인 대북 중에서도 이이첨에게 지나치게 의존했고 정인홍을 정권 홍보의 중심으로 삼았다. 상궁 김개시의 국정 농단은 광해군을 더욱 파국으로 몰고 갔다. 술사(術士)에게 의존하면서 무리하게 천도를 계획하고 궁궐을 조성하면서 광해군은 더욱 벼랑으로 나아갔다. 1612년 9월 술사 이의신이 한양의 기운이 쇠했으므로 명당인 교하로 천도할 것을 주장하자 광해군은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신료들의 강한 반대로 천도가 추진되지 않자 궁궐 조성 사업으로 방향을 돌렸다. 끝이 보이지 않던 공사는 1623년 인조반정으로 중지되었다. 연산군과 광해군은 폐위된 후 교동도로 유배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1623년 3월 광해군 정권을 타도하는 인조반정이 일어났다. 정인홍, 이이첨 등 북인 핵심이 제거되고 빈자리에 이귀, 김류, 최명길 등 서인 공신들이 들어섰다. 선조 때부터 서인 강경파로 활동하던 이귀는 광해군 정권 때 실의의 나날을 보내다가 인조반정으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이귀는 아들 시백, 시방, 양아들 시담까지 모두 반정에 참여시킬 정도로 광해군 폐위에 모든 것을 걸었다. 


후추(後?) 김신국은 광해군과 인조 시대의 국방 및 경제 전문가였다. 최명길은 성리학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장유와 함께 양명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최명길의 실리론적 견해에 크게 영향을 준 것은 양명학이었다. 최명길은 1624년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 1642년 최명길은 명나라와 연락을 도모한 일이 청나라에 발각되어 임경업과 함께 봉성으로 압송되어 심양의 북관에 억류되었다. 1643년 4월에는 남관으로 옮겨갔다. 이곳에서 만난 사람이 김상헌이었다. 남한산성에서 주화와 척화를 놓고 대립했지만 두 사람은 시까지 주고받으며 서로를 이해했다고 한다. 


1644년 명나라를 완전히 멸망시킨 청나라는 조선과 명의 연결고리가 확실히 사라지자 1645년 2월 청에 인질로 와 있던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의 귀국을 허락했다. 인조실록을 편찬한 주체 세력들이 대부분 척화론과 명분론을 중시한 사람들이었기에 같은 서인인 최명길을 크게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김육(金堉)은 실물 경제 감각으로 성과를 보인 학자 관료다. 김육의 호는 잠곡(潛谷) 또는 회정당(晦靜堂)이다. 김육이 낸 큰 성과는 대동법을 전국적으로 실시한 것이다. 


김석주는 숙종 시대 정치 공작의 달인이다.(김석주는 김육의 손자다.) 송시열은 실록에 삼천 번 넘게 등장한 인물이다. 송시열은 효종이 북벌 구상에 힘을 실어줄 인물로 선택한 인물이다. 1649년 송시열은 북벌론이 담긴 기축봉사를 올렸다. 다음 해 2월 김자점 일파가 청나라에 조선의 북벌 동향을 밀고하여 송시열이 속한 산당 세력 다수가 조정에서 물러났다. 송시열은 북벌 추진에는 무모함 때문에 소극적이었지만 청나라를 오랑캐라 인식하면서 언젠가 우리가 물리쳐야 하는 이적이라는 의식을 확고하게 해나가는 데는 핵심적이었다. 


효종 시대 이후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켜 나가야 한다는 대명의리론이나 소중화 사상이 자리 잡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한 인물이기도 하다. 서인이 소론, 노론으로 나뉜 것은 송시열이 제자 윤증의 아버지 윤선거의 묘갈명에 고인을 조롱하는 표현을 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윤증을 지지하는 소장층은 송시열에 맞서 소론으로 결집했다. 장희빈의 아들의 원자 정호(定號)로 인해 송시열은 몰락의 길을 가게 되었다. 노론 민유중의 딸인 인현왕후의 출산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원자 정호를 반대한 송시열은 제주로 유배를 간 상황에서 계속 숙종을 자극하는 상소문을 올린 끝에 한양 압송 명령을 받았다. 


남인들이 거듭 송시열 처형을 요청했고 숙종은 정읍에서 송시열에게 사약을 내렸다. 송시열은 올바른 길을 가려다가 죽는 것이니 두렵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자파(自派)를 위한 길이 옳은 것이라 하면 곤란하지 않은가. 최석정은 현실 가능한 정책을 제시한 소론 정치가다. 최석정은 수학, 천문학, 서학 등 다양한 학문을 수용했다. 이건창은 조선시대 당쟁의 역사를 정리한 인물이다. 당의통략(黨議通略)이 그것이다. 이건창은 1852년 조부 이시원이 개성유수로 재직할 때 개성 관아에서 태어났으나 대부분의 생애는 강화에서 보냈다. 당의통략은 강화도에서 탄생했다. 


정약용은 정조의 참모로 관료와 실학자라는 두 길을 걸었다. 정약용이 태어난 1762년은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가 뒤주 속에 갇혀 비극적인 생을 마감한 해다. 1767년 부친의 임지인 연천에서 살면서 부친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1794년 정약용은 경기도 적성, 마전, 연천, 삭녕 등지를 암행하면서 백성들의 현실을 직접 목격했다. 경기 암행어사 시절 정약용은 경기도 관찰사 서용보의 부정과 비리 사실을 직언하였다. 이는 정치적 고비마다 서용보가 정치적 고비마다 정약용을 적대적으로 대하는 계기가 되었다. 실학의 집대성자 정약용은 물과 인연이 깊은 학자다. 고향인 마현(현 경기도 남양주시 능내)은 남한강과 북한강의 물길이 합류하는 두물머리 근처이고 유배지 강진도 바닷가가 바라 보이는 곳이다. 그러나 그의 인생은 흐르는 물처럼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의 시대 - 제5회 창비청소년도서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고 17
강창훈 지음 / 창비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철과 함께한 시간은 약 4천년이다. 인간은 강함을 상징하는 철을 이용한 욕망 실현의 역사를 만들어왔다. 지구를 구성하는 물질의 19%에 달하는 철은 산소(50%)에 이어 2위를 차지하는 중요 물질이다. 지구 전체 질량 중 34%에 이르는 철은 중량면에서 단연 으뜸을 차지한다. 철은 별의 온도가 40~60억도일 때 만들어진다. 빅뱅 후 10억년 후의 일이다. 철 이후 27번 원소인 코발트에서부터 92번 원소인 우라늄까지의 66종의 원소가 만들어졌다. 철까지는 핵융합으로 즉 별이 살아 있을 때 만들어지고 그 이상은 별이 죽으면서 만들어진다. 철의 원자핵에 있는 일부 중성자가 붕괴해 양성자로 변함에 따라 구리, 은, 금 등의 새로운 원소가 만들어졌다.


철을 비롯한 원소들은 우주 곳곳으로 튕겨져 나갔다. 원소들은 모여 성간 매질이라는 이름의 기체 구름을 형성했다. 성간 매질은 조건이 맞는 곳에 이르러 서로 뭉쳐 수많은 별을 만들었다. 그렇게 생성된 별들 중 주위에 행성을 거느린 별도 있었다. 태양도 그 중 하나다. 철은 인간이 생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원소다. 지구는 태양을 이루는 물질들로 이루어졌다. 태양에서 떨어져 나온 물질들은 서로 부딪히고 뭉치면서 점점 커졌고 결국 현재와 같은 크기의 지구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구 온도가 올라갔다. 작은 천체들과 충돌했기 때문이고 크기가 커지면서 내부 압력이 높아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온도가 올라가자 지구 내부가 녹아내렸다. 철과 같은 무거운 금속 물질들이 중심부로 내려앉아 지구 핵을 이루었다. 지구 외핵은 액체여서 구성 성분 중 무거운 철은 아래로 가라앉고 규소 등 가벼운 물질은 맨틀과의 경계인 위쪽으로 떠오른다. 이런 현상을 대류현상이라 한다. 이로 인해 지구는 자석 같은 상태가 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자기장은 태양풍을 막는 역할을 한다. 태양풍은 대부분 지구 자기장에 막혀 흩어지지만 일부는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권으로 진입해 빛을 낸다. 이를 오로라라 한다. 


철에게는 산소라는 친구가 있다. 자연 상태에서 철은 늘 산소와 붙어 지낸다. 산소와 결합한 철을 산화철이라 한다. 산화철의 색은 붉다. 산화철은 녹슨 철이다. 인간은 산화철에 열을 가해 산소를 떼어냄으로써 유용한 철을 만들었다. 시간이 지나면 철은 다시 산화된다. 철과 산소 사이에는 남조류(시아노박테리아)라는 중매(仲媒)가 있었다. 남조류는 바닷물을 빨아들여 수소를 먹고 산소를 뱉어내는 최초의 광합성을 했다. 이 결과 지구에 산소가 엄청나게 만들어졌다. 당시 바다에는 철이 무수히 떠돌았다. 남조류가 만든 산소가 철을 산화시켰다. 산화철은 물과 분리되어 바다 아래로 가라앉았다. 


철을 산화시키고 남은 산소는 오존층을 만들었다. 생명체가 더 이상 바다에 갇혀 살 필요가 없게 되면서 육상 생물이 출현했다. 원래 육상에는 태양에서 오는 자외선을 막아주는 오존이 없다가 위의 작용을 거쳐 육상 생물이 출현한 것이다. 철의 산화가 끝난 것은 18억년전이다. 인체에는 평균 3그램 정도의 철이 있다. 이 가운데 60%가 혈액에 존재한다. 혈액이 붉은 것은 철 때문이다. 혈액의 주요 구성 성분인 적혈구 속에는 헤모글로빈이 있다. 헤모글로빈의 철 원자 4개가 산소와 결합하여 몸 구석구석으로 산소를 나른다. 


약 6천년전인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불로 흙을 구워 토기를 만들다가 발견한 것이 구리다. 구리는 약 1,084도에 녹는다. 가마의 온도가 1,100도 가까이에 이르자 구리가 녹아 토기 표면에서 흘러나왔고 온도가 내려가자 구리끼리 뭉쳐 고체 덩어리로 굳었다. 좀 더 강한 재료를 바라던 인간 앞에 나타난 것이 청동이다. 청동도 우연의 산물이다. 구리를 제련하는 과정에서 어쩌다가 주석이 조금 섞인 합금 즉 청동이 만들어졌다. 청동은 철보다 약하지만 쉽게 산화하지 않는다. 철은 토기에서 청동기까지 기나긴 기술 축적 과정이 있었기에 인간과 만날 수 있었다. 


철기 시대 이전에도 인간은 철을 알고 있었다. 바로 운철(隕鐵)을 통해서다. 운철은 운석 중 철광석이 많이 포함된 것이다.(우주를 떠도는 작은 암석들 중 지구 인력에 끌려 대기권으로 떨어지는 것을 유성이라 한다. 유성은 대부분 불에 타 없어지지만 땅까지 도달하는 것이 있다. 이를 운석이라 하고 운석 중 철광석이 많이 포함된 것을 운철이라 한다.) 운철은 돌보다 물러 변형이 잘 되지만 두드릴수록 단단해졌다. 우주에서 온 운철의 성분은 지구의 지각에 존재하는 철과 성분이 다르다. 운철의 철은 산화철이 아니다. 대기권을 통과할 때 높은 마찰열을 받아 산소가 떨어져 나가기 때문이다. 


운철은 힘들게 달구지 않고 두드리기만 해도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운철이 인류에게 곧바로 철기 시대를 만들어주지는 못했다. 원한다고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인간은 토기를 굽다가 구리를 발견했듯 청동기를 만들다가 우연히 철을 만났다. 산불로 인해 철을 발견했다는 가설도 있다. 히타이트가 서아시아에서 강자가 된 것은 메소포타미아 민족이 잘 모르는 철 생산 기술이 있었기 때문이다. 히타이트는 물론 철기를 처음으로 생산한 민족이 아니다. 철기 시대가 시작된 것은 기원전 1000~500년경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철기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히타이트가 몰락하고부터다. 


이집트는 철을 제련하는 데 필요한 자원이 부족했다. 산화철에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철을 생산하려면 불의 온도를 최대한 높여야 한다. 그러려면 땔감이 많아야 하는데 이집트는 목재가 풍부하지 않았다. 철에 대한 욕망이 크지 않은 점도 작용했다. 이집트는 토양 특성상 철제 농기구가 없어도 농사를 짓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중국에서 철기가 처음 만들어진 것은 춘추시대다. 한반도에서 철, 하면 생각나는 나라가 가야다. 


철을 제련하는 것은 재료의 성질을 바꾸는 일이다. 산화철을 제련하는 데 필요한 높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충분한 땔감이다. 인간은 처음에 나무를 썼고 후에는 석탄을 사용했다. 철 생산이 늘어날수록 숯 사용량도 늘어났다. 이 때문에 곳곳에서 삼림이 사라졌다. 철 생산은 대규모 삼림 벌채를 초래했다. 삼림 감소는 동식물의 다양성 상실, 토양 침식, 기후 변화 등 다른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인간은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더 많은 곡식을 얻기 위해 철을 깨웠다. 그리고 철을 이용해 권력을 차지하고 나라를 세우고 제국을 건설했다. 


철기 시대가 시작된 이래 인간은 계속 철의 혁신을 꿈꾸었다. 철 덩어리를 불로 달구고 망치로 때리기를 반복하면 산화철이나 불순물이 많이 제거되어 그럭저럭 순수한 철에 가까운 덩어리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연철(軟鐵)이라 한다. 철기 시대가 되었다고 철기가 곧바로 다른 도구를 압도한 것은 아니었다. 옛사람들은 운철뿐 아니라 철광석에도 신성한 의미를 부여했다. 운철은 하늘의 신이 준 선물, 철광석은 대지의 신이 준 선물이라 생각한 것이다. 


부국 및 강병을 실현시켜주는 가장 좋은 수단은 철이었다. 풀무 덕에 액체 상태의 철을 만들 수 있었다. 이 철을 선철(銑鐵)이라 한다. 선철을 한 번 더 녹여서 거푸집에 부었다. 이것을 주철이라 한다. 선철이 가장 큰 변화를 일으킨 것은 전쟁에서였다. 중국의 철 생산량이 최고조에 이른 것은 송나라 때인 11세기였다. 수력 풀무가 발명되고 천년 가량 지났을 때였다. 송나라 때 철 생산량이 급증한 것은 땔감으로 숯 대신 석탄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소동파도 석탄에 대한 글을 남겼다. “팽성에는 과거 석탄이 없었다. 1078년 12월에 비로소 사람을 보내 백토진 북쪽에서 석탄을 찾아냈는데 철광석을 녹이고 특별히 날카로운 무기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송나라 사람들은 석탄을 코크스(석탄에서 유황 성분 등을 제거한 순수 덩어리)로 만들어서 땔감으로 사용했다. 코크스는 불을 붙이기 어렵지만 숯보다 발열량이 훨씬 커서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송나라는 철을 주로 군사적 용도로 썼는데 이는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와 관련이 있다. 송은 개국 이래 여진, 거란 등에게 시달렸다. 송나라는 제철 기술은 뛰어났지만 철제 무기를 개량하는 역량은 부족했다. 오히려 제철 기술이 거란과 여진으로 새어 나가 두 나라의 군사력 강화를 돕고 말았다. 칭기즈칸은 중국 대륙에서 들여온 철로 무기를 개량하여 몽골 초원을 통일하고 사방으로 공격을 개시했다. 그 첫 번째 희생자는 여진이었다.


인간은 연철과 선철에 만족하지 않고 더 큰 혁신에 목말라했다. 연철은 부드러워 좋고 선철은 단단해서 좋다며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연철은 걸핏하면 휘고 선철은 툭하면 깨진다는 불만을 품었다. 이런 불만 때문에 생긴 것이 강철이다. 엄밀히 따지면 연철과 선철은 모두 철과 탄소의 합금이다. 순수한 철은 심지어 알루미늄보다 무르다. 숯이나 코크스를 이용해 제련하는 과정에서 탄소가 철에 들어가 비로소 단단해지는 것이다. 철에 탄소가 얼마나 포함되느냐에 따라 녹는점, 강도, 연성, 탄성 등 성질이 천차만별로 변화한다. 


탄소 함유량은 철의 종류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연철은 탄소 함유량이 0.01 퍼센트 미만인 철이다. 선철은 탄소 함유량이 3.0~4.5 퍼센트인 철이다. 연철처럼 무르고 선철처럼 단단한 철이 강철이다. 탄소 함유량을 0.02~2.0 퍼센트로 조절하면 강철(鋼鐵)이 된다. 옛사람들이 지금처럼 철과 탄소의 관계를 이해하고 계획적으로 탄소 함유량을 조절한 것은 아니다. 연철, 선철, 강철의 순서로 철을 발전시킨 것은 더더욱 아니다. 철 생산 초기에 세 가지 철이 뒤섞여 있었다. 점차 경험을 축적해 원리를 터득하면서 철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파악했다. 


대항해 시대에 망망대해를 항해하던 점선에는 작지만 매우 중요한 철이 있었다. 나침반이 그것이다. 나침반은 철이 없었다면 존재 자체가 불가능한 발명품이었다. 나침반은 중국에서 발명되었다. 나침반을 항해에 이용한 것은 송나라 때부터다. 그 전까지만 해도 항해사들은 주로 별과 바람을 읽어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파악했으나 구름이 낀 날은 읽기 자체가 어려웠다. 마르코 폴로는 동방견문록에서 “중국에는 장작처럼 불이 붙는 검은 돌이 있다. 장작보다 화력이 훨씬 강하고 때로는 이튿날이 되어야 불이 꺼진다.”고 썼다. 


사람들이 석탄에서 유황을 제거하는 데 몰두한 시기가 있었다. 송나라는 코크스 제조법을 알아낸 나라다. 철이 더 강해지고 많아지면서 인간은 새로운 욕구를 갖게 되었다. 상품을 빠른 시간에 대량 생산하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팔고 원료와 노동력을 가지려는 것이었다. 철은 증기기관을 탄생시켰다. 철 생산을 늘리려면 석탄을 더욱 확보해야 했다. 광산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문제는 갱내에 생기는 물이었다. 산업 혁명을 이끈 증기기관은 광산에서 만들어졌다. 산업혁명은 광산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증기기관은 산업용 동력 장치로도 이용되었다. 그 결과 산업혁명이 궤도에 올랐다. 증기기관은 대량 생산 시대를 열었다. 


상품을 운송할 교통수단이 필요했다. 트레비식이라는 기술자가 증기기관을 철도 동력으로 활용하는 데 성공했다. 영국의 산업혁명이 혁명으로 불리는 것은 기계를 이용한 대량생산이 가능해졌을뿐 아니라 상품을 실어나르는 새로운 교통수단 즉 철도와 증기선의 발명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철도 역시 광산에서 만들어졌다. 갱도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지하수만이 아니었다. 갱도가 길어질수록 채굴한 광물을 밖으로 나르는 일이 어려워졌다. 광산업자들은 갱도에 레일을 깔 생각을 했다. 나무 레일에 이어 철제 레일을 떠올렸다. 증기기관이 그랬듯 철제 레일도 새 욕망을 자극했다. 철제 레일을 갱도 밖에서 사용할 수 없을까? 철제 레일을 이용해 철광석과 석탄을 제철소로 운반할 수 없을까? 이런 욕구를 충족시키려면 기관차가 필요했다. 


증기기관차가 발명되었다. 증기기관을 만든 트레비식이 증기기관차를 개발했다. 증기 기관차가 등장하면서 영국은 철도 시대에 돌입했다. 헨리 베서머가 강철을 대량 생산했다. 선로의 내구성 문제가 해결되었다. 철기 시대가 시작된 이래 인간이 철을 가장 많이 활용한 곳은 전쟁터였다. 휴전선은 철책으로 되어 있다. 철조망의 역사는 가시철사에서 시작된다. 가시철사는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만들어졌다. 대륙 횡단 철도가 개통되고 수많은 사람이 이주하면서 미국 서부의 드넓은 땅에 목장이 속도로 늘어났다. 농부들은 이웃 목장의 가축 떼로부터 작물을 지켜야 했다. 가시철사가 발명되었다. 


이내 철조망은 전쟁에서도 쓰이게 되었다. 1898년 미국 ? 스페인 전쟁, 1899년 보어 전쟁, 그 이후 1차 세계대전 등에서 요새 방어를 위해 철조망을 사용했다. 철조망은 2차 대전 이후 포로수용소를 만드는 데 아주 효율적인 재료가 되었다. 철은 냉전을 상징하게 되었다. 철은 여러 번 재활용이 가능한 물질이다. 철 스크랩이란 말이 있다. 고철을 재활용하는 것이다.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는 방법의 하나다. 


인간이 철을 만들며 배출한 이산화탄소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 중 하나다. 철 자체는 문제가 아니다. 인간이 어떻게 철을 효율적으로 쓰는가가 관건이다. 철은 지구 온난화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철은 바닷속에 살고 있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성장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성분 가운데 하나다. 철이 풍부하면 식물성 플랑크톤의 수가 급증해 광합성으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으면서 철이 바다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식물성 플랑크톤이 증가하면 대기 중 많은 이산화탄소가 흡수되어 지구 온난화가 저지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자의 삶과 양자역학으로 본 주자학
주종옥 지음 / 동방문화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희(朱熹)의 존칭인 주자에서 이름이 유래한 주자학(朱子學)은 공자의 유학(儒學)을 중심으로 노장(老莊) 사상 및 불교사상을 통합한 동아시아 철학의 정수이며 생활 패턴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새 학문이다. 주희는 1130년에 태어나 1200년에 타계한 사상가이자 개혁가였다. 송(宋)은 북송(960년-1127년)과 남송(1127년 -1279년)으로 나뉜다. 송이 이렇게 두 시기로 나뉘는 것은 여진족이 이끄는 금나라의 침공으로 인한 것이다. 주희의 부친은 주송(朱松)이고 모친은 축오랑(祝五娘)이다. 축(祝)은 빌다, 축원하다, 베를 짜다 외에 박수 무당을 뜻하기도 한다. 


병중의 주송은 주희에게 적계(籍溪) 호헌, 백수(白水) 유면지, 병산(屛山) 유자휘 등 자신의 세 친구에게서 가르침을 받으라고 당부했다. 유면지는 주희를 친자식처럼 교육시켰고 자신의 딸(유청사; 劉淸四)을 주희에게 출가시켰다. 유자휘는 주희에게 과거 공부를 하도록 독려했다. 조광윤(趙匡胤)이 세운 송(宋)의 수도는 개봉(開封)이었다. 남송 시대의 유학은 진시황의 분서갱유로부터 당나라, 오대 십국시대를 거치면서 쇠퇴할 대로 쇠퇴하였고 오랜 내우외환으로 빈곤과 사회의 불안감이 쌓이고 쌓여 도덕은 사라지고 욕망만이 넘쳐나고 있었다. 


중원이 함락되고 전쟁과 농민봉기로 백성들은 이리저리 피난을 다니면서 전통유가의 문화적인 가치와 규범을 상실한 채 새로운 시대정신과 문화를 주도해줄 성인을 고대하고 있었다. 송은 과거제도를 활성화하고 과거제도를 통해 선발된 관료들에 의한 문치주의를 실시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기 시작하였다. 1147년 주희는 우수한 성적으로 과거를 통과했다. 과거의 수석 합격자뿐 아니라 대부분의 상위 합격자들은 금나라와의 강화조약 체결을 지지했으나 주희는 강화에 반대했다. 주희는 19세에 과거 시험을 통과한 후 20대 초반에 여러 지방의 명유(名儒) 및 현자(賢者)들과 교류하면서 그들의 가르침을 쉽고 빠르게 받아들였다. 그리하여 불교와 도교를 넘나들며 폭과 깊이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의 경지에 도달했다. 


유교 경전을 비롯해 불교 경전, 도교 경전들을 탐독하며 푹 빠져 지냈다. 주희의 학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람이 연평(延平) 이통(李?)이다. 주희 부친 주송과 수십년 교제한 이통은 몇 구절의 가르침으로 주희를 불교와 도교로부터 유학으로 돌아오게 이끌었다. 주희가 이통으로부터 받은 가르침 중 이일분수(理一分殊)를 빼놓을 수 없다. 일에는 크고 작은 것이 있지만 이치에는 크고 작은 것이 없다는 의미, 천도의 본말은 하나로 관통한다는 의미(26 페이지)다. 


주희는 사회의 부패와 모순을 일소하기 위해 애썼다. 주희는 주부(主簿) 직무를 수행하며 틈나는 대로 학문의 진흥에 심혈을 기울였다. 주희는 학생들에게 의리로 마음을 기르고 과거 공부에서 벗어나 도를 배우고 뜻을 세우며 장구(章句)의 학문에서 성의 정심을 추구하도록 지도했다. 이러한 리학 교육의 종지를 살려 학교에 법제를 제정하였으며 강의하고 토론하는 방법을 수립하여 시행하였다. 아울러 친히 재생들에게 강의하고 감독하며 재생들을 격려하였다. 주희가 경학을 전수하고 학문을 강론하자 수십 명의 제자들이 한꺼번에 배출되어 새로운 학파를 이루게 되었다. 


당시는 한(漢), 당(唐)의 장구(章句)를 위주로 한 훈고학과 불교와 도교의 흥행으로 공자, 맹자가 인(仁)을 중추로 삼아 세웠던 극기 복례와 인본적 윤리체계가 사라져가고 있었다. 주희의 리학은 공자 맹자의 인(仁)으로 돌아가는 것으로서 리를 중추로 삼아 격물치지의 인식론, 성의 정심의 도덕관, 수제치평(修齊治平)의 인생관을 삼위일체로 하는 인본 윤리 체계였다. 주희는 계속되는 사회 혼란으로 무너진 풍속을 바로잡는 근본이 예(禮)에 있다고 보고 주례, 의례 등을 참고로 제례와 혼례의 표준을 만들어 가르쳤다. 


1163년 11월 6일 주희는 등대(登對)하여 황제에게 격물치지와 현실에 대응하는 방안에 대해 이통의 리학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하면서 효종이 군주로서 저지른 허물을 지적하고 조정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주자가 효종의 면전에서 세 차례 차자(箚子)를 읽어 내려가면서 강화 논의를 강하게 비판하자 황제가 얼굴에 노기를 띠면서 언짢아 하였다. 11월 12일 주희를 몹시 달가워하지 않던 효종은 결국 주희를 무학박사(武學博士)에 제수(除授)하였다. 무학박사는 국립대학에 해당하는 국자감에서 병서, 궁마, 무예를 가르치는 직책으로 유학자를 이 직책에 임명하였다는 것은 조정 일에 관여하지 말라는 것을 의미했다.


효종은 주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164년 11월 금과의 관계를 숙질로 하고 매년 세공을 바치는 것으로 강화를 맺었다. 주희는 자신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고 효종이 유학을 좋아하지 않는 것이 분명해지자 그 해 12월 12일 도성 임안을 떠났다. 그때 마침 스승 이통이 별세했다는 소식이 들려왔기 때문에 핑계를 대고 서둘러 떠났다. 1175년 7월 주희는 노봉(蘆峰) 운곡(雲谷)에 새로운 거처인 회암(晦庵)을 짓고 저술에 몰두했다. 주희는 세 성인 역 즉 복희(伏羲)의 역, 문왕(文王)의 역, 공자(公子)의 역을 탐구하여 역의 역사를 거꾸로 올라가 본래의 뜻을 밝히고 정이(程?)의 의리역과 소옹(邵雍; 소강절)의 상수역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1193년 무렵 주희가 큰 선비라는 명성이 금나라에까지 전해졌다. 북방의 금나라 통치자와 조정에서는 유학을 높이면서 주희에게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남송은 매년 원단을 축하하는 사절단을 금나라에 보냈다. 그해 초에도 사절단이 금 나라로 갔다. 금나라 조정에서 남송으로부터 파견된 대신에게 뜻밖에 남조 주선생님께서는 요즘 어떤 일을 하시느냐고 물었다. 그 대신이 이를 조정에 보고하자 조정 대신들이 앞 다투어 주희를 천거하여 산중에서 내려오게 하였다. 1193년 11월 주희는 지담주 호남 안무사에 제수되었다. 주희는 담주에 도착하자마자 병비를 정돈하고 지방행정을 맑게 하고 학풍을 바로잡는 세 방면의 개혁을 전개하였다. 


이어서 악록서원을 복원한 후 서원의 규모를 대대적으로 확장하고 주학을 선풍처럼 일으켰다. 1194년 즉위한 영종은 간사한 신하들의 권력농단을 폭로하고 황제에게 성의정심의 공부가 부족하다고 책망하는 주희에 대해 분노해 주희를 40여일만에 도성에서 쫓아내버렸다. 반도학파들은 조정에 있던 도학자들을 온갖 죄상을 씌워 유배 보내고 마침내 1197년 정월 도학의 영수인 주희도 여러 가지 죄상을 나열하여 탄핵한 후 파직하였다. 1198년 반도학파들은 주희를 포함한 위역당적(僞逆黨籍) 59인의 명단을 열거한 후 도학을 위학으로 규정하고 위학을 금지한다는 조칙을 세상에 공포하였다.


당적에 포함된 도학자들은 정신적인 억압과 곤경 속에 울화병이 들어 하나씩 죽었다. 주희가 그토록 아끼던 채원정(蔡元定)도 유배지에서 화병으로 죽고 말았다. 주희 사후 얼마 되지 않아 그의 우상화와 신격화 운동이 일어났다. 1209년 문(文)이라는 시호가 하사되어 주문공(朱文公)으로 높여졌다. 주희의 사서집주가 국학으로 채택되었고 태사(太師)에 추증되었으며 주돈이, 장재, 정호, 정이와 함께 다섯 도통의 성인의 지위에 올랐다. 1335년 주희를 제국공(齊國公)으로 봉하고 문묘(文廟)를 세우게 하여 공자와 같은 반열에 올리고 봄, 가을로 공자와 같이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


1712년에는 강희제(姜熙帝)가 조서를 내려 주희를 공묘십철(孔廟十哲)의 반열에 배사토록 승격시키고 주희의 위패를 대성전 안으로 들였으며 주자전서, 성리정의를 편집한 뒤 전국에 반포하게 했다. 주희가 구축한 방대한 인본주의 주자학 체계는 선(善)을 최고의 가치로 삼는 윤리이성으로 동양의 정신문화와 전통을 대표하고 현재까지도 우리들 마음속에 깊이 흐르고 있다. 1175년 주희는 여조겸과 함께 송나라 성리학자인 주돈이, 장재, 정호, 정이의 어록과 문집에서 정수가 되는 말을 편찬하여 근사록(近思錄)을 만들었다. 근사록이란 논어 자장 편에 나오는 널리 배우고 뜻을 돈독히 하여 절실하게 묻고 가까이부터 생각하면 인(仁)은 그 가운데 있다(박학이독지 절문이근사 인재기중의;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仁在其中矣)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주희는 그 중 모든 학문사변의 일인 박학, 독지, 절문, 근사에 종사하면 마음이 밖으로 달아나지 않고 존양할 수 있어 자연히 인(仁)이 그 가운데 있게 된다고 했다. 주자학은 위진 남북조 시대 이래 도교와 불교의 현실탈피 정신을 비판하고 현세에 가치를 두며 유교 본래의 예교주의를 부활시키는 것을 기치로 내걸고 일어났다. 주자학은 도교사상이 지닌 우주론과 불교의 심오한 심성론 등 철학 이론을 흡수하여 종전의 유교에는 없던 우주론, 존재론, 심성론, 인식론 등을 갖춘 종합적인 철학 체계를 확립하였다. 주자학은 도교나 불교처럼 내면주의 단계에 머물러 있지 않고 사물에 대한 주지적이고 합리적인 탐구를 중시하며 존덕성(尊德性)과 도문학(道問學)의 구체적인 실천 방법인 격물치지(格物致知)를 제시하였다. 


명은 원(元)대를 거쳐 한족이 다시 천하를 통일하여 민족주의 고취와 함께 중국 고유의 사상을 부활시킬 필요가 있다고 여겼다. 주자학은 그에 가장 적합한 학문으로 여겨졌다. 송대 주자학에서 형이상학이 발전하게 된 것은 불가의 공(空)과 도가의 무위(無爲)에 답하기 위하여 자신들의 우주론과 형이상학을 건설해야 했으므로 태극(太極), 리(理), 기(氣) 등의 새로운 개념을 창출하였다.(99 페이지) 그러나 명초에는 불교나 도가의 도전이 없었기 때문에 그런 문제에 대한 관심이 그렇게 고조되지 않았다. 


주자학적 자연법의 특징은 존재와 당위를 일치시켰다는 점이다. 즉 존재가 당위가 된다. 이것을 주자학적 용어로 말하면 존재의 근거 또는 원리인 소위연지고(所以然之故)는 존재의 규범적 양태 또는 존재가 실현해야 할 규범인 소당연지칙(所當然之則)과 등치라는 것이다. 이것을 주자는 모두 리로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주자학에서 리는 이중 구조를 갖는다. 청대의 대표적인 도학자인 안원(顔元)은 송의 도학자들이 한(漢), 진(晉)의 불교, 도교의 집대성자일 뿐 요순, 주 공, 공자의 전통 계승자는 아니라고 여겼다. 


안원은 기를 우주의 근본으로 여기며 만물의 성은 리가 부여된 것이고 만물의 기질은 기가 응결된 것이라고 하면서 리와 기는 하나로 융합되어 있어 천명지성과 기질지성으로 나눌 수 없고 도심과 인심을 나눌 필요도 없다고 보았다. 주자학은 군자와 성인을 논하고 천하를 논하지만 그 출발점은 자기 자신의 일상생활에 둔다. 일상생활에서 자기 자신의 삶을 꾸준히 향상시키는 가운데 자신의 인격이 완성된다. 자신의 삶이 완성되면 저절로 가족과 사회와 국가와 세계로 확충되어가는 삶을 살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학문이다. 


또한 주자학은 경험적 반성을 통해 올바른 삶의 방향을 인식하고 반드시 실천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문이다. 뿐만 아니라 주자학은 국가의 전례와 사회와 가정의 종법제도, 관혼상제 등 제반 의식과 절차를 개량하고 건전한 풍속을 조성해 나감으로써 조선시대 전반의 생활에까지 깊은 영향을 미쳤다. 주자학은 조선에서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의 정치체제와 개인의 사유체계에서 제일의 동력원이 되었고 현재 우리 사회에서도 알게 모르게 그 영향이 지속되고 있다. 


상(商) 나라 때부터 유자(儒者) 계층이 비로소 육체노동에서 벗어나 상대적으로 독립적으로 전문화되어 갔다. 그들은 각종 의례를 주관하면서 복잡하고 번거롭고 산만했던 기존 의례의 수준을 높이고 규범화했다. 상당수의 유자들은 장례만 주관하던 천민이었지만 이때부터 전문 지식계층으로 신분 상승했다. 나아가 단순히 상례, 장례, 제례 사무만 보던 유자들이 국가의 중요한 전례와 종교 행사 및 민간의 각종 문화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에 따라 국가에 없어서는 안 되는 특수한 계층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주(周) 나라에 와서 천(天)은 상나라 때의 권위적인 천인관계를 넘어 윤리적 색채가 더해져서 화복(禍福)을 관장하는 존재가 되었다. 천은 화복을 집행하는 권위자일뿐 아니라 덕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도덕적 존재이기도 했다. 기원전 1046년경에 상을 멸망시킨 주나라는 호경(鎬京)으로부터 낙읍(洛邑)으로 도읍을 옮기고 봉건제도를 실시하였다. 서주 초에 주공(周公)이 예악을 정하였다. 이는 주례라는 엄격하고 치밀한 예절규범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강화되었다. 의식주를 비롯해 모든 생활방식이 신분에 따라 정해진 절차와 제약을 따르게 하는 독특한 중국의 예문화가 만들어졌다. 


유교를 창시한 공자는 주나라의 관제와 예법을 꾸준히 공부하면서 학생을 받아 제자로 가르쳤다. 시(詩), 서(書), 역(易), 악경(樂經), 예기(禮記), 춘추(春秋) 등 6경을 정리하였고 상, 주 이래 전통적인 고대의 천명사상을 계승, 발전시켰다. 고대 유학에서도 부분적으로 태극이나 음양이론에 대해 논하였지만 이를 우주론이나 존재론으로까지 천의무봉하게 엮어내지는 못하다가 남송의 주희에 이르러 비로소 치밀하게 다듬어져 이론화되었다.


자연현상을 근거로 탄생한 음양개념은 노자에 이르러 도와 함께 존재의 근원을 설명하는 개념이 되었다. 복희씨 팔괘도는 대립적 위치에 있는 괘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하늘과 땅이 서로 교감하여 만물을 낳고 못의 기운이 산으로 올라가 구름과 비가 되며 물과 불은 상극관계이면서도 서로 감응하여 유기적인 관계를 상징한다. 복희씨 팔괘도는 주역이 그리는 이상적인 자연계의 모습이 그려져 있어 현실세계의 모습과는 다르다. 현실세계는 언제나 조화, 부조화, 균형, 불균형이 공존하기에 이런 현실을 반영하여 나타낸 것이 문왕 팔괘도다. 


이 괘도에서는 감괘(坎卦)와 리괘(離卦)를 제외한 모든 괘가 서로 부조화 상태에 있다. 복희씨 팔괘도가 자연세계의 공간적인 구조를 설명한 것이라면 문왕 팔괘도는 자연의 시간적 변화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복희씨 팔괘도가 현실화되기 이전의 이상세계를 그린 것이라는 의미에서 선천도라 할 수 있고 문왕 팔괘도는 현실 세계를 그린 것이라는 의미에서 후천도라 할 수 있다. 복희씨와 우임금이 팔괘를 만들고 문왕이 64괘로 나누고 괘사를 붙였으며 그의 아들 주공이 효사를 지어 완성하였고 공자가 십익(十翼)을 붙였다는 것이 통설이다. 


음양이 우주 발생의 기원을 설명하는 추상적 개념이라면 오행은 자연과 우주를 이루는 다섯 가지 원소를 인간생활과 밀접한 구체적인 물질로 설명하는 개념이다. 한(漢)의 동중서는 천(天)이 말할 수 있는 존재는 아니지만 음양오행의 자연적 요소로 재변을 일으켜 인간에게 상벌을 주는 존재라는 천인감응설을 주장하여 의지의 천, 주재자로서의 천 개념을 부활시켰다. 황노(黃老; 황제, 노자) 계열 학맥을 잇는 회남자(淮南子)의 저자들은 도의 무위의 특성을 강조하여 자연감응설을 제기하였다. 


서주(西周)가 몰락하고 춘추전국시대가 도래하자 크고 작은 수많은 나라들이 출현하였고 그들 간의 전쟁 횟수가 1,200회를 넘는 등 전쟁으로 인하여 사회가 극도로 혼란에 빠져 고대에서 이어져온 오랜 천관의 변화를 재촉하였다. 주희는 북송 오자 각자가 조금씩 연구한 개념들을 종합하고 다듬어서 주자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의 틀을 제시하였다. 주희는 인의 개념을 정성스럽게 다듬어서 사람의 마음이 가지고 있는 본래적인 덕성이며 사랑의 리라고 정의하고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성선설까지 연결시키면서 윤리 도덕의 원천으로까지 높였다. 


지구는 시속 1,700km 속도로 자전하면서 시속 107,000km 속도로 공전한다. 태양계는 시속 80만 km의 속도로 은하중심을 한 바퀴 도는데 2억년 정도가 소요되고 지금까지 23번 정도 돌았다고 한다. 우주가 폭발한 지 30만년쯤 되었을 때 우주의 온도가 내려가고 전자들이 원자핵과 결합하면서 우주가 투명해졌고 빛과 물질이 분리되면서 빛이 빠져나왔다. 시간이 흐르고 우주가 계속 팽창하면서 이 빛은 매우 약하지만 우주 전체를 채우고 있다. 이 빛의 온도는 영하 273도 정도다. 이 빛은 마이크로파여서 우리 눈으로 볼 수 없다. 이 빛을 우주배경복사라 한다. 


우주배경복사는 빅뱅의 가장 강력한 증거이자 우주 초기의 여러 정보를 알려주는 가장 귀중한 유물이다. 우주가 팽창을 거듭함에 따라 온도가 내려갔고 우주에 남아있던 빛의 파장이 길어져 적외선이 되면서 우주가 캄캄해졌다. 이 빛의 스펙트럼은 에너지를 전부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흑체 스펙트럼과 같다. 온도 차이는 위치에 따라 10만분의 1 정도다. 현재까지 우주의 팽창을 고려한 우주의 크기는 420억 광년 정도다. 공간은 물질이 있는 곳에, 시간은 사건이 있는 곳에 존재한다. 물질과 사건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의 시간과 공간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물리학자들은 시간과 공간이 얽혀 있다는 의미의 시공간을 이야기한다. 장회익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했다. ‘우주는 138억년전에 빅뱅으로부터 급격한 팽창과 함께 출현했는데 이 최초의 순간에 공간과 시간을 포함해 모든 것이 크기를 헤아릴 수 없는 아주 작은 점에서 출발했다. 그 안에는 어떤 것도 구분할 수 없고 대칭 상태이며 완전한 혼돈 상태로 이러한 상태를 무극(無極)이라 부르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으로 그 안에 앞으로 우주만물을 생성시킬 수 있는 기본원리와 소재 원형이 분화되지 않은 상태로 잠재되어 있는데 이를 태극(太極)이라 한다. 무극이면서 태극이란 말이 가능하다.’(‘자연철학강의’ 503 페이지) 


닐스 보어는 동양의 태극과 음양이론이 양자역학과 정확하게 일치한다고 선언했다.(155 페이지) 조셉 니덤은 ‘아마도 가장 현대적인 유럽의 자연과학의 이론적 기초는 노장과 주돈이, 주자와 같은 인물들의 은혜를 입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있는 사람이 훨씬 많을 것이다.’란 말을 했다. 아인슈타인, 칼 세이건, 호킹, 파인만 등은 우주의 구조를 심도 있게 연구해보고 그 신비로움에 경의를 표하면서 우주 자체는 신이라고 언급했다. 


무극은 기가 무한대로 펼쳐져 있는 상태 즉 물리학에서 허용하는 측정범위를 넘어선 양자요동이 끝없이 펼쳐진 상태라 보면 좋다. 태극은 우주를 운행시키는 모든 리(理)의 총화이다. 무극과 태극은 절대 분리될 수 없는 단일체로 이것이 바로 우주라는 의미다. 무극과 태극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주희는 동정무단(動靜無斷), 음양무시(陰陽無始)의 우주를 말하였다. 리(理)는 원래 옥(玉)에 나타나는 무늬를 이르던 말로 후에 철학적 개념이 부여되어 사물에 내재하는 원리, 우주의 근본 도리 등을 지칭하게 되었다. 


주희가 언급한 태극은 천지만물의 리다. 주희의 이일분수 사상은 이통의 사상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다. 주희의 핵심 개념은 이선기후(理先氣後)다. 주희는 인간도 우주만물이 유행하는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생명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유기체적 세계관을 제시했다. 그는 이런 세계관에 윤리적 의미를 부여하여 자연과 인간의 윤리를 통합시키는 독창적인 철학을 개발하였다. 유기체적 세계관에서 리는 우주 만물을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망이면서 네트워크망에 있는 조직의 패턴이다. 


주자학의 리는 음양오행의 기를 능동적으로 주재하여 우주 만물을 운영하며 존재론적 당위성과 윤리적, 도덕적 의미까지 부여하였다. 데카르트는 신으로부터 철학을 독립시켜 자연의 실체를 사유(思惟)의 실체와 연장(延長)의 실체로 나눔으로써 근대철학을 열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은 사실 환영(幻影)에 지나지 않는다. 잠재의식의 보강작업을 거쳐 조작된 것이란 의미다. 두뇌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시야에 들어오는 정보 중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것은 스쳐 지나가고 저장도 하지 않는다고 한다. 


저자는 현대 양자역학적 용어로 주자학의 기는 넒의 의미에서 에너지로, 리는 정보로 정의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의존할 수 있는 기가 없으면 리가 발현될 수 없지만 리가 없으면 기도 무용지물이 된다. 주희는 정이가 말한 성즉리(性卽理)의 관점을 받아들여 성을 형이상의 도덕본체로 설명한다. 형이하의 측면에서 심은 기의 핵심이지만 심 가운데 부여된 리는 형이상의 심이다. 주희는 성(性)은 태극과 같고 심은 음양과 같다고 말했다. 텅 비어 있고 밝으면서도 만물에 감응하는 것이 심이고 만물에 감응할 때 그 속에 들어 있는 도리가 성이며 그것이 밖으로 드러나는 것이 정이다. 


기쁨과 노여움, 슬픔과 즐거움이 아직 발동하지 않은 상태를 중(中)이라 하고 이미 발동하였지만 모두 정당한 법도에 들어맞는 상태를 화(和)라 한다. 주희의 성즉리 체계에서 성은 천리가 사람과 사물에게 품수(稟受)된 것이다. 리일분수는 전체 또는 일반을 가리키며 세계의 통일성을 대표한다. 분수(分殊)는 부분 또는 개별을 가리킨다. 세계의 다양성을 대표한다. 전자 크기의 10만배 크기가 원자핵 크기이고 원자핵 크기의 10만배 크기가 원자 전체의 크기다. 


몸의 다른 세포는 다 바뀌어도 뇌세포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197 페이지) 핵심은 뇌세포는 변함없이 존재하므로 항상 나는 나라는 것이다.(김대식 지음 ‘인간을 읽어내는 과학' 95 페이지) 우리의 뇌는 진화적 계층이 켜켜이 쌓여 있는 고고학 박물관이다. 아래로부터 뇌간(파충류의 뇌), 해마(현재의 뇌), 대뇌피질(미래의 뇌)의 구조다. 나의 본질은 정보다. 생명은 정보 자체가 유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주자학뿐 아니라 중국 고대철학에서 우주와 자연은 천(天)이라 불렸다. 천은 무극이자 태극을 달리 부르는 명칭으로 태극이 음양을 낳는 까닭을 도(道)라 하고 자연의 이법과 모든 사물들에게 부여하는 속성을 리(理)라 하였다. 


주희가 태어나기 전 북방에서 일어난 거란이 성장하여 국호를 요(遼)로 바꾸고 송을 압박했고 여진 세력도 금(金)을 세우고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다. 송은 금과 연합하여 요를 멸하였으나 금에게 송의 수도 개봉(開封)이 함락되고 황제 휘종과 흠종이 금에 끌려갔다. 1127년 5월 남경에서 고종이 즉위하면서 남송시대가 시작되었다. 남송은 주화파 진회의 주도로 금에게 막대한 공물을 바치는 조건으로 화친하며 명운을 연장하고 있었다. 주희는 백약이 무효한 관료들의 부패로 썩어빠진 조정의 기강을 바로잡고 황제를 교육하면서 백성들의 도덕을 바로잡아 북방의 옛 강토(疆土)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실천을 바탕으로 한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새로운 학문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주희는 법가를 공리주의에 빠진 형이상학이 없는 사상으로 보았다. 주자학이 다른 철학이나 학문과 확연하게 다른 부분은 학자는 국가나 사회 또는 백성들을 위하여 도심을 실현하고 헌신해야 한다고 생각한 데 있다.(223 페이지) 양자역학에서는 파동함수를 통하지 않고서는 양자들의 행동을 알 수 없다. 양자들은 동시에 여러 곳에 존재하다가 우리가 관찰하거나 측정하면 파동함수가 붕괴해 한 가지 상태로 결정된다. 


주자학은 1313년 원나라 인종 때부터 1912년 청나라 말까지 600년간 중국의 관료선발 기본교재 및 교육과정으로 지정되었다. 주희는 고종, 효종, 광종, 영종 등 네 황제에게 국가 당면 현안을 해결할 정책을 제안하는 봉사(封事)를 수차례 올리고 시강을 하고 직접 주대하여 직언을 하는데 주저함이 없었다. 관직에 있을 때는 토지 경계를 바로잡았고 조세제도를 개혁하였고 재난이 닥쳤을 때 부세를 경감하였고 사창(社倉)을 지어 백성들을 구제하였고 지방 호족들의 탈세를 막고 불법을 탄핵하는 등 과감한 개혁정책을 펼쳤다. 각종 의례가 인간의 감정을 솔직하고 적절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략하게 하고 음식을 검소하게 하는 등 풍속을 바로잡았다. 항상 거친 음식과 의복으로 검소한 생활을 몸소 실천하였다.(246 페이지) 


주자학의 유기체적 세계관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주자학의 유기체적 세계관에서 리는 우주만물을 통합적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면서 이를 유지하고 운영해나가는 정보다. 유기체적 세계관을 양자역학적으로 장(場)이론이라 할 수 있다. 우주 전체는 힉스장 즉 부단(不斷)한 양자요동으로 춤춘다. 우주 공간 자체는 소립자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부단히 역동적으로 생성, 소멸한다. 도덕은 단순한 지식의 문제가 아니라 행동하는 것, 헌신하는 것이다. 주자학은 정신, 육체의 일원론이다. 주자학은 실천을 우선하는 실용주의다. 주자학이 우리 시대에 유용하게 활용될 여지는 크다. 이런 점에서 주종욱의 책은 주목할 만하다. 궁금증은 주자학을 근본으로 한 조선은 왜 무너졌는가,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는 만큼 보이는 세상 : 물리 편 - 사진과 그림으로 단번에 이해하는 81가지 친절한 물리 안내서 아는 만큼 보이는 세상 : 물리편
송경원 옮김, 가와무라 야스후미 외 감수 / 유노책주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을은 왜 붉을까?란 제목의 챕터에 하늘의 색은 무지개 색 순서대로 변한다는 글이 있다. 빨주노초파남보가 아니라 보남파초노주빨이리라. 하늘의 색깔은 빛과 공기의 조화에 의해 나타난다. 공기가 없는 우주에서는 빛이 산란하지 않아 검은색이다. 빛은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잘 일어난다. 구름은 물 등의 수많은 입자가 모여 만들어진다. 물 입자는 공기 입자보다 크기 때문에 태양 빛이 구름을 통과하면 모든 색의 빛을 다 산란시킨다.(Mie Scattering) 미에는 발견자인 구스타프 미에에서 온 이름이다. 이 때문에 하얗게 보인다. 파란색 빛이나 보라색 빛은 파장이 짧아 산란하기 쉬워 다른 색빛들보다 훨씬 많이 흩어진다. 그래서 우리 눈에 하늘은 물론 하늘이 비친 바다도 파랗게 보인다. 


바닷물이 파란 또다른 이유는 빨간색, 노란색, 주황색 빛 등은 바다에 닿는 순간 물에 흡수되지만 빨간색 계열과 반대되는 파란색 계열의 빛은 바닷물을 통과해 바닷속 물질이나 플랑크톤 등에 부딪히며 반사, 산란되어 바다가 파랗게 보이는 것이다. 박명은 태양이 지평선 아래에 있더라도 일부 빛이 상층 공기층에서 반사, 산란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일출 전이나 일몰 후 얼마 동안 태양이 보이지 않아도 하늘이 희미하게 밝은 것을 박명(薄明)이라 한다. 빛은 평평한 면에 부딪힐 때의 각도(입사각)와 반사될 때의 각도(반사각)가 같다. 물체가 빛을 받을 때 반사하는 정도인 반사율이 높으면 거울처럼 실물을 비춰낸다. 입사각이 70도를 넘으면 반사율이 급격하게 높아진다. 호수 수면을 바라보는 각도가 수평에 가까워질수록 거울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등대의 불빛은 전구 앞에 놓인 프레넬 렌즈를 통해 한곳에 모인다. 이렇게 모인 빛은 일직선으로 나아가므로 멀리까지 전달된다. 프레넬 렌즈는 두껍고 무거운 볼록렌즈 대신 볼록렌즈의 표면 부분만 모아 조합한 것이다. 빛은 공기 중에서 물속이나 유리 등 다른 물질로 들어갈 때 꺾이는 성질이 있다. 빛은 색에 따라 꺾이는 각도가 다르다. 비 갠 직후 공기 중에 물방울이 떠다닐 때 태양을 등지고 서면 태양 빛이 물방울에 부딪혀 일곱 가지 색으로 나뉜 무지개를 볼 수 있다. 태양 빛이 물방울 속에 들어갔다가 나올 때 빨간색부터 보라색까지 여러 색으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무지개는 지면에서 위로 42도 부근에서 보인다.(빛은 색에 따라 꺾이는 각도가 다른 점 참고) 아침에는 서쪽 하늘, 저녁에는 동쪽 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태양이 머리 위에 떠 있는 낮에는 지면과의 각도가 42도를 넘어 무지개를 보기 어렵다. 무지개는 원래 원형이지만 아랫부분이 지면에 가려 반원 형태로 보인다. 


비행기를 타거나 등산 중 절벽에 서면 아랫부분까지 둥근 무지개를 볼 수 있다. 사막이나 한여름의 고속도로 등에서 땅바닥에 물이 고인 것처럼 보이는 것을 땅거울이라 한다. 땅거울은 실제 위치보다 아래에 사물이 보이는 아래신기루의 하나다. 바닷물은 거의 이동하지 않고 바람에 의해 생긴 해수면의 진동이 주위로 퍼져나가면서 에너지만 전달된다. 어떤 한곳에서 생긴 진동이 주위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파동이라 한다. 영하 10도 이하의 기온이 지속되면 호수 표면은 얼어붙는다. 밤이 되어 기온이 내려가면 낮 동안 얼어 있던 호수 표면의 얼음이 수축하면서 균열이 생기고 그 틈으로 물이 들어가 얇은 얼음이 생긴다. 낮이 되어 기온이 오르면 얼음이 팽창하여 밤에 만들어진 얇은 얼음이 깨지면서 솟아올라 얼음길이 생긴다. 


얼음 위가 미끄러운 이유는 신발과 얼음의 표면 사이에 생기는 얇은 물막 때문이다. 얼음은 압력을 받으면 물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얼음은 압력을 받으면 녹는점이 낮아져 물로 변하다가 압력이 사라지면 다시 얼음으로 돌아간다. 강의 상류는 경사가 급하고 흐르는 물의 속도가 빠르므로 침식 작용이나 운반 작용이 더욱 활발하다. 이렇게 오랜 시간 침식 작용과 운반 작용이 반복해서 일어나면 좁고 길게 파인 V자 형태의 계곡이 만들어진다. 


높은 곳에 있는 폭포 물은 위치 에너지(포텐셜 에너지)를 갖는다. 이 물이 중력을 받아 아래로 떨어지면 물의 위치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로 바뀐다. 폭포 아래에 있는 웅덩이에 부딪힌 다음에는 운동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전환되어 물의 온도를 높이는 데 사용된다. 연잎이 물을 튕겨 내는 것을 연잎 효과라 한다. 이슬은 기온이 낮아지는 새벽에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여 생긴 물방울이다. 이 물방울이 동그란 모양을 유지하는 것은 표면 장력의 작용 때문이다. 액체는 형태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지만 어느 정도 뭉치려는 성질이 있다. 각 물질의 분자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분자간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체처럼 움직이는 물질은 분자간 힘이 표면의 면적을 되도록 작게 만들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힘을 계면장력이라 한다. 액체일 때는 표면 장력이라 한다. 물은 액체 중에서도 표면 장력이 크다. 


난류(亂流)로 인해 유체 마찰을 줄이는 구조를 리블렛이라 한다. 공기에도 무게가 있다. 기압은 위에서 아래로만 작용하는 힘이 아니다. 아래에서든 옆에서든 똑같이 작용한다. 공기 중에서 낙하하는 물체에는 중력과 공기 저항력이 작용한다. 무거운 쇠구슬에는 공기 저항력보다 중력이 훨씬 크게 작용하므로 쇠구슬은 가벼운 나뭇잎보다 빨리 땅에 떨어진다. 낙하산처럼 무게에 비해 면적이 넓은 나뭇잎에는 중력이 작게 작용하고 공기 저항력은 크게 작용하므로 낙하 속도가 느려진다. 나뭇잎은 떨어지면서 방향을 바꾸기 때문에 공기 저항력도 그때마다 달라진다. 


오로라는 북극이나 남극 주변 지역에서 관측할 수 있는 아름다운 자연 현상이다. 오로라가 생기는 원리는 지구의 자기장 및 플라스마와 관련이 있다. 지구는 북극과 남극에 자극을 가진 하나의 커다란 자석이다. 북극과 남극 사이에는 자기력이 작용한다. 자기력이 작용하는 공간을 자기장이라 한다. 태양에서 우주 공간으로 방출된 플라스마(전기를 띤 입자)의 흐름을 태양풍이라 한다. 지구는 보호막 역할을 하는 자기장이 둘러싸고 있어서 태양풍은 지구를 피해 휘어진 형태로 지구 뒤쪽으로 흘러가 플라스마 덩어리를 만든다. 그 후 플라스마 속의 전자가 지구의 자기력선을 따라 가속되어 극지방으로 쏟아져 내린다. 이때 전자는 대기 중의 원자나 분자와 부딪혀 빛을 낸다. 이를 오로라라 한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전기를 띤 입자가 지구 상공에서 대기와 부딪혀 빛을 내는 현상을 말한다. 


전자는 부딪히는 원자나 분자의 종류에 따라 색이 다르게 나타난다. 모래사장과 바닷물은 똑같이 뜨거워지지 않는다. 비열 차이 때문이다. 비열이란 물질 1그램의 온도를 1도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다. 물의 비열은 다른 물질보다 훨씬 크다. 모래의 비열은 바닷물보다 작기 때문에 온도가 빨리 올라가 금방 뜨거워진다. 밤에는 낮과 반대로 모래사장보다 바닷물이 더 따뜻하다. 모래는 비열이 작아서 금방 식는 데 비해 바닷물은 비열이 커 온도가 잘 변하지 않는다. 


GPS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고도 약 20,000km 상공에서 약 30대의 GPS 위성이 지구 주위를 돈다. 천연 다이아몬드는 약 10-33억년전 지하 약 200km 부근의 맨틀 내 깊숙한 곳에서 생성된 탄소 결정체다. 맨틀 내에서 만들어진 다이아몬드는 수억년 전 화산이 분출할 때 마그마와 함께 지표면 근처까지 빠르게 이동했다.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상승하면 다이아몬드도 흑연으로 변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올라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때 만들어진 화성암을 킴벌라이트라 한다. 때로 다이아몬드가 들어 있다. 남아프리카 등에 분포한다. 


지구의 공전 운동에 따라 별의 위치가 달라지는 현상을 시차(視差)라 한다. 국제우주정거장은 왜 떨어지지 않을까? 매우 느리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시속 약 2.8만 km의 매우 빠른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돌기에 떨어지지 않는다. 적어도 1만년 이상 시간이 흐르면 생물의 뼈는 주변의 돌과 거의 같은 성분을 지닌 화석이 된다. 화석 중에는 동물의 피부 무늬나 깃털의 흔적, 발자국, 식물의 잎맥 등이 도장이 찍히듯 진흙에 각인된 뒤 오랜 시간에 걸쳐 진흙이 단단한 암석으로 변하면서 만들어진 생흔화석도 있다.


맨틀은 암석으로 이루어진 고체이지만 오랜 시간에 천천히 움직인다. 지하 200km 정도에 있는 상부 맨틀은 온도가 약 1,500도에 달한다. 특히 주변보다 온도가 더 높은 부분은 위로 이동한다. 위로 올라갈수록 주변의 압력이 점차 낮아지므로 지하 100km 부분에서 맨틀은 끈적끈적한 액체가 된다. 이것이 마그마다. 마그마가 더 위로 올라가면 지하 1-10km 부근에서 많은 양의 마그마가 섞여 있는 마그마 방이 만들어진다. 지표면에 가까울수록 주변의 압력이 더욱 낮아지기 때문에 마그마에 녹아 있던 물이나 이산화탄소는 거품으로 변한다. 압력이 낮아지면 녹는점이나 끓는점이 비교적 낮은 물질은 액체나 기체로 변해 밖으로 빠져나온다. 거품을 포함한 마그마는 주변 암석보다 가벼워서 지표면의 갈라진 틈을 통해 지상으로 뿜어져 나온다. 이를 분화라 한다. 


태고의 지구는 자전 주기가 약 다섯 시간이었다. 달이 미치는 인력의 영향으로 서서히 속도가 느려져 지금과 같은 주기가 되었다. 지구의 자전은 조석(潮汐) 마찰로 인해 조금씩 느려진 것으로 추측된다. 달과 지구는 서로 인력으로 끌어당기고 있다. 달과 가까운 쪽에서는 달이 바닷물을 끌어당겨 밀물이 된다. 지구가 달과 지구의 공통 질량 중심을 회전하면서 나타나는 원심력 때문에 달 반대쪽의 먼바다에서도 바닷물이 부풀어 올라 밀물이 된다. 이때 중간에 있는 바다는 바닷물이 쪼그라들어 해수면이 낮아지는 썰물이 된다. 


유성의 정체는 대부분 우주 공간을 떠도는 티끌이나 먼지다. 이 티끌이나 먼지가 지구 중력에 이끌려 빠른 속도로 떨어지는 것이다. 크기가 큰 티끌이나 먼지는 다 타지 않고 지상으로 떨어진다. 이것을 운석이라 한다. 태양보다 30배 이상 질량이 큰 항성이 수명을 다하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뒤 계속 수축하다가 블랙홀이 된다. 딸기처럼 붉은빛 또는 분홍빛 달이 뜨는 이유는 아침 해나 석양이 붉게 보이는 것과 원리가 같다. 지평선 가까이에 달이 있을 때 달빛 중 빨간색 빛이 대기에 흡수되지 않고 우리 눈에 도달하기 때문에 붉게 보인다. 수퍼문의 반대는 마이크로문이다. 


달과 태양은 지구에서 바라볼 때 겉보기 크기가 거의 같지만 달이 지구에 가까이 왔을 때는 달의 겉보기 크기가 조금 더 크다. 이때 일식이 일어나면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이 일어난다. 평소에는 태양 빛 때문에 보이지 않지만 개기일식 때면 관측할 수 있는 태양의 대기층을 코로나라 한다. 달이 지구에서 멀어졌을 때 일식이 일어나면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지 못해 태양의 가장자리가 반지와 같은 모양으로 빛난다. 이를 금환일식이라 한다. 6,600만년전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에 충돌한 운석은 지름 약 160km의 크레이터를 만들었다. 양초는 심지에 불을 붙이면 양초의 재료인 왁스가 녹아 액체가 되고 이 액체 왁스가 심지를 타고 올라가 불이 붙은 심지에 가까워지면 기체로 변한다. 그 기체(왁스 증기)가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타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