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마네와 모네 - 인상주의의 거장들 아티스트 커플
김광우 지음 / 미술문화 / 2017년 10월
평점 :
품절


 

마네와 모네는 인상주의의 거장들이다. 둘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은 사이이다. 그 둘의 관계를 해명한 김광우의 마네와 모네는 아티스트 커플 시리즈의 한 권이다. 저자 김광우는 철학 및 현대 미술, 비평을 전공한 분이다. 저자는 예술가의 창조성은 주변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전제한다.

 

마네와 모네의 특징 중 하나는 방대한 자료들을 실었다는 데 있다. 그래야 예술가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두아르 마네(1832 1883)올랭피아풀밭에서의 오찬으로 유명하고 클로드 모네(1840 1926)는 수련(睡蓮) 연작으로 유명하다.

 

마네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고 모네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마네는 인물화를 주로 그렸고 모네는 풍경화를 주로 그렸다. 마네는 모더니즘을 연 사람이고 모네는 최초의 회화 혁명을 체계적으로 일으킨 사람이다. 마네와 모네는 일본 판화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응용했을 뿐 아니라 일본 판화를 그림의 배경으로 장식했다.(46 페이지)

 

모네와 마네는 행복한 시간을 공유했다.(171 페이지) 마네는 모네를 끝없이 도왔다. 모네는 마네에게 금전적 도움을 요청했다.(192 페이지) 모네는 마네 사후 마네를 위대한 화가로 기억되도록 적극 나섰다.(267 페이지) 모네는 마네의 작품이 루브르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도움을 청했다.(268 페이지) 둘의 관계는 고흐와 고갱의 그것과 달리 바람직한 것이었다.

 

인상주의란 말이 처음 생긴 것은 모네의 인상, 일출이란 그림을 본 루이 루르아에 의해서이다. 물론 루르아는 이 그림을 보고 얼마나 자유로운가, 얼마나 쉽게 그렸는가라는 경멸조의 말을 했다.(166 페이지) 모네는 빛이 일기(日氣) 변화에 따라 사물에 일으키는 변화를 파악하고 그것을 영롱한 색조로 나타낼 줄 알았으며 빛이 사물에 닿아 분산되는 것을 상상하면서 순간적인 현상을 빠른 붓질로 캔버스에 담았다.(15 페이지)

 

모네가 항상 같은 시간에만 그림을 그린 것을 쿠르베가 기이하게 여긴 것은 유명하다. 모네는 대상 하나하나에 대한 사실주의 묘사를 중요하게 여긴 것이 아니라 빛이 시시각각 대상에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관심을 두었다.(97 페이지) 모네는 인내심이 많은 화가였다. 그는 바라는 그림이 그려지지 않으면 같은 시각 같은 장소에서 그리고 또 그렸다.(247 페이지)

 

마네의 불로뉴 해변1868년 작품으로 처음으로 인상주의 화법으로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에서 마네는 사람들을 분명하게 묘사하지 않고 색을 적당히 쓱쓱 문지르는 것으로 처리했다. 이런 화법이 오히려 과학적인데 그것은 시선이 닿는 중심지가 아닌 주변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132 페이지)

 

마네는 많은 예술가들과 어울렸다.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이 시인 보들레르이다. 마네는 보들레르의 시신이 안장(安葬)되는 모습을 장례식이란 제목으로 그렸다. 한편 시인 말라르메는 마네의 미학적 대변인으로 평가된다. 말라르메는 마네의 10년 연하이다. 보들레르는 마네의 11년 연상이다.

 

조르주 바타유는 마네가 그린 스테판 말라르메의 초상을 보고 위대한 두 영혼 사이의 애정을 표현하는 작품이라 극찬했다.(189 페이지) 모네가 그린 템스 강 풍경 시리즈 석 점은 스케치처럼 그린 인상, 일출에 비해 완성도가 높아진 것으로 평가받는다.(153 페이지) 1872년 모네는 작품의 질과 값에서 큰 결실을 맺었다.(157 페이지) 이런 점은 저자의 의도(예술가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게 하려는..)에 부합한다.

 

에밀 졸라의 나나가 출간되기 전 마네가 나나를 그렸다.(215 페이지) 마네는 평생 일곱 개의 화실을 전전했다.(223 페이지) 마네는 벨라스케스를 우상으로 여겼다. 벨라스케스의 라스 메니나스(시녀들)‘는 마네에게 영향을 주었다. 벨라스케스의 라스 메니나스는 프랑스 철학자 푸코가 말과 사물에서 분석한 그림으로 유명하다.

 

마네는 52세까지, 모네는 86세까지 살았다. 마네는 말년을 투병 속에서 보냈다. 마네는 현대 감각을 일깨워주고 떠난 화가로 평가받는다. 마네는 현대적 감각으로 그림의 주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며 우발적인 변화라도 주의 깊게 살펴보라는 보들레르의 권유를 소중하게 받아들인 화가이다.(244 페이지)

 

반면 모네는 앞에서도 언급했듯 인내심이 많은 화가였다. 모네는 모파상과 친하게 지냈다. 같은 주제를 연속적으로 그리는 연작은 오늘날 많은 화가가 그리지만 모네가 건초더미 시리즈를 그릴 때만 해도 과거에 없던 획기적인 방법이었다.(278 페이지) 물론 모네의 가장 유명한 연작은 수련(睡蓮)‘ 연작이다.

 

프랑스 철학자, 과학자, 시인인 가스통 바슐라르가 꿈꿀 권리에서 다룬 모네론()은 유명하다. 모네는 지베르니(Giverny)를 유명하게 했다. 지베르니는 파리에서 약 75km 떨어진 곳으로 모네가 거주하며 작업한 마을이다. 모네는 종일 수련을 그리고 그렸다.

 

당시 모네는 아들 장을 먼저 떠나 보낸 70대의 노인이었다. 하지만 1차 대전 발발로 작업에 대한 도취는 중단되었다.(305 페이지) 이 장면은 1차 대전이 발발하자 마의 산을 내려오는 주인공 한스 카스트로프를 그린 토마스 만의 마의 산을 연상하게 한다.

 

모네는 오랑주리의 타원형 전시실에 맞는 패널화를 그리려 했지만 백내장으로 시력이 나빠져 계획대로 하지 못했다. 오랑주리는 식물원이었다가 미술관이 된 곳이다.(참고로 오르세 미술관은 기차역을 미술관으로 개조한 곳이다.)

 

모네, 하면 가스통 바슐라르의 꿈꿀 권리의 한 구절이 생각난다. “..클로드 모네처럼 물가의 아름다움을 거두어 충분한 저장을 해두고 강가에 피는 꽃들의 짧고 격렬한 역사를 말하기 위해서는 아침 일찍 일어나 서둘러 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마네도 거장이었지만 모네를 보며 거장이란 말을 더 떠올리는 것은 작품 때문이기도 하지만 긴 구십에 가까운 나이까지 그림을 그리다가 간 삶 때문이다. ’마네와 모네의 특징은 전기(傳記) 위주의 평이한 글이 인상적이라는 점이다. 같은 저자의 칸딘스키와 클레’, ‘고흐와 고갱’, ‘뭉크, 쉴레, 클림트’,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등을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당으로 본 한국 고대사의 쟁점들
유창종 지음 / 경인문화사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 종로구 창의문로(彰義門路) 11가길 4(부암동 302-5)에 유금(柳琴) 와당박물관이 있다. ‘와당(瓦當)으로 본 한국 고대사의 쟁점들’이란 책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이다. 저자인 유창종 선생은 검사 출신 재야 사학자다. 저자는 많은 고고학 전공자가 알지 못하는 와당의 학문적 의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주류와 비주류 사학자들 간의 지나친 대립을 해소하기 위해, 주변국과의 역사 분쟁에 획기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책을 썼다고 밝혔다. 저자는 고대사 연구는 형사사건의 수사와 매우 유사하다고 말한다. 몇 개의 자료만을 가지고 추리력을 동원하여 과거에 일어난 사건의 전모를 밝히기에 그렇다는 의미다. 


저자는 30년의 검사 경력을 활용하여 수사하듯 와당의 수집과 연구를 하다가 한국 고대사의 여러 논쟁에 관하여도 나름대로 주관을 가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내가 책을 만난 것은 알라딘의 한 중고 서점에서다. 말 그대로 우연히 만났다. 기후 변화 관점에서 본 고구려 전쟁사와 연천이란 강의를 위해서 자료를 찾다가 발견한 것이다. 때마침 와당은 연천 소재 고구려 3대성 가운데 하나인 호로고루에서 출토된 것이기도 해 더욱 반가웠다. 연천 호로고루 홍보관에는 고구려의 영토 상황판이 마련되어 있다. 중원 고구려비(현재는 충주 고구려비)도 표시되어 있다. 충주의 옛 이름인 예성(蘂城)이란 이름을 넣어 지은 예성문화연구회가 있다. 저자가 1978년 발견한 충주 탑평리 출토 연화문 와당을 보고 만든 모임이다. 와당은 기와 지붕을 마감하는 건축재다. 


와당은 왕권 및 국력 과시를 위한 건축물에 쓰였다. 처음에는 왕궁이나 왕이 출입하는 사찰, 왕릉에만 와당을 만들어 치장하다가 시간이 지나며 왕권의 대행자나 지방 관서, 왕의 친인척이나 귀족의 기와집에도 사용했다. 와당은 제작 시기의 문화를 해독해야 하는 암호이자 문화적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다. 와당은 거의 전부 출토지가 제작지이고 사용지이다. 장소적 고정성(지붕 장식용) 때문이다. 와당은 중국 서주(西周; 기원전 1046년-기원전 771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서주 이후 건융족의 침입으로 동주 시대가 시작되었다. 중국은 중원의 화하족이 아닌 동서남북 주변의 다른 민족을 동이, 서융, 남만, 북적으로 불렀다. 


동이족은 예맥(濊貊)계, 숙신(肅愼)계. 동호(東胡)계로 나뉜다. 예맥계는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를 건국하였다. 숙신계는 흑룡강과 백두산 사이에 살던 동이족으로서 말갈, 읍루, 여진, 만주족이라 불렸으며 금나라, 청나라를 세웠다. 동호계는 말을 잘 타는 기마민족으로 선비족과 거란족, 몽골족 등으로 불렸고 북위와 요, 원 등을 건국하였다. 이 네 오랑캐 외에 북방의 흉노족이 자주 화하족을 괴롭히고 심지어 조공을 받기도 했다. 와당이 사용되는 기와집은 이동이 많은 유목민족보다 정착생활을 하는 민족에게 더 적합할 수밖에 없다. 동이족은 방위에 따라 동서남북의 4이(四夷)로 분류되고 종족에 따라서 9이(九夷) 즉 구려(九麗)로 구분되며 구려가 모여 고조선을 건국했다는 설명도 있다. 


한국은 단일민족이기보다 요서, 요동, 만주, 한반도의 동이족 예맥계가 중심이 되어 다른 동이족, 그리고 흉노족의 여러 계파와의 이합집산으로 만들어진 민족이라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한족(漢族) 역시 유구한 세월 동안 이민족과의 끊임없는 이합집산이 이루어지면서 혈연적 교류가 있었기에 순수한 하나의 민족으로 존재한 것이 아니다. 역사상 중국은 여러 차례 그리고 장기간 이민족의 지배를 받았다. 이로 인해 그들 문화 속에는 이민족의 문화 흔적이 속속히 박혀 있을 수밖에 없다. 황하문명은 한족들이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형성, 발전시켜온 문명으로 인도,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와 함께 4대 문명을 이룬다. 


그런데 근래 들어 황하에서 동북쪽 방향으로 멀리 떨어진 요하(遼河)와 대능하(大凌河) 주변에 황하문명 못지 않게 일찍 개화한 문명이 존재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요하문명의 주체는 동이족이다. 황하문명과 요하문명의 교류와 융합현상이 확인된 것은 와당을 통해서다. 두 문화가 활발하게 교류한 것은 늦어도 서주(西周) 시대부터다. 요하문명의 문화주체인 동이족들은 고대부터 요하 지역에 많은 국가를 건립하고 독자적인 정치, 경제, 문화 생활을 영위해왔다. 고대에는 지금과 같은 명확한 국경 개념도 없었고 민족 개념도 확연하지 않았기 때문에 요하 문명의 각 문화 유적이 어느 하나의 민족에 의해 형성되고 발전되었다고 단정하기는 곤란하다. 


고구려 최초의 연하문 와당인 국내성 왕릉 출토의 회흑색 연뢰형 연화문와당들도 당시 중국 대륙에 유행하던 구름문와당의 와당면을 구획하는 구도와 연화문 와당을 결합하여 수용하면서도 그대로 모방하지 않고 고구려의 특색이 있는 새로운 연화 문양을 창안해서 사용하였다. 427년 평양 천도(遷都)를 전후해 와당과 기와의 색상이 환원염(還元炎)으로 구운 흑회색에서 산화염(酸化炎)으로 구운 적갈색으로 바뀌면서 호쾌하고 생동감 있는 기상을 더 드러내게 되었다. 산화염으로 구웠다는 의미는 가마 안에 산소가 충분한 상태로 구웠다는 의미다. 


고구려는 중국의 어느 한 왕조의 와당 문화를 그대로 모방하여 수용하지 않고 언제나 당시 중국에 존재하던 모든 와당문화를 종합적으로 융합하여 수용하면서 이 외래문화에 자신의 특성을 가미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자세를 보였다. 집안 지역에 수없이 산재하는 고구려의 적성총을 보면 우하량의 유적과 유물을 남긴 문화 주체의 후예는 고구려일 것이라는 느낌을 강하게 받게 된다. 중원의 한족들은 기본적으로 토광묘제를 답습하여 왔다. 같은 동이족 중에서 기마 민족의 성격이 남달리 강했던 동호계의 종족들은 빈번한 이동 생활 때문에 생존의 주거 건축물이라도 비교적 열악하고 사후의 묘제도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요하문명은 동이족 예맥계가 주도적인 문화주체였고 고조선의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요하 주변의 유적, 출토 유물과 가장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도, 요하 주변 문화의 수준에 걸맞은 문명과 문화를 계속 창조하고 향유해온 것도 동이족 예맥계이다. 그들 또는 그들의 일파가 한국인의 조상으로서 고조선이라는 국가를 건립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요하 문명은 고조선인의 문명이다. 중국에서 명명한 요하문명이라는 명칭보다는 고조선 문명이라고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도 있다. 


저자는 고구려 각저총의 벽화 중 신단수 아래에 보이는 호랑이와 곰, 장천 1호분의 벽화 중 동굴에 혼자 남아 있는 곰 등이 단군신화를 표현한 것이라는 근거로 단군신화가 고구려 때 이미 존재했던 것이라고 한 한 사학자의 견해를 탁견이라 말한다. 중국 사서의 기록들을 종합하면 늦어도 기원전 10세기 경에 고조선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조선은 2000년 가까이 요하문명이 발생한 요서 지역을 중심 강역으로 요동과 한반도까지 통치하는 대국으로 성장하였고 연(燕)의 침공을 받아 강역이 축소된 뒤에도 200년 가까이 요동과 만주, 한반도를 통치하는 문화적 수준이 높은 대국의 위상을 오래도록 견지한 나라였다. 


고조선이 역사적 실재가 아니거나 정통성이 계승되지 않았다면 우리의 역사는 중국의 점령지였던 한군현(한사군) 시대 또는 삼한과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가 존재하던 시대로부터 시작되며 우리 민족의 뿌리조차 불명확해진다. 평양 모란봉의 기자(箕子) 묘를 발굴하였으나 벽돌 조각, 사기 조각 밖에 나오지 않았고 한반도 서북 지방이나 요동 지방에서 은상(殷商)의 유물이 거의 출토된 적이 없다. 고조선의 존재를 인정하는 기록이 기원전 7세기 경의 ‘관자(管子)’에 등장하는데 기원전 11세기에 발생했다는 기자 동래(東來)에 관한 기록이 전혀 등장하지 않다가 기원전 1세기 경에 이르러 한서 지리지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기이한 일이다. 시기적으로 보아서 한무제의 (고)조선정벌과 군현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정책적 고려에서 만들어낸, 사실과 다른 기록일 것으로 보는 견해가 설득력 있다. 


기자조선은 고조선과는 별개로 난하 유역에 존재하였던 고조선의 제후국(거수국; 渠帥國)이며 이 기자 조선을 멸하고 위만조선이 건국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원래 동이족이 세운 은상(殷商)이 망한 뒤에 그 유민들이 모국인 조선으로 건너온 사실을 과장하여 기재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저자는 기자가 고조선의 제후로 책봉되었다는 중국 사서의 기재 내용은 허구라고 확신한다고 말한다. 일본이 임나일본부설을 조작하여 한일합방의 역사적 명분으로 삼으려 한 것처럼 한나라는 기자조선이라는 허구의 역사를 만들어 단군조선 침략과 한군현 설치의 명분으로 삼으려 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우리의 역사를 큰 눈으로 훑어보면 우리 역사가 이민족에 의하여 완전히 단절된 기간은 실제로는 몇십년에 지나지 않는다. 고조선이 멸망하여 한군현이 설치되었으나 낙랑군을 제외하고는 단기간에 소멸하였고 낙랑군이 실질적으로 관장한 지역은 고조선의 광활한 강역(疆域)에 비하면 그리 넓지 않았다. 고조선이 멸망한 후에 우리 민족은 바로 고조선의 북쪽 고토에서는 부여, 고구려 등이, 남쪽에서는 신라, 백제 등이 고조선의 역사를 계승하였다. 35년간의 일제 식민치하에서도 우리 만족은 상해임시정부를 설립하여 역사의 정통성을 계승하려고 노력했다. 고구려 말로 구토의 회복을 다물(多勿)이라 한다. 구토는 고조선 땅을 의미한다. 다물은 고구려의 건국 이념 중 하나다. 


한군현을 멸하고 고조선의 고토를 회복해낸 임금이 미천왕이다. 저자는 고구려가 중원 진출이 여의치 않자 남진 정책을 실천하기 위하여 평양 천도를 했다는 견해는 고구려의 국가적 염원을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고 말한다. 저자는 진시황(秦始皇)과 아들 진이세(秦二世)가 진황도까지 순행(巡行)한 것은 통일위업을 과시하고 불로장생의 선약(仙藥)을 얻기 위한 것이지만 하필 진황도를 마지막 목표 지점으로 삼은 것은 그곳이 바로 진이 통일한 영역의 동쪽 끝부분이자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의 고토이거나 그 인근이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말한다. 고조선이 별 볼 일 없는 소국이었다면 황제가 직접 순행까지 하며 공략을 구상, 지휘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라는 의미다. 


중원을 통일한 진(秦)이나 한(漢)이 문화적, 정치적으로 패권을 다투던 고조선의 옛 수도 왕검성 인근에 다녀가는 것은 야심이 넘치는 두 황제에게 매우 의미심장한 거동이었을 것이다. 고조선의 수도였으며 영토의 동쪽 끝, 그리고 그들이 구경하지 못한 호쾌한 바다의 풍광을 감상하면서 조선의 불로장생의 묘약을 찾는 한편 더 넓은 천하통일을 구상하였을 것이다. 저자는 평양이 중국 지역이라는 주장을 전제로 고구려가 427년 천도하여 240년 또는 160년간 수도로 사용한 것이라면 요서나 요양에서 당연히 수도에 걸맞은 왕궁 유적과 그곳에 사용된 적지 않은 분량의 와당이 출토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다만 최근 요양 인근에서 벽화고분이 다수 발견되었는데 중국 학자들은 중국계 유적으로 보나 한국 학자들은 고구려의 고분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으므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평양의 안학궁(安鶴宮) 유적지에서 나온 적지 않은 연화문 수막새와 암막새는 고구려 초기에 제작된 것이 아니라 고려 초기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한다. 와당문화는 중국에서 출현, 발전하여 한국에 전파되었으나 고구려에 이르러 와당문화는 고구려적 특성을 지니며 창의적으로 발전하여 몇 차례에 걸쳐 중국에 역수출된 것으로 본다. 고구려가 중원 진출이 여의치 않자 남진 정책을 실천하기 위하여 평양 천도를 했다는 견해는 고구려의 국가적 염원을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는 말이 인상적이다. 그렇다면 고구려가 평양 천도를 단행한 배경은 어디에 있을까? 


주류 사학계는 고구려가 졸본에서 건국하여 유리왕 때인 서기 3년에 국내성으로 천도하였고 장수왕 때인 427년에 대동강 유역의 평양으로 천도하였다는 것이 통설이다. 427년 천도하였다는 지역에 관하여 비주류 사학자들 사이에서는 의견이 갈린다. 중국 북경 북쪽의 조선하 유역에 있던 현재의 요서 평주 지역이라는 주장, 하북성 진황도시 노룡현 일대라는 주장, 현재의 요령성 요양현이라는 주장 등이다. 이런 요서나 요양에서 대동강 평양으로 재천도한 시기에 관하여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 - 고구려인들의 삶의 원형을 찾아서
    김용만 지음 / 바다출판사 / 1999년 11월
    평점 :
    품절


    연천에는 고구려 관방(關防) 유적이 몇 개 있다. 그 중 하나인 호로고루 전시관 앞에 실물 크기의 모형 광개토왕릉비가 서 있다. 2002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북한 만경대창작단이 만들어 전시(북녘에서 온 고구려 특별전)한 것을 연천에 기증한 것이다. 이 비가 없었다면 호로고루를 해설할 때 장수왕을 이야기하는 데 그쳤을지도 모른다. 호로고루는 장수왕의 평양 천도(427)와 백제 공격(475) 이후 만든 강안평지성(江岸坪地城)이다. 고구려 박물관이 생긴다면 좋겠다. 김용만 씨의 책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를 읽는다. 나온 지 26년 된 책이다.

     

    가지고 있는 책은 2004년에 나온 책이다. 저자의 이전 작인 조선이 가지 않은 길’, ‘숲에서 만난 한국사에 이어 읽는 세 번째 책이다. 고구려에 대한 지식이 일부 담긴 숲에서 만난 한국사를 참고할 만하다. 고구려는 수레로 유명했던 국가이자 건축 선진국이었다. 고구려는 정착형 기마문명국이다.(14 페이지) 농경민의 장점과 유목민들의 기마문명의 장점도 동시에 가진 나라였다는 의미다.

     

    광개토왕은 즉위 초 거란을 정벌하여 소, , 말 등을 노획했다. 479년 장수왕(412-491년 재위)은 좋은 말의 산지(産地)이자 유목국가인 지두우(地豆于)를 유목제국인 유연(柔然)과 함께 분할하고자 했다. 439년 고구려는 해로(海路)를 통해 송나라에 800필의 말을 보내주었다. 북위와 적대적인 고구려가 송나라(劉宋; 420-479)가 북위를 공격하려고 하자 이를 돕기 위해 말을 보낸 것이다.(‘숲에서 만난 한국사’ 135 페이지) 말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고구려는 건국 초기 중국을 수시로 침략했다.(15 페이지) 고구려는 자국의 이익을 위해 노략질도 했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 국가였다.(42, 43 페이지) 고구려는 농경민의 장점과 유목민들의 기마문명의 장점도 가진 나라였다는 말에서 알 수 있듯 고구려의 기간산업은 농업이다.(17 페이지) 흥미로운 점은 고구려의 두 번째 도읍지인 국내성에 현재 남아 있는 무덤만 12,000기가 넘는다는 사실이다.(50 페이지) 무덤 만드는 것은 국내성 지역의 중요 산업이었을 것이다.(51 페이지)

     

    저자는 평양으로 도읍지를 옮긴 이유 가운데 하나가 국내성에 무덤이 너무 많아 경작지가 좁아졌기 때문일 것이라 말한다.(48 페이지) 유성운은 장수왕이 드넓은 만주를 놔두고 남쪽으로 향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기후(한랭기 도래) 때문이라고 말한다. 5세기는 한랭화가 절정에 달한 시기다. 고구려로서는 강력한 북위(北魏)가 있는 중원(中原) 진출도 어려웠다.(‘한국사는 없다’ 103 페이지)

     

    오카모토 다카시 교수에 의하면 원래 식물들이 풍부한 곳은 환경이 약간 나빠져도 그 영향이 작지만 식물이 풍부하지 못한 곳은 환경이 나빠지면 그곳에서 살던 동물들은 생존의 위기에 빠진다. 따뜻한 곳이 추워지는 것보다 추운 곳이 더 추워지는 것이 더 심각하다. , , 오로 나뉘었던 중국이 진나라에 의해 통일된 것은 280년이다. 얼마 지나지 않은 316년 남하하는 유목민족에 밀려 수도 장안이 함락되었다.

     

    이후 중원은 흉노, , , 선비, 갈 등 유목 민족들의 무대가 되었다. 이 시기를 516국 시대(304-439)라 한다. 다섯 오랑캐 나라가 16개의 왕조를 세웠다는 의미다. 대만의 기상, 역사학자 류자오민은 그 시기 연평균 기온이 현재보다 섭씨 1도 정도 낮았을 것이라 추정했다. 이 때는 중국 역사상 추위로 인한 재난이 가장 심각했던 시기다.(‘한국사는 없다’ 101 페이지)

     

    기후 1도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 장기간의 평균 상태를 의미하는 기후에서의 1도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기상에서의 1도와 차원이 다르다. 예를 들어 보자. 영상 30도와 영하 30도를 오르내리는 큰 변화가 있더라도 이를 평균하면 0(3030/ 2)가 된다. 하지만 영상 31도와 영하 29도를 오르내린다면 평균값이 영상 1(31-29/2)가 된다. 또한 1990년대에는 평균 기온이 섭씨 10도로 낮았던 특정 지역에서 섭씨 30도를 넘기는 무더운 날이 연중 7일이었다고 하면, 2020년대에는 같은 지역에서 지구온난화로 평균 기온이 섭씨 11도로 오르면서 섭씨 30도를 넘기는 무더운 날도 연중 15일로 늘어날 수 있다. 지구 평균 기온이 1도 올랐다고 모든 지역이 균일하게 1도가 오르는 것은 아니다. 지역적으로 상당히 큰 기온 차이가 나타나도 전 지구적으로 평균하면 거의 일정할 수 있다.(남성현 지음 ‘2도가 오르기 전에’ 130, 131 페이지)

     

    고분(古墳) 축조는 단순히 노동력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뛰어난 건축술을 가진 기술자, 도로와 수레, 각종 공구, 부장품 등과 관련한 수공업도 발달해야 가능하다. 벽화를 그리려면 최고의 화가도 필요하고 안료(顔料) 생산자와 노동자들에게 식량을 제공해주는 사람도 필요했을 것이다. 잉여 농산물은 물론 각종 고기, 생선 등의 공급이 원활해야 한다.(52 페이지) 안료는 물에 녹는 염료와 달리 물, 기름, 알코올 등에 녹지 않는 색소다.

     

    고구려는 말 외에 수레를 많이 사용했다. 수레는 짐을 대량으로 옮기는 데 유용하며 상업 발달, 도시 발달, 거대 건축물 축성 등 사회 전 분야 발달에 기폭제가 된다.(61, 62 페이지)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물자를 옮기는 데 있어 말이 수레보다 못하고, 수레는 배보다 못하다고 했다. 사람이 물건을 나르는 것을 1이라 하면 말은 2, 수레는 10, 선박은 30에 해당한다.(문경호 지음 바다에서 발굴한 고려사’ 194 페이지)

     

    박지원은 열하일기에서 우리나라는 마을이 험준하여 수레를 쓸 수 없다고 말한다. 대체 이게 무슨 말인가. 나라에서 수레를 사용하지 않으니까 길이 닦이지 않았을뿐이다. 수레가 다니게 되면 길이 저절로 닦일 터, 어찌하여 길거리의 좁음과 산길의 험준함만 걱정한단 말인가.”(2008년 그린비 출간 세계 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 242 페이지)라고 말했다.

     

    고려는 원()으로부터, 조선은 명()으로부터 말과 소를 빼앗겨 수레 대신 가마가 지배층의 운송수단이 되었다. 조선은 농업만을 중시했다. 상업이 발달했다면 운송수단으로서 수레가 발전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적의 침공로가 될 수 있다는 이유로 도로를 만드는 것에도 반대했다. 정조대왕이 화성행차를 할 때마다 한강에 배로 임시다리를 만들었을뿐 상설 다리를 만들 생각을 하지 않았다. 조선은 수레가 아닌 지게를 지고 물건을 나르는 상업과 교통 후진국이었다. 가난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많은 군대를 유지할 수 없었고 전쟁수행능력도 미약했다. 외적의 침입에 무력했다.

     

    고구려는 조선과 근본적으로 달랐다. 5세기 중반 고구려 생활상을 보여주는 무용총(舞踊塚)에는 매우 커다란 수레바퀴를 단 수레가 그려져 있다. 고구려에서는 수레가 귀족의 사치품이 아니라 일반 생활용품이었다. 전차는 평지에서 싸울 때 유리하지만 고구려는 산성이 많아 전차가 싸움에서 큰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고구려를 공격해온 중국의 군대들도 전차를 많이 활용하지 못했다. 고구려 말기의 수도였던 평양 장안성(長安城)은 내성, 중성, 외성, 북성으로 구획되어 산성과 평지성의 장점을 합쳐 만든 고구려 최대의 성이다.

     

    552년부터 짓기 시작해 586년 천도한 이후에도 593년 북성을 완성할 때까지 42년간 쌓은 장안성은 고구려 사회상황과 필요성을 충분히 감안해서 만들었다. 평원왕의 딸 평강공주가 온달을 만나 살림을 차리면서 자신이 가져온 금팔찌를 시장에 내다 팔고 밭, 주택, 노비, 소와 말, 각종 기물 등을 구입했다. 평강공주가 온달에게 부탁한 것은 시장인의 말은 사지 말고 꼭 나라에서 내다 파는 말을 사오라는 것이었다. 시장 거리가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의 철 산지는 요동과 두만강 유역이었다. 고구려는 대흥안령 동쪽 눈강 유역에 자리한 실위(室韋)에 철과 금을 수출했다. 철은 매우 무거운 만큼 운송수단이 발달하지 않고서는 결코 수출할 수 없는 물건이다. 튼튼한 수레가 있어야 가능한 일이었다. 고구려가 고려와 조선에 비해 강성했던 이유들 중 하나는 수레의 활용을 통한 기동성과, 상업 발달로 인한 부의 축적이었다. 부의 축적이 있었기에 많은 군대를 거느릴 수 있었고 장기간 전쟁을 수행할 수 있었다.

     

    고구려 최고의 스타는 추모(鄒牟)왕이었다. 주몽(朱蒙)은 활을 잘 쏘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고구려는 서해와 동해를 내해(內海)로 가지고 있던 해상제국이었다. 고구려 초기 수도를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옮긴 이유 중 하나는 압록강을 이용한 수상교통의 이점을 얻기 위해서였다. 고구려의 해상활동 발전을 가져온 한 계기는 광개토대왕의 남진이었다.(92 페이지) 충주고구려비(忠州高句麗碑)는 발견된 곳의 당시 행정 구역이 중원군(中原郡)이어서 중원고구려비라고 명명하였으나 중원군이 충주시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지금은 충주고구려비라고 한다.

     

    광개토대왕릉비에 기록된 영락 6(396)조에 의하면 고구려는 관미성을 공격해 백제 아신왕에게 항복을 받는다. 한강을 따라 진격한 수군의 공격이 중심이 된 것으로 보인다. 관미성은 백제 수도 한성을 지키는 최고의 요새였다. 한반도 동남해안까지 장악한 고구려의 해군력은 백제와 신라의 사신이 중국과 교류하는 것을 서해에서 통제하기에 이른다. 5세기 장수왕 시기와 말기인 7세기 고구려 해군력은 최고 절정기에 이른다. 5세기 고구려는 고구려 중심의 천하를 장악하며 평화를 누렸다.

     

    6세기에 북쪽 물길(후에 말갈이 됨)의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백제가 다시 강국이 되었다. 백제는 신라와 동맹을 맺고 550년대 고구려가 돌궐의 침입을 막는 사이 남쪽 지역을 빼앗겼다. 당시 고구려의 서북방지역에서는 돌궐이 새롭게 강성해져 고구려의 서북변경을 위협하고 있었다. 고구려는 백제와 신라가 고구려 천하에서 벗어나 중국세력과 연합하여 큰 세력이 되는 것을 몹시 두려워 했다. 그래서 백제와 신라 사신이 서해를 건너는 것을 중간에서 막았다.(96 페이지)

     

    427년 평양으로 천도한 고구려는 475년 백제가 북위(北魏)에 친서를 보내 고구려를 칠 것을 부탁하자 백제를 친다. 이때 백제 개로왕이 전사했다. 남진 정책이 시작된 것이다. 481년 고구려는 신라의 경주 인근까지 공격했다. 493년 백제 동성왕과 신라 왕녀가 결혼하는 혼인 동맹이 맺어졌다. 그 결과 고구려의 추가 남진은 저지되었다. 491년 장수왕이 사망했다. 안원왕이 죽은 뒤 왕위 계승 분쟁으로 고구려의 내정이 어지러워진 틈을 타 551(고구려 양원왕 7, 백제 성왕 29, 신라 진흥왕 12) 백제와 신라는 가야와 왜의 원군을 포함한 나제 동맹군을 결성하여 백제가 고구려에게 빼앗겼던 한강 유역을 수복하는 데 성공한다.

     

    이후 백제가 한강 하류 6개 군을, 신라가 상류 10개 군을 분할 점령하였다. 이는 나제 동맹의 최대 성과라 할 수 있다. 하지만 553년 신라가 백제를 공격하여 한강 유역을 독점하면서 백제와 신라의 동맹은 깨졌다. 백제 성왕이 신라를 공격하던 중 신라군에게 죽임을 당했기 때문이다. 612년 수나라가 백만 대군으로도 고구려에게 패한 가장 큰 원인은 군량조달 문제 때문이었다. 이런 사실을 잘 아는 당나라는 고구려의 배후에서 군량을 보급해줄 신라를 동맹국으로 삼았다. 이 결과 당나라는 겨울철에도 고구려를 공격할 수 있었다.

     

    고구려가 당에 패한 주요 원인은 신라가 당의 동맹국이 된 것, 650년 이후 서해상의 제해권을 당에 빼앗긴 것 등이다. 고구려가 제해권 장악에 힘을 쏟은 것은 바로 중계무역의 이점 때문이었다. 고구려는 송(유송)나라에 말 800필을 수출할 정도의 엄청난 배를 가지고 있었다. 고구려에서 제사와 구휼활동 만큼 중요한 것이 순수(巡狩)였다. 순수란 왕이 제후의 나라들을 돌아가며 방문하여 그 나라 사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통치영역을 직접 확인하고 고구려의 지배를 확고히 하기 위한 행동이었다.

     

    중원(충주) 고구려비에는 장수왕이 친히 충주까지 내려와 신라왕에게 충성을 서약받은 사실이 적혀 있다. 왕들이 자주 해야 하는 일 가운데 사냥도 있었다. 사냥에서 짐승을 잡는 것은 실제로 적을 잡는 것과 큰 차이가 없는 실전과 같은 군사훈련이었다. 왕이 직접 군사를 이끌고 전쟁에 참여한 것은 삼국사기와 광개토대왕릉비에 기록된 것만 해도 28회가 넘는다. 고구려 왕은 최고 권력자이자 군사지휘자였다.

     

    본문에 일본의 역사학자 이노우에 히데오(井上秀雄)가 나온다. 4세기 후반 일본의 야마토 정권이 한반도 남부로 군사를 보내 그곳을 식민지로 삼았다는 임나일본부설을 잘못된 것이라 단정한 학자다. 그는 당시 야마토 정권이 일본열도의 정치세력들을 다 통제하지도 못해 한반도로 군사를 보낼 처지가 아니었고 일본, 천황 등의 명칭도 없을 때였다고 말했다.

     

    재이(災異) 관념은 전한(前漢) 시대 유학을 국가 지도 이념으로 만든 동중서(童仲舒)가 완성한 관념으로 인간이 악한 행위를 하면 자연이 천재지변을 일으켜 재앙을 준다는 사상이다. 천인 합일 사상에 근거하여 나라의 정치가 잘못되면 하늘이 우선 재앙을 내려 인간을 꾸짖고, 그래도 고쳐지지 않으면 괴변을 일으켜 위협하고, 그래도 안 되면 나라를 멸망시킨다는 것이다.

     

    고구려는 일찍이 흉년이 들면 왕을 죽이는 부여의 전통을 극복하고 자연재해에 대해 적극적으로 물질적 도움을 주는 실용적인 관점을 가졌다. 그러나 신라는 후기에 들어 도리어 미신적인 중국의 재이 관념을 받아들여 종교적, 정신적 대책에 중점을 두고 물질적 구원 활동은 부수적으로 취했다. 이러한 정책의 차이는 이노우에 히데오가 지적하였듯이 고구려와 신라의 기본적인 생산 양식이 다르고 사회 구성과 사회 이념이 서로 다른 데서 기인한다.

     

    고구려가 신라보다 훨씬 합리적인 대응책을 세울 수 있었던 것은 왕권이 일찍부터 강력했으며 고구려 사람들이 합리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었고 경제력도 튼튼했기 때문이다. 비록 초기에는 식량이 모자라 양식을 아끼는 풍습을 갖고 있었지만 농경지에 확보와 농업기술의 발달 그리고 국내 외상거래의 발달 등으로 경제력이 크게 신장했기 때문에 정부에서 능히 백성들에게 양식을 공급해 줄 수 있었다.

     

    진대법의 시행도 고구려의 농민들이 안정적인 삶을 누리는 데 일조했다. 흉년을 비롯한 각종 재해는 어느 나라들에나 있었지만 고구려는 이러한 문제에 비교적 잘 대처하였다. 호로고루 유적에서는 건물지와 기와가 발견되어 장기간 군대가 주둔했음을 알 수 있다. 주변의 여러 군사초소들의 보급대 또는 지휘소로 추정된다. 고구려 군사들의 주 무기는 창과 활이었다. 고분벽화에 그려진 무기 비율에 대한 한 조사에 의하면 철제창이 46.85%, 철도끼가 21.68%, 활이 16.78% 등이다.

     

    고구려가 철제 창이 많은 것은 기병이 주력 분야였기 때문이다. 그것은 가야와 신라는 도끼가 주무기고, 백제는 도끼와 갈고리가 주무기인 것과 차이가 난다. 고구려는 강력한 중갑기병을 거느리고 있었다. 중갑기병은 기병 자신은 물론 타고 있는 말까지도 전부 철제 갑옷으로 무장했다. 가슴에 대는 갑옷 이외에도 목이나 팔, 말머리 등에도 전부 갑옷을 입혔다. 이렇게 중갑기병이 군의 주력이었던 것은 이들을 중무장시킬 엄청난 철 생산과 수공업자들의 뒷받침이 있어야 했다는 의미다.

     

    투구, 갑옷, , 창 등으로 무장시키려면 1인당 30kg 이상의 철이 필요하다. 고구려 후기의 상시 병력이 약 30만 명으로 추정되니 이중 절반이 이와 같은 무장을 해도 4500톤 이상의 많은 철이 필요했다는 의미다. 갑옷은 전부 단조(鍛造) 작업에 의해 일일이 수공업자들이 철을 두드리고 하나하나 철편을 이어서 만들어야 한다. 갑옷을 입은 병사들, 말을 탄 병사들은 유지비용이 일반 보병에 비해 많이 든다. 따라서 이들은 일반 보병보다는 높은 신분을 가진 사람들로 우선 충당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대사회에서 군대는 생존과 직결된 조직이었기 때문에 인구 대비 병력수가 지금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포로, 물자 약탈, 전쟁 배상금 등 실질적인 이득이 그것이다. 광개토대왕릉비문에는 수묘(守墓)역을 맡은 수묘인에 관한 상세한 기록이 있다. 전체 비문의 1/3 가량을 차지하는 수묘인에 관한 내용은 광개토대왕이 자신의 무덤을 관리하는 수묘인에 대해 커다란 관심을 가졌음을 알려준다.

     

    광개토대왕 무덤에는 무려 30연호(烟戶)의 국연(國烟)300 연호의 간연(看烟)으로 구성된 수 묘인이 있었다. ()이란 단양적성비나 신라 장정 문서 등에 나오는 용례에 따라 국가로부터 토지를 받는 대가로 국가의 의무를 짊어져야 하는 일반 백성이란 뜻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국연이란 국가의 의무를 담당하는 백성이라는 의미이고 간연은 본다, 살핀다는 의미에 국연과 짝을 이루어 기록된 점으로 볼 때 국연을 돕는 사람 쯤으로 해석된다.

     

    중요한 사실은 고구려 사회가 무덤을 중시하는 조상 숭배 사회였다는 점이다. 고구려의 첫 수도인 졸본(오늘날의 환인현 지역)은 산간 분지였기에 밭농사가 주일 수밖에 없었다. 삼국지의 표현대로라면 힘껏 농사를 지어도 식량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곳이었다.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도읍을 옮긴 주요 이유는 교통로의 확보 때문이다. 환인 지역은 서쪽의 강력한 세력들(한 제국, 양맥, 선비)과 너무 가깝고 교통이 불편해 주변으로 뻗어나가기가 곤란했다.

     

    반면 국내성은 압록강을 끼고 있어 동남쪽으로 강계를 거쳐 부전령산 줄기를 넘어 동해안으로 진출하기도 용이했고 압록강 하류의 서해안 지역, 북쪽의 통화 지역을 거쳐 부여 지역으로 진출하기도 용이했다. 강 건너 평안도 내륙지역으로 진출하기도 쉬웠다. 고구려 사람들은 스스로 하늘의 자손이라 여겼다. 고구려는 동천왕 시대에 철갑옷으로 무장한 기병대를 가지고 있었고 서천왕 때에는 숙신을 굴복시켰으며 미천왕 시기에는 요동지역을 확보하는 등 강력한 국가로 성장했다.

     

    소수림왕과 고국양왕의 국력 정비 과정을 거치고 광개토대왕이 등장하면서 고구려는 진정한 대국으로 성장했다. 주변 여건도 고구려 발전의 기회가 되었다. 중국에 516국시대가 열리면서 혼란이 가중되었고 유목세계의 강자인 모용선비가 중국 지역으로 이동하고 부여가 쇠퇴하면서 동방 지역에서 고구려를 견제할 세력이 없었다.

     

    고구려 705년의 역사가 38년에 불과한 수나라의 역사보다 자료가 부족하다. 고구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구려 멸망 500년이 지난 후에 쓴 '삼국사기'와 중국인이 쓴 '삼국지'를 비롯한 여러 단편적인 기록들을 종합해 보아야 한다. 광개토대왕릉비에 쓰여진 글도 대단히 수준이 높다. 이런 비문을 만들 정도의 나라라면 단순한 문자 사용 정도가 아니라 학문 수준도 대단히 높았음이 분명하다.

     

    을지문덕이 적장에게 보낸 시는 고구려 귀족들의 문학적 소양이 대단했음을 보여주며 미천한 사람들까지도 경당(扃堂)에서 글 공부를 할 만큼 일반 백성들의 문자 생활도 상당했다. 기록으로 드러난 것 외에도 고분벽화에는 다양한 문자 생활의 모습이 보인다. 안악 3호분에는 묘 주인공 오른쪽 옆에 있는 시종이 두 손에 문서를 들고 서서 보고하고, 왼쪽 시종은 붓을 들고 서서 묘 주인공의 말을 기록하려고 준비하는 그림이 있다.

     

    덕흥리 고분의 무덤 앞방 남벽에는 유주(幽州)의 사마, 참군, 전군록사 등의 벼슬아치들이 자리를 옮겼으니 이를 기록한다는 인사 내용이 적혀 있다. 각종 기와, 비문, 성 벽돌, 불상, 무덤 내부 등의 파편처럼 보이는 글들은 고구려 사람들이 엄청난 양의 기록을 남겼음을 추측하게 만든다.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문자가 널리 활용되었기 때문에 중국인들은 고구려가 학문이 매우 발달한 문화 국가였다고 기록했다.

     

    고구려 역사서는 유기(留記) 100, 신집(新集) 5권으로 삼국사기에 언급되어 있다. 현재 전하지는 않는다. 고구려 사람들이 남긴 기록들은 광개토대왕릉비, 중원 고구려비, 그리고 몇몇 묘지명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고구려 관련 책들을 더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자료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충분히 고민하고 쓴 책이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다 어디로 갔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상학과 서사 공간 - 성서의 이야기 공간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기독교 인문 시리즈 8
    안용성 지음 / 새물결플러스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상학과 서사공간’은 강남구 개포로의 그루터기 교회 안용성 목사님의 책이다. 제목이 말하는 공간은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인간적 또는 사회적 관계를 통해 구성 또는 생산되는 공간이다. 저자는 지도 교수인 매리 앤 톨버트 교수에게 감사함을 전한다. 제목에도 나오는 현상학은 일상에서 발견되는 공간의 경험적, 관계적 성격을 철학적 사유의 주제로 삼아 새로운 공간 개념을 제시하는 학문이다. 저자는 현상학의 관점을 빌어 서사 공간을 해석하는 시도를 “모험”이라 말한다. 책의 목표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서사(敍事) 이해다. 저자는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 르페브르의 공간의 생산 등 난해한 책들을 원서까지 비교하는 수고를 거쳤고 일반 책들에 비해 수십 배의 시간을 들여 여러 차례 정독했다. 


    저자는 지리학의 공간 이론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상학의 배경 지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다고 말한다. 저자는 국내에 바슐라르, 노베르그-슐츠, 투안, 렐프, 르페브르 같은 학자들을 소개하는 글들이 현상학에 관한 충분한 이해를 종종 갖추고 있지 못해 현상학적인 내용들을 가리거나 잘못 소개한다는 사실을 알았다고 말한다. 현상학에서 중시하는 생활세계란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눈앞에 주어져 있어서 직관적으로 경험되는 세계를 말한다. 이는 객관적인 사유의 이면에 숨어 있는 근원적이면서 아직 이성적 언어로 서술되지 않은 삶의 영역을 의미한다. 저자는 후설의 모든 것을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하이데거와 메를로 퐁티의 공간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초보적 정보를 제공한다고 말한다. 


    후설은 세계 자체를 설명하기 전에 의식을 해명한 후 세계가 의식에 어떻게 주어지는지를 탐구했다. 의식을 다루는 것이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이고, 세계를 다루는 것이 생활세계 현상학이다. 이 둘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외적 대상들에 대한 체험은 충전적(온전히 주어짐, 전면적으로 파악됨)이지도 않고 필증적(의심의 여지 없음)이지도 않다. 후설은 일부만이 지각되는 것을 가리켜 대상이 음영(陰影)을 통해 주어진다고 말한다. 후설은 어떤 대상이 우리 이성의 반성 작업에 의해 가공되기 이전의 상태 즉 충전적이고 필증적인 상태에서 그 대상을 우리에게 원본적으로 부여하는 직관이 참된 인식의 궁극적 권리 원천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후설에 의하면 의식 자체로 돌아가는 과정을 안내하는 절차가 환원이다. 환원을 방해하는 선입견이 가동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 판단중지다. 현상학에 의하면 인간의 의식은 백지가 아니며 그렇게 될 수도 없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사전에 어떤 대상에 대해 갖는 태도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대상에 적합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다. 판단중지는 파괴가 아니라 유보(留保)다. 후설이 정한 판단중지의 일차적 대상은 그 시대 개별과학들을 지배하고 있었던 자연주의 또는 과학주의적 태도였다. 그것은 세계의 실재성에 대한 소박한 믿음이다. 직관은 추리나 반성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단계적 사고의 과정을 통한 파악이 아니라 대상을 단번에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직관은 개별적 직관과 본질 직관으로 나뉜다. 개별적 대상에 대한 경험이 개별적 직관이고, 보편자로서의 본질에 대한 경험이 본질 직관이다. 판단중지와 환원, 본질직관이라는 현상학적 절차를 통해 해명되는 의식의 본질 구조는 지향성이다. 대상이 없는 의식은 없으며 의식 작용이 없는 대상도 없다.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대상은 인식된 대상이다. 우리의 지각은 사물 자체를 향해 있는 것이지 우리와 대상 사이에 놓여 있는 표상을 매개로 하여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 아니다. 구성이란 노에시스(파악작용)가 질료에 혼을 불어넣어(의미를 부여하여) 노에마(파악된 대상)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현상학이 말하는 현상이란 노에시스를 가리킬 수도 있고 노에마를 가리킬 수도 있다. 


    현상학에서 말하는 초월과 내재는 신학에서 말하는 초월과 내재와 완전히 다르다. 기독교 신학에서 내재란 인간의 한계 내에 있는 것이다. 초월이란 인간의 한계를 넘어 신의 차원에 들어서는 것이다. 현상학에서 내재는 우리의 의식 안에 존재하는 것이고, 초월은 순수 의식이 자신을 넘어서서 대상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순수의식이 지향작용을 통해 노에시스로부터 노에마로 넘어서는 것이 초월이다. 현상학은 이 의식의 초월론적 기능을 해명하는 학문이다. 초월, 직관, 구성 등 후설 현상학의 중심 용어들은 칸트로부터 연원했다. 현상학이라는 용어도 칸트가 먼저 사용했다. 


    칸트에게서 무형의 감각재료들을 하나의 통일된 대상으로 구성해내는 것이 시간과 공간과 같은 감성의 형식들, 그리고 12가지 범주와 같은 오성(悟性)의 형식들이다. 후설은 칸트와 달리 우리의 인식 대상은 처음부터 하나의 통일된 대상으로 주어진다고 말한다. 여기서 우리의 의식작용은 감각 작용에 의해 주어진 무형의 질료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하나의 통일체로 구성해내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하나의 통일체로 주어지는 대상을 직관하는 것이다. 칸트는 우리가 어떤 대상을 마주 대할 때 감각을 통해 주어지는 것은 물(物) 자체(自體)가 아니라 무형의 질료(質料)들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칸트의 구성(構成)은 감성에 주어진 것들을 오성의 선험적 사유 형식인 범주를 통해 구성하는 것인데 비해 후설에게서는 인식의 형식뿐 아니라 내용까지도 선험적이다. 


    후설의 구성은 대상성에 의미를 부여하여 명료하게 밝히는 것 또는 대상을 표상하게 만드는 작용일 뿐이다. 칸트의 직관이 감성적 대상에 대한 감성적 직관이라면, 후설의 직관은 범주적 대상에 대한 범주적 직관이다. 후설에게서 구성이란 실제 주어진 것보다 더 많이 사념(思念)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이란 지각의 지향성이 과거에 이미 주어진 의미와 현재 주어진 의미를 종합하면서 더 높은 단계의 새로운 의미를 지향하며 대상을 파악하는 작용이다. 후설은 의식을 먼저 해명한 후 이 의식에 어떻게 세계가 주어지는가, 하는 관점에서 세계에 접근했다. 즉 그는 세계가 하나의 지향적 대상으로 초월론적 주관성에 주어지고 양자가 서로 연관을 맺는 방식에 주목했다. 


    발생적 현상학은 정적(靜的) 현상학과 대별되는 개념이다. 정적 현상학은 의식의 형식적이고 보편적인 구조만을 고려하고 시간성과 역사성을 배제했다. 발생적 현상학에 의하면 우리의 의식이란 체험의 흐름으로서 그 흐름 속에 있는 다양한 체험들은 시간 의식에 의해 하나로 종합되고 통일된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대상 지식은 최초의 앎의 시점이 있고 이로부터 지속적으로 내 안에 침전되어 나의 지속적인 획득물이 된다. 후설은 에피스테메에 밀려 천시되고 억견(臆見)으로 간주되던 독사(doxa)를 근원적인 영역이자 철학의 우선적 대상으로 격상시켰다. 지평이란 어느 지점에서 시야에 들어오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가시권을 의미한다. 


    인식론적으로 지평이란 한 대상이 주체에게 드러날 수 있는 가능한 의미의 한계다. 우리의 의식이 대상을 지향하고 있을 때 우리는 그 대상만을 의식하는 것이 아니라 암묵적으로 그 대상의 가능한 의미의 지평을 이해하고 있다. 꽃을 예로 들면 색(色)만이 아니라 모양, 질감, 향(香) 등 여러 지평이 있고 이것들을 포괄하는 한 차원 높은 의미 연관의 총체 즉 보편적 지평이 존재한다. 후설은 이를 생활세계라 규정했다. 외부 세계를 지각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신체는 대상을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 움직인다. 후설에 의하면 목표를 인식하기 위한 감각기관들의 활동, 지각 대상을 가능한 한 전면적으로 주어질 수 있게 하는 운동들이 키네스테제다. 


    후설에 의하면 감각은 지각되지 않고 체험된다. 후설은 우리가 어떤 태도로 세계를 바라보느냐에 따라 세계가 우리에게 전혀 다르게 경험될 수 있음을 잘 알려준다. 우리가 세계를 인식하는 일은 인간 존재를 인식하는 일과 분리될 수 없다. 하이데거는 후설의 현상학을 이어받아 한편으로는 후설 초기의 정적(靜的) 현상학을 비판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해석학적 현상학으로 발전시켰다. 하이데거는 인간이 세계 안에 존재한다는 것은 곧 거주하는 것이고 세계와 친숙한 관계 속에 존재하는 것이며 세계 곁에 있는 것이라 말한다. 인간 실존은 공간과 분리될 수 없다. 데카르트가 그리는 것처럼 인간이 있고 그 밖에 공간이 있어 인간이 공간을 대면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공간이 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비로소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계는 인간 실존의 일부가 된다. 서사학은 서사(narrative)를 이야기(story)와 담론(discourse)로 나눈다. 이야기는 내용, 담론은 내용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화자(話者)는 narrataor라 한다. 수화자(受話者)는 narratee라 한다. 화자와 수화자의 공간은 등장 인물의 이야기 세계와 다른 층위를 이룬다. 채트먼은 담론과 이야기의 구별에 따라 서사 공간을 담론 공간과 이야기 공간으로 나눈다. 이야기 공간은 등장인물과 사건 그리고 배경으로 구성되는 이야기 속 공간이다. 담론 공간은 화자가 수화자에게 이야기를 서술하는 담론 과정에서 형성되는 이야기 밖 공간이다. 등장인물은 이야기 세계 내에 있는 것들만을 인지할 수 있고 그의 시점 역시 이야기 공간 안에 제한되어 있다. 화자는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묘사를 통해 이야기 공간의 한계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창조자인 화자는 이야기의 어디에든 동사에 존재할 수 있다. 


    언어 서사물에서 영화(映畫)의 카메라 역할을 하는 것은 화자의 위치다. 화자가 어느 위치에서 누구의 시각으로 이야기를 서술하느냐가 담론 공간의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바슐라르의 ‘공간의 시학’은 공간이라는 주제를 본격적으로 철학의 핵심 주제로 끌어올린 책이다. 수학적 공간의 특징이 등방성이라면 체험된 공간의 특징은 비등방성이다. 메를로 퐁티에 따르면 체험된 공간은 정위(定位)된 공간(oriented space)이다. 체험된 공간은 비균질적이다. 순수하게 기하학적으로 보면 왼쪽과 오른쪽은 위와 아래, 앞과 뒤처럼 어느 쪽이 다른 쪽보다 우월하다 할 만한 동기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우리는 두 방향에 서로 다른 가치를 둔다. 우리말이나 영어에서 오른쪽이 바른(right)쪽인 것처럼 독일어에서 오른쪽을 의미하는 recht는 구불거리는 곡선과 다른 똑바름을 의미하고 richtig(참된, 정당한)는 gerecht(공평한, 정의로운)과 통한다.(160 페이지) 


    체험된 공간에는 중심이 있다. 볼노프는 이 체험된 공간의 기점은 두 눈 사이 비근이 위치한 곳이라고 말한다. 내가 좌우로 고개를 돌려 주위를 돌아볼 때 내 시선은 극좌표계의 벡터이고 사물을 바라보는 나 자신이 좌표의 기점이 된다. 이것이 현상학자들의 공간 개념이다. 우리는 공간의 중심에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달팽이가 제 집을 지고 다니듯 공간을 가지고 다니지는 않는다. 우리가 공간 속에서 움직인다고 말하는 것은 공간이 고정되어 있고 우리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옮겨간다는 의미다. 그러나 공간은 그저 나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주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주체와 관련을 맺고 있다. 이렇게 공간은 양면적이다. 나를 중심으로 공간이 형성되지만 나는 동시에 공동체의 중심에 의해 정위된 공간 속에서 움직인다. 중심은 상황에 따라 더 많아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중심들은 복합적인 위계질서를 갖는다. 


    바슐라르는 ‘공간의 시학’에서 기존의 전기적 비평과 정신분석적 비평이 인과성의 원리에 입각해서 시적 이미지를 작가의 과거에 일어난 어떤 일의 결과로 이해하는 것을 거부한다. 우리가 이러한 실증주의적 관점과 다르게 문학 작품에 담긴 시적 이미지들에 감동을 느낀 독서 체험을 되돌아보면 우리는 그것이 작가의 생애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졌음을 알게 된다. 즉 우리는 작가의 생애를 전혀 모르고도 문학 작품에서 감동을 받는다. 우리가 시인이 제공하는 말의 행복, 시인의 생애의 드라마마저 뛰어넘는 그 말의 행복을 체험하기 위해 시인의 괴로움들을 살아 보아야 할 필요는 조금도 없다. 이미지는 과거의 어떤 원인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히려 이미지의 번쩍임에 의해 먼 과거가 메아리들로 울리는 것이며 그 새로움과 악몽 속에서 시적 이미지는 그 자체의 존재와 그 자체의 힘을 가지는 것, 그래서 하나의 직접적인 존재론이라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상상력은 기억의 재현이 아니라 이미지를 산출해내는 능력이다. 회화로 말하자면 그것은 외부 세계의 빛의 반영이 아니라 내적인 빛에 참여하는 것이다. 바슐라르는 이미지와 메타포를 구별한다. 메타포란 표현하기 어려운 인상에 구체적인 형태를 주기 위해 있는 것인데 그 인상은 다른 정신적 존재에 관련된 것이다. 그와 반대로 절대적 상상력의 소산인 이미지는 그의 전 존재를 상상력으로 얻는다. 바슐라르는 메타포는 단지 조작된 이미지, 깊고 참되고 실제적인 뿌리가 없는 조작된 이미지에 불과하며 그것은 한 번 사용되고 버려질 순간적인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바슐라르는 시란 정신의 현상학이 아니라 영혼의 현상학이라 말한다. 일반적으로 몽상이라 하면 흔히 꿈과 혼동되는 정신적 차원을 말한다. 그러나 시적인 몽상, 스스로를 즐길 뿐 아니라 다른 영혼들에게도 시적인 즐거움을 마련해주는 그런 몽상이란 단지 꿈꾸는 것이 아니다. 


    정신은 꿈을 꾸며 휴식할 수 있지만 시적인 몽상 속에서의 영혼은 긴장 없이 휴식한 채로 맑게 깨어 활동한다. 바슐라르는 하이데거를 이렇게 비판한다. “인간은 성급한 형이상학자들이 가르치듯 세계에 내던져지기에 앞서 집이라는 요람에 놓인다. 그리고 우리의 몽상 가운데서 집은 언제나 커다란 요람이다. 삶은 잘 시작된다. 삶은 집의 품속에 포근하게 숨겨지고 보호되어 시작된다.” 인문지리학자들은 장소(place)를 공간(space)과 구별하여 특화한다. 장소란 한 마디로 사람들이 의미를 부여하고 어떤 방식으로든 인간과 관계를 맺는 공간이다. 


    누가(복음)-(사도)행전 서사의 중심은 예루살렘이며 그 가운데서도 성전이 중심점 역할을 한다. 사도행전은 예루살렘에서 자행된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탄압과 박해를 반복해서 보여준다. 다른 복음서들에서 갈릴리는 예수께 우호적인 장소, 예루살렘은 예수께 적대적인 장소로 성격화되었다. 그런데 어떻게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서는 예루살렘이 중심적인 위치에 놓이게 되었을까? 누가복음의 모든 이야기는 예루살렘에서 시작해서 예루살렘으로 끝난다. 물론 누가복음에서도 예루살렘은 예수께 적대적인 장소다. 그러나 누가복음의 예루살렘은 많은 긍정적 측면들을 가지고 있다. 예루살렘은 예수의 십자가 처형이라는 비극적 사건이 일어난 장소이지만 부활과 부활 현현, 그리고 승천이 이루어진 영과의 장소이기도 하다. 


    누가복음에서는 부활하신 예수가 예루살렘에서 제자들을 만난다. 마태복음에서는 부활하신 예수는 갈릴리에서 제자들을 만난다. 사도행전에서도 예루살렘은 유대교의 중심지로서 제자들을 박해하는 장소이지만 그리스도인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한 교회의 발상지이자 중심지이기도 하다. 예루살렘은 지리적 공간을 의미하기도 하고 그곳에 사는 사람들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는 예루살렘이 지리상의 한 객관적 공간이 아니라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과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그 정체성이 결정되는 장소 또는 사회적 공간임을 의미한다.(324 페이지) 누가-행전의 예루실렘은 이미 정립된 중심이 아니라 이제 바야흐로 중심으로 세워져 가는 과정 중의 공간이다. 예수의 공생애 첫 선포는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는 것이고 예수는 종종 하나님 나라가 이미 사람들 가운데 와 있음을 강조하신다. 


    누가복음이 예루살렘 공간의 재전유로 특징지을 수 있다면 사도행전은 그 중심으로부터 로마 제국의 공간을 재전유하며 세계를 다시 건설해가는 과정으로 성격화할 수 있다. 서로 적대적인 두 그룹이 동일한 장소를 동일시의 대상으로 삼을 때 거기에 대립과 갈등이 불가피하다. 그 대립과 갈등은 예루살렘 공간에 대한 예수의 재전유로 나타난다. 가장 두드러진 예는 예수의 성전 개혁이다. 종려주일에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예수는 마치 미리 계획하고 작정하신 듯 곧바로 성전에 들어가 장사하는 사람들을 내쫓으며 성전의 질서를 바로잡으신다. 사도행전 1장 8절을 보자.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다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내 증인이 되리라. 예수 부활의 증인이 된다는 의미다. 나아가 하나님 나라의 증인이 된다는 의미다. 


    땅끝은 어디인가? 1) 스페인이다. 바울이 로마서에서 선교 목표지를 스페인으로 제시했으며 바울이 로마에 가는 이유는 스페인으로 가는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바울은 스페인이 땅끝이라 말하지 않으며 스페인이 최종 목적지라 말하지도 않는다. 2) 로마다. 사도행전의 이야기가 로마에서 끝나기 때문이다. 사도행전은 미완성으로 끝났고 독자들에게 남은 이야기를 완성하도록 요청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로마가 이야기의 끝이라 보기 어렵다. 3) 땅끝은 지리적인 개념이 아니라 인종적 개념이다. 이방인들을 가리키는 은유라는 것이다. 그러나 땅끝이 가지는 지리적 함의를 무시하기 어렵다. 우리는 바울이 가는 곳마다 유대인들과 이방인들 모두를 대상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땅끝을 은유로 해석하는 입장을 따를 수 없다. 4) 땅끝이란 지구상의 어느 한 지점이 아니라 복음이 전 세계의 모든 곳으로 확장될 것을 보여주는 표현이며 이것은 지리적이고 인종적인 범주를 포괄한다. 


    이것이 가장 설득력 있다. 이 입장은 현상학적 입장으로 뒷받침된다. 현상학적 공간에서 세계는 중심에 있는 세계축으로부터 경계선까지 이어진다. 땅끝이란 지도상의 어느 한 지점이 아니라 경계선을 가리킨다. 고대인들은 전 세계가 하나의 땅 덩어리로 되어 있고 그 세계 밖에는 바다가 있으며 바다 밖에는 낭떠러지가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세계관에서 땅끝이란 땅과 바다가 만나는 경계선 즉 땅의 경계들이다. 이러한 구도에 비추어 볼 때 땅끝까지 증인이 되라는 말은 곧 온 땅에 그리고 모든 민족에게 증인이 되라는 말이다. 땅끝으로 가는 것이 단지 중심으로부터 경계들을 향해 이동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중심 자체가 이동하는 것이다. 그래서 다수의 중심을 세우는 것이다. 


    누가 - 행전은 중심을 다시 세우고 공간을 재전유하는 일뿐 아니라 이러한 중심 이동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예수는 예루살렘을 재전유하여 중심으로 세우지만 예루살렘은 결코 절대적이거나 고정된 중심이 아니다. 이 문제가 정면으로 부각된 사건이 스데반의 순교다. 스데반은 보수적인 유대주의자들에 의해 고발을 당하는데 그 죄목은 그가 율법과 성전을 모독했다는 것이다. 스데반은 이동하는 중심을 성전의 본질로 제시하면서 예루살렘에 본거지를 두고 자신들을 중심으로 절대화하려 하는 유대교 권력의 근거를 해체한다. 사도행전에서는 예수를 대신해 성령이 일한다. 사도행전의 중심은 예루살렘이지만 그 중심은 한곳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제자들이 가는 곳마다 새로운 중심이 세워진다. 


    사도 바울이 전도 여행 과정에서 머무른 도시들을 하나씩 세밀히 연구해 볼 수 있고 사도 바울이 개개의 도시들에 대해 가지는 장소감을 비교해 볼 수 있다. 각 도시들이 이야기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저울질해 볼 수도 있다. 이동하는 중심은 유목민의 생활 패턴에 가깝다. 유목민들에게 장소보다 영역이 더 중요하다. 길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을 호돌로지라 한다. 사도행전의 마지막 장면도 로마를 배경으로 묘사된다. 이 로마 제국의 영역은 누가복음에서는 주로 배경에 머물다가 사도행전에서는 점점 더 전경으로 부각되어 나타난다. 이 점에 주목하며 그 과정을 분석해볼 수 있다. 그 영역이 하나님 나라로 변해가는 과정을 살펴볼 수도 있다. 


    의도하지 않은 길의 배후에는 사도행전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인 성령의 이끄심이 있다. 성령행전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사도행전은 모든 중요한 사건의 길목마다 성령이 등장하여 친히 그 사건들을 주도한다. 흩어진 사람들의 이야기가 그 주제를 잘 드러내준다. 장소보다 통로와 방향이 중요한 부분이 있다. 사도행전 8장에서 시작되는 첫 번째 이야기에서 사마리아에서 활동하던 빌립에게 주의 천사가 나타나 “일어나서 남쪽으로 나아가서 예루살렘에서 가사로 내려가는 길로 가거라. 그 길은 광야 길이다.”라고 말한다. 


    장소는 정해지지 않은 채 방향만이 주어진다. 그리고 그 통로의 목표점은 특정 장소가 아니라 또 다른 통로다. 책은 이렇게 끝난다. 현상학적 방법론의 매력을 느끼기에 충분한 책이 아닐 수 없다. 호돌로지라는 말을 안 것이 다행이다. 도시 골목이 단순한 보행 경로가 아니라 정동적·서사적 공간으로 기능할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호돌로지 이론과 체화된 서사 개념을 적용하여, 보행자의 이동 경로와 감각적 경험이 공간적 의미를 형성하는 방식을 분석한 글이 있다. 읽을 글이 많아졌다. 토폴로지와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극지과학자가 들려주는 눈덩어리 지구 이야기 - 적도까지 얼음으로 덮인 적이 있다고? 그림으로 보는 극지과학 10
      유규철.이용일 지음 / 지식노마드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레이크 해협은 Drake Passage라 한다. 대서양과 태평양을 가르는 해협이고 남미대륙과 남극대륙 사이의 바닷길이다. 지브롤터 해협은 Strait of Gibraltar라 한다. 대서양과 지중해를 가르는 해협이다. homo sapiens는 20만년전 등장한 인류이고 homo sapiens sapiens는 5만년전에 등장한 현생인류다. 해협 이야기를 하다가 호모 이야기를 하는 것은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천신만고 끝에 남극에 갔다 해도 전혀 쓸모 없는 땅이라는 사실에 절망했을 것이란 말을 하기 위해서다. 


      빙하기란 용어는 19세기 식물학자 카를 쉼퍼가 처음 제안했다. 일반적으로 과거 260만년전인 플라이스토세부터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시기를 빙하기라 하고 상대적으로 높았던 시기를 간빙기라 한다.(1만 2천년전부터 현재까지는 홀로세이다.) 큰 기후 변화 주기 내에 작은 기후 변화들이 요동치는 것이 순리다. 빙하기와 간빙기는 전 지구적인 평균 기온 변화와 지속 시간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지속 시간은 수백~수천년이다. 최초의 빙하기는 선캄브리아기인 24억년전으로 추정한다. 지구 탄생 후 21억년이 지나서였다. 최초로 증거가 발견되었다는 뜻이지 역사상 최초라는 의미는 아니다. 


      기후 지시자는 물리적으로, 화학적으로, 생물학적으로 기후에 따라 달라지는 인자들이다. 빙하 시료의 얼음 기포 내에 갇힌 온실가스가 한 예이다.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보유자에서 동일한 시기에 나타나는 비슷한 전 지구적 기후변화가 감지된다면 우리는 그 시기를 지구 역사에 나타난 빙하기나 간빙기로 지정할 수 있다. 


      지구 궤도 변화의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요인은 이심률, 자전축의 기울어짐, 세차운동이다. 이런 지구 궤도의 주기적 변화는 약 23000년(세차운동), 40000만년(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10만년(이심률) 주기로 지구 기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외에 장기적 관점에서 현재와 다른 과거의 기후 변화 요인은 지각 운동과 관련이 있다. 기후는 위도에 따른 태양 복사량의 차이와 대기의 해양순환에 따라 달라진다. 


      1만 2천년전부터 현재까지 홀로세 지질시대에서 소빙하기는 1350년부터 1850년 사이에 나타났다. 이때를 제외하고 나머지 시기는 따뜻했다. 소빙하기 내내 추웠던 것은 아니다. 태양에 흑점이 많으면 태양의 대류가 활발해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에너지가 많아진다. 


      눈덩어리 지구 가설을 보자. 지구의 해양과 대륙 모두 하얀 눈으로 덮여 있었다고 가정하는 이론이다. 탄생 이후 초기 지구가 마그마 바다로 덮여 데워진 상태에서 서서히 식어갔다고 추측하는 상황에서 눈덩어리 지구 가설은 논란을 낳았다. 암석은 지구의 역사를 담고 있는 기록자이다. 지질학자들이 눈덩어리 지구를 가정할 수 있었던 것은 다이아믹타이트 때문이다. 각진 암석 덩어리와 자갈부터 점토까지 불규칙하게 혼합된 퇴적상을 보여주는 사암(砂巖)이다. 오직 극지역의 빙하 주변 육상과 해양 퇴적물에서 찾을 수 있다. 


      육상의 지질 기록은 침식 등으로 연속적이지 않지만 해양 퇴적층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지구의 지표 환경 기록을 연속적으로 가지고 있어 암석 퇴적상을 현생 퇴적상과 서로 대조해 볼 수 있다. 유빙운반역(流氷運搬礰)도 과거 빙하기의 일면을 볼 수 있는 과학적 증거다. 높은 지대에 두껍게 쌓인 빙하는 무게에 따른 중력에 의해 낮은 지대로 흐른다. 이렇게 빙하기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육상의 암석 덩어리와 조각들은 빙하 바닥에 붙어 운반된다. 빙하 바닥의 암석은 갈려 거친 돌이 만들어진다. 


      빙하가 해안가에 이르면 지반이 더 이상 빙하를 지탱하지 못하고 무너져 내려 바다로 흘러들어 유빙이 생성된다. 다량의 유빙이 바다로 운반되어 녹을 때 유빙에 붙어 있는 암석 파편이 바다 밑으로 떨어진다. 이때 떨어진 역들이 퇴적물에 드문드문 섞여 빙하 환경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퇴적상을 만든다. 이 역들의 표면에 운반 도중 빙하가 긁고 지나간 흔적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극지환경에서만 볼 수 있는 해양지질학의 퇴적물로 생각했지만 적도 지역을 포함해 저위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되었다. 이를 근거로 과학자들은 오래전 지구에 전지구적인 얼음 세상이 존재했다는 가설을 세웠다.


      다이아믹타이트, 호상 점토 퇴적물, 빙하가 녹은 물에서 생성된 하천 퇴적물, 암석 표면의 빙하 흔적에서 눈덩어리 지구의 강력한 증거를 찾을 수 있다. 지구과학계의 혁명과도 같은 판구조론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눈덩어리 지구 가설은 빛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판이 움직인다는 살아 있는 증거는 해저 지각에 남아 있는 잔류자기의 방향이다. 지구 자기장은 계속 변해왔다. 잔류자기는 암석이나 퇴적물에 남아 있는 과거의 지자기다. 퇴적물이 쌓이면서 잔류자기 배열이 고정된다. 지각판이 이동하면 그 암석의 지자기 방향은 점차 시간적인 자기장과 달라질 것이다. 


      두꺼운 얼음으로 덮인 바다는 산소 농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런 환경에서 호상 철광층이 생성된 적이 있다. 세 번(24억년전, 7억 2천만년전, 6억 5천만년전)의 눈덩어리 빙하기는 발생 시기가 서로 크게 달라 각기 원인이 다를 수밖에 없다. 45억년전에서 25억년전까지 적어도 20억년 동안 지구에는 산소가 없었다. 원시 생명체는 풍부한 대기 성분을 토대로 살아야 한다. 하지만 지구가 물바다 행성으로 바뀌면서 생명체는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생명체가 대기에서 수소를 만들기보다 너무도 풍부해진 물에서 수소를 추출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그 결과물이 시아노박테리아의 출현이다. 


      중요한 점은 그들이 수소를 만든 것이 아니라 그들이 광합성을 하는 과정에서 산소라는 부산물을 만든 것이다. 갑자기 급격하게 늘어난 대기 산소가 따뜻한 기후를 유지하도록 이어주는 온실가스의 급격한 산화(온실가스 제거, 메탄 제거)로 이어져 빙하기를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80 페이지) 극지방부터 얼기 시작한 지구는 얼음이 많아지면서 태양빛을 더 많이 반사해 결빙이 급격하게 진행되었을 것이다. 


      알베도(빛 반사) 지수는 물이 0.1, 육지는 0.3, 얼음은 0.45-0.65, 신선한 눈이 약 0.9다. 지구 전체가 얼어있었다면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빛은 거의 우주로 반사되기에 지구는 영원히 얼음 세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니 눈덩어리 지구 사건이 영원히 지속되지 못한 이유를 찾아야 한다. 지구를 덮고 있던 얼음을 녹일 수 있는 강력한 힘은 지구 내부의 뜨거운 힘 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 메탄 같은 온실가스가 영구동토층과 해양 퇴적층을 뚫고 대기로 올라와 영구적일 것 같았던 눈덩어리 지구를 사라지게 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화산 활동으로 빙하기가 올 수 있는 주된 요소는 이산화황을 포함하고 있는 에어로졸(화산재)이다. 대기로 넓게 퍼진 분출 물질은 태양빛이 지표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방패 역할을 해 지구 기온을 떨어뜨린다. 기온의 하락으로 고위도 빙하의 면적이 넓어지면서 알베도가 커지고 눈덩어리 빙하기가 초래되었다는 것이다. 완벽한 얼음 세상이라던 당시에 물이 순환하거나 얼음이 녹았던 활동의 증거가 일부 나타났다. 그래서 완전한 눈덩어리가 아닌 진창눈덩어리 지구(slushball earth), 눈덩어리에 가까운 지구(near snowball earth)를 제안했다. 


      저자는 빙하기 시대를 준비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는 남극대륙이라 말한다. 남극 대륙은 지구 기후 조절 요인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기에 환경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곳이다. 눈덩어리 지구 이론은 가설이다. 첫 부분부터 흥미롭게 읽었지만 중반부 이후 가설 자체에 대한 논란, 해명되지 않은 부분 등이 이어져 긴장감이 덜했다. 그림으로 보는 극지과학 시리즈의 한 책으로 150 페이지 ~200 페이지 정도로 분량이 정해져 있어 아쉬운 점도 있다. 더 상세하게 조명되었다면 좋았을 것이다. 저자가 추천한 ‘우리는 지금 빙하기에 산다’를 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