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전시회 관람 후기를 쓰는 과제를 위해 내가 고른 전시는 2017년 서울 세계건축대회(9월 3일 – 7일) 기념 특별 전시회인 ‘자율진화도시’전(展)이다.

건축대회는 끝났지만 시작일과 같은 9월 3일 시작되어 11월 2일까지 계속되는 이 전시회는 계획과 진화라는 두 개의 키워드를 갖는 전시회이다.

말이 어렵지만 자율진화도시란 외부로부터의 개입 없이 문제점들을 스스로 찾아 낼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이다.

자율진화도시전이 중점을 두는 분야는 예술이다. 물론 도시를 보는 틀은 하나로 고정되지 않는다. 세계적인 지리학자이자 사회이론가인 데이비드 하비처럼 도시를 계급현상의 관점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비는 도시를 잉여 생산물이 사회적, 지리적으로 집적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거주 형태로 본다. 그런 그에게 도시화는 언제나 일종의 계급현상이다.

그런데 글을 쓰는 과정에서 관념적인 데에 경도(傾倒)되는 내 성향 때문에 힘들었다. 이와사부로 코소 이야기이다.

그는 도시를 거리의 꿈틀거림, 웅성거림, 시끌벅적함을 통해 춤을 추는 움직이는 신체 즉 유체(流體)로 정의한다.

또한 건축을, 건물을 세우고 도시를 구획하는 것이 아닌 물리적인 도시공간을 소유하지 않은 도시 민중이 자신의 역사, 문화, 지식을 자신들의 신체 안에 새겨 넣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이 부분을 절대시간, 절대공간을 상정한 뉴턴과 시공간의 관련성을 알린 아인슈타인의 차이, 세상을 고정불변의 실체로 보는 존재 중심 시각과 연대(連帶)와 연기(緣起)의 관점으로 보는 사건 중심 시각의 차이 등으로 설명하려 했었다.

하지만 주제에 맞지 않거나 논의가 추상적이면 과감하게 잘라야 한다. 그래서 외부란 용어가 자연계와 도시 이론에 다르게 적용되는 점을 부각시켰다.

자연과학에서는 외부로부터 물질과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계를 고립계 또는 폐쇄계로 정의하지만 도시론에서는 외부로부터의 개입 없이 문제점들을 스스로 찾아낼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자율진화도시라 말하는 것이다.

고립 또는 폐쇄와 자율은 함의가 완전히 다르다. 지난 19일 나는 ‘자율진화도시’전(展)이 열리는 서울시립미술관에 있었다. 이예승의 ‘초시공간(超視空間)‘이란 작품을 30분간이나 바라보았다.

나는 이를 면벽(面壁) 수도(修道) 같은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이 생각 역시 나의 관념지향적인 벽(癖: 버릇)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잠정적이지만 프랑스의 철학자 앙리 르페브르가 말한 도시권이란 말을 생각한다.

르페브르의 도시권이란 기존에 말해진 도시권보다 더 의미 있고 활기 넘치는 것이지만 생성과 만남의 여지가 있음은 물론 미지의 새로움을 끊임 없이 추구할 가능성이 봉쇄되지 않은, 갈등적이고 변증법적인 도시 생활을 할 권리를 말한다.

르페브르의 도시권을 생각하게 한 것은 어제의 내 분주한 행적(行蹟)이다.

아침 일곱 시 집을 나선 뒤 밤 11시 30분 집에 들어온 내 행적은 오전 동구릉(東九陵) 중 경릉(景陵; 헌종과 효현왕후 김씨, 효정왕후 홍씨의 능), 혜릉(惠陵: 단의왕후 심씨의 능), 숭릉(崇陵; 현종과 명성왕후 김씨의 능) 순례, 오후 서울 시립 미술관에서 생각거리를 찾느라 면벽(面壁)하듯 시간 보내기, 저녁 ‘조선궁궐과 음양오행’ 프로그램 듣기로 채워졌다.

시간으로는 16 시간 30분을 밖에서 보내 피곤한 것이겠지만 피곤한 이유는 달리 있다.

1) 죽어 신(神)이 된 조선 왕들의 정원을 인간으로서 거닐었기 때문이고, 2) 미술관에서 주제를 찾느라 면벽하듯 한 작품 앞에서 30분 정도를 보냈기 때문이고, 3) 서울시립 미술관에서 ‘자율 진화 도시’ 프로그램 가운데 실제가 아닌 사진의 종묘, 봄, 여름, 가을의 종묘가 아닌 눈 내린 종묘 정전(正殿)을 보았기 때문이다.

종묘가 도시 진화 프로그램에 포함된 것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다름이 아니라 건물이 설립된 뒤 여러 차례 증축되고 재건되었기 때문이다.

종묘는 각기 다른 시대에 증축되거나 재건된 탓에 지붕의 색과 질감 등이 단일하지 않다. 오음음계를 연상하게 한다고 할까?

어제 내가 보낸 아침, 오후, 저녁, 밤의 시간들은 새로움을 추구하는 갈등적이고 변증법적인 시간들이었다. 결국 이 말로 다 정리할 수 있다. 피곤의 이유를.

새로움을 추구하는 탓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밤 11시 무렵 동기(同期)에게서 톡이 왔다. 창경궁의 ‘느티나무 – 회화나무’ 뭉치(이 표현은 나의 표현)를 무엇이라 불러야 하는가를 묻는 톡이었다. 연리목(蓮理木)인가 혼인목(婚姻木)인가 하는 물음이었다.

지난 여름 연구원 면접시에 내 왼편에 앉았던, 정말 곱고 차분한 여 동기이다.

곧 하게 될 숲 해설 시연에서 창경궁을 맡았는데 예의 그 나무 부분에서 해결책이 보이지 않아 톡을 보낸 것이었다.

團톡방에 묻지 않고 나에게 물은 것은 기분 좋은 일이지만 사실 나는 창경궁은 잘 모르고 나무는 더 더욱 모르는데다 찾아 보니 궁궐로서의 창경궁을 다룬 책은 하나도 없다.

급한 김에 나무를 다룬 장세이의 ‘서울 사는 나무’가 있어 들춰보니 이런 구절이 있다.

”창경궁에는 아주 큰 혼인목이 있습니다. 홍화문으로 들어선 다음 바로 오른편으로 길을 잡아 조금 걷다 보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나무입니다. 혼인을 올린 두 나무는 느티나무와 회화나무입니다.“(327 페이지)

전문가급의 사람들에게는 어려울 바가 없지만 나 같은 나무 비전문가에게 느티나무와 회화나무는 구별하기 쉽지 않은 나무들이다.

주(周)나라가 조정(朝庭)에 회화나무를 심어 그들의 조정을 괴정(槐庭)이라 한다는 이야기를 어느 책에서 읽은 기억이 있다.

한 식물학자가 회화나무꽃을 괴화(槐花)라고 하는데 괴의 중국어 발음이 회여서 ‘회화나무’ 혹은 ‘회나무’가 되었다는 말을 했다는 인터넷 자료를 보았다.

혼인목은 서로 다른 종(種)이 연결된 것이고 연리목은 같은 종이 연결된 것이라는 책의 결론을 전하니 동기는 연리지는 영양분까지 서로 공유하는 경우이고 혼인목은 그저 서로 기대어 자랄 뿐 영양분을 공유하지는 않는 사이라고 배웠다는 말을 했다.

나는 내일(9월 19일) 왕릉 연구팀 선생님들을 만나 여쭙고, 숲 해설 선생님들께도 여쭌 뒤 답해드리겠다고 말했다. 물론 창경궁 해설사분들께도 물을 것이다. 어떤 결과가 날지 몹시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설에서 피해야 하는 것 가운데 하나가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어제 정동(貞洞) 해설에서 고종이 1896년 아관파천(俄館播遷)으로 머물게 된 러시아 공사관에서 처음 커피를 접했고, 정관헌(靜觀軒)은 고종이 커피와 과자를 즐기기 위해 지은 전각이라는 말을 했다.

그런데 고종이 아관파천 이전에 이미 커피를 접했다는 기록이 있다. 1884년부터 3년간 고종의 어의(御醫)를 지낸 알렌(Horace Newton Allen)이 쓴 ‘Things Korean‘이란 책에 의하면 아관파천 이전 궁궐에서 고종은 커피를 접했다.

이런 기록은 후에 언급할 퍼시벌 로웰의 책에도 있다.(‘Things Korean‘은 ‘조선견문기’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다.)

한편 고종 실록에 의하면 정관헌은 어진(御眞)을 모신 곳이다. 물론 정관헌은 어진 봉안에 적합한 신성한 분위기보다 서양식 카페 분위기가 나는 곳이다. 이런 점 때문에 정관헌과 고종의 커피 사랑을 연결지어 말하는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현실적으로 모든 자료를 찾기는 어렵다. 하지만 가능한 한 최선을 다해 자료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대한제국 시기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 사람들이 쓴 책들이 내 관심을 끈다.

고종의 어의였던 알렌(Horace Newton Allen: 1858 – 1932)의 ‘조선견문기’와 ‘알렌의 일기’, 여행가이자 작가였던 이사벨라 버드 비숍(Isabella Bird Bishop: 1831 – 1904)의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천문학자이자 작가였던 퍼시벌 로런스 로웰(Percival Lawrence Lowell: 1855 – 1916)의 ‘내 기억 속의 조선, 조선 사람들’ 등이다.

순서가 바뀌었지만 대한제국에 대한 관심은 유럽 스타일의 고풍스러운 정동(貞洞)에 대한 관심이 촉발한 것이다. 어제 내가 택한 동선은 정동 극장, 경운궁 중명전, 정동제일교회, 이화여고(손탁 호텔 터), 옛 러시아 공사관, 캐나다 대사관, 프란치스코 회 등이다.

이제 경운궁도 포함하고 배재학당, 영국문화원, 성공회 성당, 세실극장 등을 포함하는 종합 시나리오에 도전해보고 싶다. 어떤 면에서는 종묘(宗廟)보다 정동(貞洞) 일대가 내 주 해설처가 될 것도 같다는 생각이 드는 저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평소 프리드리히 횔덜린은 내 관심권에서 멀다. 하지만 피곤하고 마음이 무겁고 휑한 바람 같은 것에 점령될 때 횔덜린은 내게 온다.

그가 내 구원은 아니다. 다만 그의 무겁고 어두운 시가 내 마음을 위로해 주고 그처럼 불행한 사람도 있다는 생각이 마음을 어루만져 준다.

가정교사로 일하던 집의 여주인과 사랑에 빠지지만 그녀가 서른셋의 나이로 죽자 정신착란 징후를 보이다가 정신병원에 강제 이송되기도 했던 그는 반평생을 정신착란 상태로 지낸 불행한 시인이다.

“오직 쓰라린 내면의 고통 속에서만 내가 사랑할 가장 아름다운 것 태어나네.”(Und unter Schmerzen nur gedeiht. Das Liebste, was mein Herz genossen.)..

이 구절은 ‘운명(Das Schicksal)’이란 제목의 시의 한 구절이다. 그의 삶과 참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하면 무례할까?

‘하이페리온’이란 시에서 그는 “이기심으로 얼룩진 인간들끼리의 일들은 잊도록 하라. 그리고 온갖 번민과 슬픔으로 가득 차서 갈구하는 마음이여, 돌아가라! 그대의 근원인 자연으로, 방황이 없는 조용하고 아름다운 그 품으로.“란 말을 했다.

‘저녁의 환상’이란 시에서는 “하지만 나 어디로 가나?/ 속세의 인간들/ 그 노력과 댓가로 살며, 거듭되는 어려움과 안식 속에서/ 모두 즐겁게 지내는데, 왜 내 가슴 속/ 가시만은 잠들지 않는가?”라는 말을 했다.

절실하고 무겁고 슬픈 언어들이 그의 시의 주조(主調)이다.

“그의 죽음의 잠의 침대 머리맡에는/ 초 한 자루 없어요. 당연하죠. 뭣에 쓰겠어요?/ (하지만 생전에 그가 켰던 초들이/ 일제히 밝혀져 있는 걸 내가 못 보는 건지도 모르죠.)”로 시작되는 시..

황인숙 시인의 ‘시인의 묘’라는 시가 횔덜린을 염두에 둔 것인지 생각한 적이 있지만 사실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불행하고 슬프게 살다 간 사람들은 너무 많기 때문이다.

오전에 정동 순례를 마치고 오후에는 윤동주문학관과 청운문학도서관에 들러 어슬렁거렸다. 할 일이 많은데 시작하기까지 많이 미적거리는 습관의 일환이 아니라 기분 전환을 위한 것이다.

자고 나면 마음이 한결 편해질 것이고 횔덜린처럼 ‘나 어디로 가는가.. 왜 내 가슴 속 가시만은 잠들지 않는가.‘ 같은 탄식은 하지 않을 것이다. 내일은 나의 날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