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나의 독서 행태를 가만히 들여다 보면
어떤 강박관념 또는 엄숙주의에서 비롯된
학교식 책읽기에서 점차 벗어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이런 변화는 순전히
자연발생적이고, 우연에서 기인한
진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해 나 스스로는 썩 마음에 들어한다.
도대체 어떻게 읽기에 자기 스스로
마음에 든다고 공개적으로 떠벌리는 것일까?
이건 오로지 나의 주관적 평가에서 나온 것이니
시시비비를 가릴 문제도 아니고 다른 사람에게는
이렇다 할 의미도 없다.
먼저 일주일에 몇 권을 읽느냐 하면
많이 읽을 때는 4권, 적게 읽으면 1권으로
평균 2~3권 정도를 읽는다.
주제는 그때그때 다르다. 최근 2~3개월 전부터는
물리학 공부에 홀딱 반하여 부(副)였던 물리학이
어느새 주(主)의 자리를 꿰차고 있다.
(그 전에는 인문학이 주였다.)
머리가 무겁거나 자투리 시간이 나면
가벼운 문학책을 읽는다. 잘 읽지 않던
소설도 요즘은 즐겨 읽는다. 소설이 좋아진 이유는
딱히 없지만 굳이 말하자면
현실에서는 절대로 친구가 될 수 없거나
가까이 하지 않았을 사람들(가령 수다스럽거나
경거망동하는 사람들, 또는 근엄한 얼굴로 젠 체하는
사람들)과도 짧은 시간 동안 수다스럽지만(책 속에서)
전혀 수다스럽지 않은(현실에서) 친구로 만날 수 있다는 점이다.
책의 선택에 있어서는 내가 생각해도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어떤 계획도 없이 그저 우연에 맡긴 채
책을 고르는데 어쩌면 그렇게도 맘에
쏙 드는 책들만 걸려드는지...
가령 이런 식이다.
어떤 책을 읽다가 그 책에서 거론된 책을
다음 독서 대상으로 선택하거나
내가 읽고 있는 책의 제목을 우연히 보게 된 지인이
다른 책을 추천하거나
이도 저도 아니면 인터넷의 한 귀퉁이에서
우연히 읽었던 서평이 맘에 들었거나.
나의 독서는 나이에 따라 차츰 단조로워지는
식성과는 달리 점차 잡식성으로 변하고 있다.
이런 변화로 인해 하나 좋아진 것은
'견딜 수 없는 지루함'을 퍼트리는 시간 도둑
'회색 도당'들의 습격으로부터 도망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다 보니 가끔 식사 때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 나는 '독서가 밥보다 맛있어서' 라고
핑계를 댄다. 다만, 아쉬운 것은 책에 빠져 살다 보니
서평을 쓰는 일로부터 점차 멀어진다는 점이다.
둘 다 잘할 수 있으면 좋으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