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부터 흐린 하늘은 여전히 어둡고 우울합니다. 할끔할끔 누군가의 눈치를 살피는 듯 시차를 두고 이따금 비가 내렸고, 더웠던 날씨를 의식한 듯 바람도 제법 불었습니다. 오슬오슬 한기가 느껴지는 날씨가 어제오늘 길게 이어졌던 것입니다.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던 국민의힘 어느 정치인의 마음도 그와 같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코미디와 같았던 일련의 사태를 보면서 국민들은 하나같이 참담함을 느껴야 했습니다. 저것이 과연 대한민국을 3년이나 다스렸던 집권 여당의 모습인가, 하는 자괴감이 그들을 지지하는 시민들이나 그렇지 않은 시민들 모두에게 실망을 넘어 좌절감마저 느끼게 했던 것입니다. 그들을 지켜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일절 아랑곳하지 않겠다는 뻔뻔함과 오만함은 저들이 과연 민주주의 체제에서 정치를 하는 사람들이 맞긴 하나, 하는 의구심을 강하게 들게 했습니다. 내란을 주도했던 총리를 차기 대통령 후보로 내세운다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상황임에도 그들은 여전히 일반 민심을 등진 채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시키기 위해 하나의 방향으로 치닫고 있는 형국입니다.
크리스티앙 보뱅의 에세이 <빈 자리>를 읽고 있습니다. 130쪽도 안 되는 이 얇은 책을 나는 며칠째 붙들고 있습니다. 우리가 크리스티앙 보뱅의 글을 읽고 싶다고 생각하는 건 어쩌면 현실에서 바라보게 되는 거칠고 험한 풍파로부터 한 발짝 떨어져서 사유하고 싶다는 고백일지도 모릅니다. 해수면의 거친 파도를 지나 햇볕도, 소리도 없는 심해 속으로 깊이 가라앉아 다른 어떤 것에도 흔들리지 않는 평화를 잠시나마 누려보고 싶다는 간절한 희망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시간은 일 속에서, 휴가 속에서, 어떤 이야기 속에서 소모된다. 시간은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활동 속에서 소모된다. 그러나 어쩌면 글쓰기는 다를지도 모른다. 글쓰기는 시간을 잃는 것과 매우 가까운 일이지만, 또한 시간을 온전히 들이는 일이다. 글을 쓴다는 것은 남아서 눅눅해진 시간을 조리하는 것이다. 그러면 매 순간은 감미로워지고 모든 문장은 축제의 밤이 된다. 글을 쓰는 동안 영혼은 길 위에 흩어진다. 길을 잃어 헤매기도, 길에서 벗어나기도 한다. 그러다 단 하나의 단어가, 단 한 차례의 숨결이 흩어진 영혼을 다시 모은다. 왕의 만찬처럼 풍요로운 말, 맛의 정수를 담은 사랑의 글자." (p.112)
국민의힘의 최종 후보로 선출되었던 그가 불과 일주일 만에 강제로 물러나야만 하는 상황을 마주했던 심정은 당사자가 아니면 그 누구도 제대로 알 수 없을 듯합니다. 결국 어떤 식으로 이 일이 마무리될지 알 수 없지만 그는 아마도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흔들리는 삶으로부터 심한 멀미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인간의 욕심과 그로 인한 야비한 술수와 뻔뻔함에 혀를 내두르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나는 그에게 심심한 위로를 보내며 크리스티앙 보뱅의 에세이를 권해 봅니다. 하늘은 여전히 어둡고 우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