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타의 산책
안리타 지음 / 홀로씨의테이블 / 2025년 4월
평점 :
'왕의 의자'라고 부르는 작은 바위가 있다. 내가 매일 아침 산책을 마치고 내려오는 산의 능선을 따라 낮게 솟은 작은 봉우리에 있는 바위의 이름이다. 물론 그 이름은 내가 명명하여 나만 그렇게 부르는 까닭에 다른 이들은 어찌 부르는지 알지 못한다. 옛날 초등학교 교실의 나무의자를 닮은 그 바위는 한 사람이 겨우 앉을 정도로 그닥 넓은 편은 아닌데, 그곳에 앉으면 앞이 탁 트여서 내가 사는 도시 전체가 한눈에 들어온다. 게다가 바람길도 훤히 트여 운동 후 땀을 식히는 데는 그만이다. 나는 아침 출근 시간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그곳에 잠깐 앉아 땀을 식히거나 도시 전경을 감상하곤 한다.
오늘도 참새가 방앗간을 지나치지 못하듯 '왕의 의자'에 앉았는데 근처 참나리 군락에서 꽃이 피어 있었다. 그렇지 않아도 저게 언제 꽃이 필까? 늘 궁금했는데 드디어 꽃이 만개한 것이다. 날씨가 더운 탓인지 산을 오르는 이는 많지 않았고 활짝 핀 참나리 꽃이 오가는 이를 반기는 듯했다. 어찌나 기분이 좋던지... 2025년 7월의 마지막 한 주도 나는 기분 좋게 시작할 수 있을 듯했다.
"너무도 신비롭고 벅찬 감각에 순간, '이건 운명이야' 하는 확신이 나를 휘감았다. 아마도 그때부터였을 것이다. 다음 날, 그다음 날에도 나는 찬찬히 자연을 거닐며 같은 감각을 반복했다. 그리고 이 비밀스럽고도 강렬한 인상은 나를 이전의 삶에서 전혀 다른 차원으로 옮겨 놓아, 그날 이후, 나는 산책을 하지 않고서는 살 수 없는 사람이 되었다." (p.41)
이번에 새로 발견한 작가 안리타의 산문집 <리타의 산책>은 200쪽 남짓의 두껍지 않은 책이지만 읽는 데 꽤나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들었다. 한 문장 한 문장 읽을 때마다 곁가지로 따라오는 생각의 알갱이들이 포도송이처럼 부풀었기 때문이다. 좋은 책이란 이렇듯 작가가 쓴 짧은 문장으로부터 독자의 깊고 넓은 사유를 이끌어내는 책을 일컫는 것이리라. 일차적으로는 작가가 쓴 문장의 기본 의미를 파악하는 게 먼저이겠지만, 작가가 그 문장을 쓰기 위해 서성거렸을 어느 거리, 어느 시간대의 빛나던 햇살과 그늘이 되어주던 숲, 그리고 작가를 환영하고 응원하던 들꽃들...
"그때부터였을까. 이렇듯 내가 늘 숨으로서 매달려 있는 생에 관심이 커진 계기가. 삶에 이토록 깊이 연결된 호흡이라니, 폐부 깊이에 닿는 뜨거운 느낌이 삶이라니, 한 사람을 살리고 한 사람을 죽이는 모든 힘이 거기에 있다니, 존재가 어디에도 연결되어 있다는 기분이 아찔해서 나는 노을빛까지도 사무치게 들이쉰다." (p.113)
한때 살아가면서 필요할 때면 언제든 무한대로 지원되던 이웃의 위로는 언제부턴가 '옛다, 위로' 하는 식의 천편일률적이면서도 진심이 담기지 않은, 그럼에도 얼굴도 모르는 누군가에게 일정액의 대가를 지불하지 않으면 그마저도 제공되지 않는 값싼 문장이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삶의 진정제가 되었다. 삶이 힘들수록 우리는 공장에서 찍어낸 듯한 싸구려 위로의 글에도 쉽게 감동하고, 이웃으로부터 소외되면 소외될수록 그 경박한 위로의 글조차 더욱 목말라했다. 마음의 상처를 치료하는 일회용 밴드에 익숙해진 탓일까 아프니까 청춘이었던 우리는 중년이 되어서도 늘 아프고, 언젠가 읽었던 싸구려 위로의 글에 찔끔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타인의 말이나 글에서 나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나를 사랑하고 위로하는 나만의 목소리를.
"나는 내가 발견한 이 알 수 없는 아름다움에 대해 오래 생각한다. 삶은 때로 낯설고, 이해할 수 없이 복잡하지만, 그 속에서 문득 마주하는 순간들은 눈부시도록 찬란하다. 이따금 죽고 싶은 만큼 살고 싶은, 그 고통의 순간에도, 생은 놀랄 만큼 신비하다. 계절처럼 마음은 변덕스럽고 때로 나약하지만, 우리는 그 순환 속에서 믿을 수 없을 만큼 강해진다. 이 양가감정 속에서 문득 마주하는 순간들이 너무도 아름다워서 이상할 만큼 감동적이기도 하다." (p.193)
한 주를 시작하는 월요일. 멈춰 있는 물레방아를 돌리듯 순환의 처음은 언제나 힘겹고 무겁다. 그럼에도 우리가 그 모든 처음을 기꺼이 감당하는 이유는 내게 남은 처음이 시나브로 줄고 있기 때문이다. 내게 허락된 봄이, 내게 허락된 한 달의 첫날이, 내게 허락된 한 주의 첫날이... 그 정확한 숫자는 알 수 없지만 정체되거나 늘지 않는다는 건 명확한 사실. 나는 그렇게 7월 마지막 주의 첫날을 지우고 있다. 습관처럼 또 그렇게. 안리타의 에세이 <리타의 산책>을 마저 읽으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