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을 보면 이해받는 기분이 들어요 ㅣ 도시공간 시리즈 3
김건희.김지연 지음 / 선드리프레스 / 2023년 7월
평점 :
두 사람이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출간하는 형식은 그 유례도 깊고 사례 역시 많다. 그렇다고 편지를 주고받는 두 사람이 모두 작가일 필요는 없다. 오히려 그렇지 않은 경우에 독자들로부터 더 큰 관심을 받곤 하지만 정제된 글의 형식을 생각할 때 둘 중 한 사람은 작가일 필요가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나도 이와 같은 형식의 산문집을 여러 권 읽은 경험이 있다. 지난해 타계한 서경식 교수와 일본인 소설가 다와다 요코가 나눈 사색의 기록 <경계에서 춤추다>나 음악인 루시드 폴과 마종기 시인이 쓴 <아주 사적인, 긴 만남>, 이 외에도 한나 아렌트와 카를 야스퍼스의 서간집도 있고, 빈센트 반 고흐와 동생 테오 사이에 오고 간 아름다운 편지들도 있다. 김혼비 작가와 황선우 자가 사이에 오고 간 편지를 모은 책 <최선을 다하면 죽는다> 역시 내 기억에 남아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같은 형식으로 책이 출간되는 걸 보면 편지라는 독특한 형식이 우리에게 주는 매력이 꽤나 크다고 해야 할까.
며칠 전에도 나는 이와 같은 형식의 산문집을 한 권 읽었다. 잡지사의 직원과 잡지사의 고정 필진으로 만나 열 살이라는 나이 차이와 작가와 잡지사 직원이라는 다소 이질적인 관계에도 불구하고 편지라는 사적이고 긴밀한 매체를 통해 사연을 주고받았던 데에는 남들이 알 수 없는 두 사람만의 비밀이 존재했을 터, 그와 같은 비밀이 겉도는 이야기가 아닌, 현실적이면서도 동시대의 독자들로부터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이야기들로 채워질 때 비로소 책으로서의 가치를 갖게 될 터였다.
"작품에 담긴 사람의 마음, 그 사람이 작품에 담은 언어, 그 언어가 닿고자 하는 곳, 그것을 발견하려고 도착한 사람들, 모두를 연결하는 일이겠죠. 어쩌면 그것을 연결하는 큐레이터나 에듀케이터의 일조차, 미싱사의 손길처럼 하나의 일상적이 예술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그런 방식으로 가려진 마음을 발견하는 게 예술이 해야 할 일이 아닐까요? 마음을 가린 장막을 혼자서 모두 걷어내기는 어려워요.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우리가 삶에서 신뢰할만한 것, 지켜내야 할 것들을 발견하는 게 우리가 예술에서 구해야 할 진실이라고 생각해요. 마치 샤르댕의 정물에서 본 것들처럼요." (p.44)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를 통해 만난 건희와 지연은 미술과 책을 좋아하는 이십 대의 기자와 미술 이론을 전공하고 다수 매체에 현대미술과 도시문화를 비평하는 글을 기고하는 삼십 대의 작가였다. 그들 사이에 놓인 공통분모는 미술과 그림이었다. 그러나 생각을 조금만 넓히면 대한민국이라는 보수적인 국가에서 태어난 두 여인일 수도 있고, 미래를 걱정하는 젊은 청춘일 수도 있다.
"제가 해줄 수 있는 건 같이 아름다운 것들을 오래 바라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일, 때로는 아름다움을 등지고 어두운 그늘에 숨어버리는 일상의 곁에 서 있어 주는 일일 거예요. 어차피 다 다른 삶인데 무슨 얘길 하겠어요. 전 그저 저 같은 삶도 있다고 보여줄 뿐이에요. 이건 이정표가 아니라 그냥 당신 삶의 두께를 늘리는 재료 중 하나가 될 거라고 생각해요." (p.87)
어제는 아나운서 손석희의 <질문들>에 출연한 윤여정 배우를 보았다. 어떻게 하면 윤여정 배우처럼 유연하게 늙어갈 수 있느냐는 한 젊은 방청객의 질문에 대해 그녀의 대답은 매우 확고했던 듯하다. 자신은 많은 경험과 삶의 고비를 넘겨 왔기 때문에 자연스레 얻어진 것일 뿐이니 굳이 노력하고 애쓰지 말라는 대답이었다. 나는 그녀의 표정에서 자신에게 질문을 한 젊은 방청객이 자신과 같은 상황에 놓이지 않고 유연한 노인으로 늙지 않아도 좋으니 비교적 순한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읽을 수 있었다. 사람이 고된 환경에 처하면 처할수록 많은 깨달음과 지식을 얻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한 줌의 깨달음이나 지식이 고된 삶에 대한 대가가 될 수 있다고 나는 믿지 않는다. 오히려 깨달음을 반납할지언정 편하고 순탄한 삶을 사는 게 백 번 나을지도 모른다. 가능하다면 말이다.
"어떤 존재를 사랑의 마음을 갖고 예쁜 눈으로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존재에 대한 확신이 생겨요. 몇 년 간 여러 전시장에서 한 작가의 작품들을 자주 만나다 보면 그런 단단한 예감이 불쑥 솟아오르거든요. 전 제가 오랫동안 지켜본 것들을 믿어요." (p.176)
책의 제목도 밝히지 않은 이상한 리뷰가 되고 말았다. 김건희, 김지연이 쓴 <당신을 보면 이해받는 기분이 들어요>라는 책이다. 나는 사실 우리나라를 쥐락펴락하는 최고 권력자가 쓴 책인 줄 알았다. 공사다망하실 텐데 이런 낭만적인 책을 쓸 여유가 있으셨을까 하는 의문은 있었지만 외간 남자와도 1시간 가까이 통화를 하거나 문자를 하는 분이니 그 정도쯤이야 문제가 되지 않을 거라는 생각도 살짝 들었었다. 그러나 책을 펼치고 보니 내가 생각했던 그분은 아니었다. 텔레비전에서 그분을 볼 때마다 인간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는 걸 보면 이 책의 제목이 왠지 더 가깝게 다가오는 느낌이 든다. 나만 그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