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 고양이 납치 사건 - 메시와 미스테리 1 신나는 새싹 21
닌카 레이투 글.그림, 이지영 옮김 / 씨드북(주)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파랑 고양이 납치 사건


 


20151120_215702.jpg


 핀란드 태생의 순수 화가 닌카 레이투는 목수인 남편, 그리고 고양이와 개, 양떼들과 함께 살고 있다합니다. 핀란드의 예술학교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을 가르치는 그녀의 별명은 놀랍게도 '제 2의 토베 얀손'! Moomin 시리즈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토베 얀손에 비유된다니 그녀의 재능이 탁월한가봅니다. 그녀의 첫 작품이자 메시와 미스테리 시리즈의 첫 편인 <파랑 고양이 납치 사건>에는 귀여운 아기 고양이 메시와 스릴을 즐기는 똘똘 고양이 미스테리의 모험추리 그림책입니다. 
*
 2015년의 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핀란드의 다자녀 가족인 메시내 가족이 여름방학을 맞아 할머니 댁으로 향했습니다. 그러던 중 공상에 빠져있던 메시 혼자 엉뚱하게 다른 기차를 탑니다. '헬싱키행'이라는 안내 방속에 정신이 번쩍 든 메시는 엄마아빠가 없다는 사실에 그제서야 울음을 터뜨렸지만 뾰죽한 수가 없었지요. 다행히 낙천적이고 모험가 기질이 다분한 고양이 미스테리가 우왕좌왕하는 메시를 모험의 세계로 초대해주네요. 사실 이 모험에서 꼬마 고양이 메시는 조연이 아닌 주연이랍니다. 우연히, 도둑들이 주고 받은 대화내용을 색칠공부책에 받아 적었거든요. 덕분에 도둑들이 납치했다는 파랑 고양이에게 한 발 다가갈 수 있었답니다. 메시와 미스테리는 색칠 공부에 적어둔 내용을 단서 삼아 헬싱키의 이곳저곳을 누벼 등대에 도착합니다. 물론 파랑 고양이도 만났고 그 곳에서 도둑들도 만났어요. 결말은 무척 엉뚱 발랄한 반전내용이지만 말입니다.
*

 


20151120_215738.jpg
 
 


모험 이야기가 진행되는 와중에 닌카 레이투는 핀란드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생활상을 아기자기한 그림체로 소개해줍니다. 독자는 책장을 넘기며 자연스럽게 헬싱키의 수산 시장과 핀란드의 전통 음식인 카렐리아 파이, 별이 반짝이는 북유럽의 하늘과 오로라, 핀란드 만의 회색바다표범과 등을 만나지요. Moomin과는 분명 다른 매력이지만, 북유럽 특유의 신비스럽고 친자연적 분위기가 물씬 풍겨나는 그림책입니다. 북유럽에서뿐 아니라 독일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는데, 한국의 독자들도 많이 좋아해주었으면 합니다.

 
20151120_215857.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일도 사랑을 할 딸에게 - 딸의 사랑을 응원하는 엄마의 30년 사회생활 다이어리
유인경 지음 / 위즈덤경향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일도 사랑을 딸에게

 



20151205_142940.jpg


경향신문 정기구독자도 아니고, '생방송 오늘 아침' 등의 TV 프로그램과도 가깝지 않은지라 유인경 기자(경향신문에 1990년 입사한 이래 신문, 잡지, 방송, 강의 등 팔방미인의 활약 중이다)는 그녀의 수필집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이제는 정말 나를 위해서만>에서 처음 만난 중년의 그녀는 20대 정점의 젊은이만큼 열정적이고 부지런하며 긍정적이었다. 비록 지면을 통했을 뿐이지만, 거침없이 할 말 다하는 그녀에게서 강렬한 기운을 느꼈다고 할까? 베테랑 기자답게 인간관계의 폭도 넓고 소통의 기술도 세련된 그녀가 이제 딸의 사랑을 응원하며 수필집을 펴냈다. 제목은 <내일도 사랑을 할 딸에게>인데, 제목부터가 의미심장하다.
*
20151205_142833.jpg
 
<내일도 사랑을 할 딸에게>행간의 정보로 유추해보건데, 유인경 기자의 딸은 한국 기준에서 혼인 적정 연령에 속한 여성인듯 하나 적어도 현재 애인이 없다. (" 네가 지금은 애인이 없지만 근사하고 멋진 사랑꾼이 될 거라고 믿는다. [189쪽])" 또한 엄마 유인경이 팔불출 소리를 감내할만큼 자랑하고픈 괜찮은 품성과 스펙을 갖춘 듯 하다. "내가 좀 네 자랑을 심하게 한 탓인지 너를 며느리 삼겠다고 하는 이들 가운데 '아버지가 회사를 운영하는데 아들이 너무 심약해서 걱정이다. 대신 경영을 도와줄 야무진 며느리를 찾는다'라거나 '집안에 돈을 많은데 아들이 유명대학을 나오지 못하고 부실해서 2세를 생각해서라도 능력 있고 똑똑한 여자를 만나야 한다'라고 너무 솔직하게 털어 놓는 이들이 제법 있다. (134쪽)"
 *
하지만, 훌륭한 인품과 기능적 스펙을 다 갖춘 여성이라도 소위 '사랑'에 얼마나 취약할 수 있는지, 얼마나 무방비이며 어리석어질 수 있는지....... 그래서 일정 정도 마음의 연습이나마 필요하지 않을까? '연애'니 '사랑'은 즉흥무처럼 아무리 연습한다해도 실전무대에서 예기치 못했던 흐름과 춤사위를 만들어내겠지만, 마음의 준비를 하면 좀 더 현명하게 넘어갈 수 있지 않을까? 유인경 기자의 표현을 그대로 빌자면, "사랑은 '그렇게 때문에'가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이고 약점을 사랑으로 보듬어 장점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뻔히 드러나는 암초를 구태여 헤쳐 나가며 인생을 소진할 필요가 있을까?"(96쪽)
사회생활 선배이자 결혼 생활 선배로서 유인경 기자는
편지 형식을 취해 딸에게 똘똘하게 사랑하는 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알려준다. 사실 독자는 유인경 기자의 딸이란 1인이 아니라 이 땅의 미혼 여성이라 할 수 있겠다. 아니, 이미 결혼이라는 제도에 안착했을지라도 세련된 사랑의 기술을 갈고 닦고 싶은 모든 이들이 독자가 될 수 있겠다. 정작 본인 스스로는 70여회 맞선 경력과  80년대식 썸타기를 맛보았을지라도, 조신한 여성'이라는 젠더 이데올로기에 부합하느라 맘껏 연애를 못해봐서 후회하는 유인경 기자. 하지만 기자로서의 마당발 인맥, 다양한 취재원, 탁월한 언어감각에 힘입어 마치 연애 9단의 고수인양 다양한 연애의 정사와 야사를 흥미진진 버무려놓았다. 무엇보다 "뻔히 드러나는 암초(대표적 예로 햄릿 왕자, 마마보이, 무심한 남자,  무능한 남자 등)"를 구별하고 피해가는 법을 소상히 적도 있는데, 현재 본인이 암초 사이를 힘겹게 항해하고 있다는 자괴감이 드는 여성이여, <내일도 사랑을 할 딸에게>를 꼭 읽어보시길.

*

정말 재미있게 폭 빠져 읽은 책이지만, 마지막으로 던지고 싶은 질문 하나. <내일도 사랑을 할 딸에게> 전반에 흐르는 메세지는 '사랑보다 네 자신을 믿어라.' 사랑을 하더라도 자기를 우선에 두고, 결혼을 해서 마찬가지로 자신을 잃지 않는다면 시련 앞에서 무너지지 보다는 더 성숙해지고 사랑도 더 크게 키워나갈 수 있다는 뼈가되고 살이되는 조언.

하지만, 그 똑같은 가르침을 딸이 아닌, 며느리가 충실히 하려한다면......? 드라마에 나오는 전형적 시어머니들이라면 어떤 대사를 던질지 짐작이 간다. "결혼하면 푹 삭아서 남편과 자식의 양분이 되거라?" 딸의 사랑을 응원하는 엄마의 마음으로 이 땅의 엄마들이 며느니의 자아실현을 응원할 때 대한민국, 저출산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20151205_142846.jpg

20151205_142912.jpg

20151205_142930.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레베카 솔닛에게 강하게 끌렸다. 차근차근 그녀의 글을 찾아 읽어나갈 것이다. 예비독자를 레베카 솔닛의 팬덤에 초대하며, 를 읽어야 할 이유 두 가지를 더 소개하고 싶다. 먼저, 이 책 덕분에 젠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뇌가 섹시한 남자, 마음이 섹시한 여자
멘탈리스트 다이고 지음, 이현미 옮김 / 인사이트앤뷰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마섹녀

 




20151204_123230.jpg

이젠 초콜릿 복근의 몸짱 타이틀만으로는 모자라서 '뇌섹남' 스펙까지 갖춰야하는 시대가 되었나? 요즘 사람들은 무엇을 두고 '뇌가 섹시하다'고 하지? 그 궁금증에서 집어 든 책, <뇌가 섹시한 남자, 마음이 섹시한 여자>! 예비 독자에게 미리 말해두지만  인문사회과학적 접근에서 젠더(gender)를 치밀하게 논의한 책은 아니다. 따라서 '뇌섹남' 담론의 사회문화적 함의에 대한 답을 주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이항대립의 관점에서 남성과 여성을 대조시키고, 그 분석을 비즈니스나 인간관계에 자원으로서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책이다. 저자는 남녀의 뇌 차이를 활용해서 "자신이 원래 갖춘 능력을 10배, 20배까지 끌어올리는 방법을 제시"하기에 독자는 "직장은 물론이고 가정이나 연인관계에 이르기까지 뇌의 차이로 발생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기술을 배울 수 있다"(8쪽)고 자신한다. 따라서, <뇌가 섹시한 남자, 마음이 섹시한 여자>은 면접이나 연애와 인간관계 나아가  비즈니스 분야에서 남성과 여성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픈 이들에게 가장 유용하겠다. 
 

20151204_123300.jpg
 
 
<뇌섹남, 마섹여>라는 책 제목으로도 쉽게 유추할 수 있겠지만, 저자 마쓰마루 다이고는 남자와 여자의 뇌가 다르다는 전제에서 논의를 시작한다. 프롤로그에서는 독자에게 굉장히 흥미로운 요구를 한다. "손을 내밀어 보라"고. 약지(네 번째 손가락)이 검지(두 번째 손가락)보다 길면 남자 뇌를 가졌다고 판단하고, 반대의 경우 '여자 뇌'의 소유자라고 생각하면 된다는 간단한 진단법을 제시한다. 이어지는 본문의 1장에서는 "남녀 뇌는 사고의 출발부터 다르다"는 진술을 구체적 사례로 풀어낸다. 2장에서는 남녀 뇌의 차이가 성별간 행동을 어떻게 다르게 유도하는지, 3장에서는 남자와 여자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이를 전략적으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마지막 4장에서는 남녀 뇌를 모두 꿰차고 있는 뇌의 달인 되는 비법을 소개한다.

20151204_123335.jpg
 
<뇌가 섹시한 남자, 마음이 섹시한 여자>은 전형적 이항대립의 사고에 기초해 있다. 읽으면서 자연스레 '남자 = 뇌로 대변되는 이성의 존재 = 논리적 분석, 합리적 사고" vs "여자  = 자연의 존재= 감정으로 대변되는 감성과 몸의 존재  = 비합리적 사고, 타인 지향의 감정" 의 구도가 떠오른다. 혹자는 고개 끄덕이며 수긍할 것이고, 혹자는 이런 이항대립 역시 만들어진 것이라며 불편해할지 모르겠다. 마쓰마루 다이고는 사실 자신이 제시하는 '남성 뇌 vs 여성 뇌' 의 이항대립이 젠더 스테레오타입에 기초한 것인지, 그런 편견을 강화하는데 악용될 수 있는지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그는 이미 남성 뇌와 여성 뇌는 본질적으로 다르며, 그 차이는 변하지 않는 속성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런 명쾌한 이항대립구도에 불편함을 느끼는 것도 사실이지만,  <뇌가 섹시한 남자, 마음이 섹시한 여자>을 읽다보면 소개된 구체적이고 생생한 사례 덕분에 재미를 느끼는 부분이 더 크다. 예를 들어, '장을 보는 남자와 구두를 사는 여자'의 동선을 그린 표 (위 이미지 참조)를 보면 키득키득 웃지 않을 수가 없다. 또한 남성과 여성의 커뮤니케이션 차이를 SNS 대화를 예로 들어 설명한 페이지에서도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한 마디로 "말하지 않으면 모르는 남자" vs "말 안 해도 알아주길 바라는 여자"의 심리가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문자에 숨은 행간의 의미"라는 타이틀로 소개된 연인 간, SNS 대화내용을 옮기며 리뷰를 마친다. 아마 아래 글을 읽는 예비독자 역시 나처럼 키득거리고 있을 듯.
 
남자: 일요일에  밥 먹으러 갈까?
여자: 좋아. 단둘이 얼마 만이야? 어디로 갈까?
: 보라매 타운 김밥집은?
  좋긴 한데.... (오랜만에 데이트하면서 김밥? 좀 괜찮은 데로 가지....) 거기는 시끄러울 텐데, 괜찮을까?
: 그럼 어디로 가지?
: 아무 데나 상관 없지만, 시끄럽지 않은 곳이 좋겠어.
 

: 그냥 우리 집에서 한 잔 하자.

: 알았어......(어째서 집이란 말이야!!!흑흑. 대충 때우겠다는 거잖아. 잡은 고기에게 밥을 줄 리가 없지! 그럴 줄 알았어.... 몇 시에 가면 돼?


 

20151204_123407.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임 푸어 - 항상 시간에 쫓기는 현대인을 위한 일 가사 휴식 균형 잡기
브리짓 슐트 지음, 안진이 옮김 / 더퀘스트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원제가 타임푸어 아닙니다. ! 표지의 연분홍 혹은 살구빛 때문에 살짝 편견(?) 아닌 편견을 갖고 만만하게 읽기 시작했다가 노트 몇 페이지 가득 메모하며 두 번을 읽은 책입니다. 저자는 저널리스트로서 제가 평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