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위한 과학 - 첨단과학의 오해와 진실
김수병 지음 / 동아시아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첨단의 과학 기술이라고 칭하는 세계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잠시 생각을 가다듬고 과학을 또다른 방법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책이다. 기계 문명이 탄생한 이래로 인류는 과학이라는 매우 신속하고 빠르며 정확성을 자랑하는, 그리고 무한한 가능성을 제지하는 첨단의 시대에 살고 있다. 

특히 생명과 관련한 과학은 인류에게 이바지한 바가 매우 크고, 사람들은 더더욱 그 과학의 힘에 의존해 살아가고 있다. 백신은 그 중에서 인류의 질명을 없애는데 혁혁한 공로를 새운 분야이다. 만약 백신이라는 발견이 없었다면 우리의 수많은 사람들이 이미 이세상에 존재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이는 과학이 인류에게 준 엄청난 이로움 중의 하나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저자는 첨단 과학 기술을 등에 엎고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일종의 사고를 유도한다. 유전자 변형 식품을 예로들자면 그동안 끊임없는 논란이 되어 왔고 앞으로도 논란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그 유해성이 아직 증거물로 나오지 않았지만 유전자 조작은 분명 자연의 균형을 깨트리는 것이라는 점을 들고있다. 책을 자세히 읽어본다면 그 이상의 좋은 예로 충분히 공감을 얻어내는데 성공한 저술이라고 본다. 

헬리코박터균에 대한 저자의 견해는 참으로 흥미로운 내용이었다. 헬리코 박터균은 그동안의 연구에 따르면 헬리코 박터균은 위장염및 온갖 위장 관련 질병과 위암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또다른 연구의 결과는 헬리코 박터균을 완전히 제거한 사람과의 연구에서 예기치 않았던 문제들을 발생시켰다는 것을 예로든다. 결국 헬리코 박터균이 정말로 인체에 해를 가하기만 하는 박멸의 대상이냐하는 것은 아직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있기에 결론을 낼 수가 없다는 것이다. 인체의 균형을 이루어주는 많은 대장균들이 있다. 그들이 없다면 오히려 인체는 질병과 싸워야하는 또다른 문제들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더욱 흥미로운 내용은 재생의학으로 알려진 배아 줄기세포에 관한 것이었다. 미국의 웰던 법안을 비록하여 '코스타리카 안'및 '벨기에 안'을 통하여 생명 윤리의 문제을 일으키고 있는 체세포 복제기술을 구체적으로 알아 볼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 있다. 지극히 익숙한 윤리적 이슈를 제기한다는 점은 대다수의 독자들도 잘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왜 그것이 윤리적인 문제가되고 있으며 배아 복제나 체세포 복제를 찬성하는 이들의 주장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근거를 들고 있는 것인지 아주 잘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친 자녀를 갖지 못하게된 부부들이 겪는 고통과 그 고통을 해결해줄 수 있는 방법이 매우 잘 설명되어있다. 이 또한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은 독자라면 막연한 지식일 수 있는 내용들이며 매우 세부적인 지식을 얻어 낼 수 있다. 

또한 차세대의 첨단 기술의 선봉에서 만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가 나노기술이다. 이 나노기술의 사실적 실체를 완번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나노 기술이 어떤 기술에 해당하는 것인지, 그리고 그 나노기술의 활용에의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소개하고 있어 매우 유익하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로봇 청고기의 원리와 그 이해도를 매우 높은 수준에서 알 수 있게해주는 대목도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내용이었다. 유비쿼터스는 차세대 네트워크의 정점이랄 수 있다. 유비쿼터스의 가용부분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는 컴퓨터의 실체에대한 정보도 낱낱이 파악할 수 있어 읽는 내내 흥미의 연속이었다. 물론 개인적으로 위와 같은 영역에 무지한 때문에 흥미를 가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위의 분야에 많은 지식을 가진 독자라면 굳이 독서를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나와같이 피상적인 지식만을 가진 독자라면 이번 기회에 모든 첨단 기술의 양측면을 모두 명료하게 꿰뚫어볼 수 있는 보기 드문 기회가 되어주리라 믿는다.  

저자는 다양한 첨단 과학의 연구 분야화 실용 분야를 소개하면서 첨단 과학에의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인류가 망각하고 있는 또다른 자연의 섭리를 잊고 살아가는 것이 아닌가하는 반추사고를 우리에게 촉고하고 있다. 이미 오래전에 나온 책이기는 하지만 충분히 과학적 사고에 좋은 보탬이 될 수 있고 과학의 이면에 숨겨진 또다른 문제점들을 발견하여 제기할 수 있는 가능성과 혜안을 주는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단순한 사실(Facts)만을 제공한 책이 아니라 독자 스스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정보를 모두 제공하고 있는 매우 유익한 도서임에 틀림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소년을 위한 유쾌한 시사상식 - 개정판 교실밖 상식 시리즈 6
안재윤 지음 / 하늘아래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노소를 박론하고 풍부한 상식은 인생을 풍요롭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소년을 위한 유쾌한 시사상식 - 개정판 교실밖 상식 시리즈 6
안재윤 지음 / 하늘아래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우선 책값이 반값이다. 이런 기회는 쉽게 오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우선 책의 질이 매우 높다. 우리가 상식이라고 말하는 상식은 사실상 상식을 뛰어 넘는 다고 말하는 것이 오히려 맞는 말이다. 책을 열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장학퀴즈에서 문제마다 척척 대답하는 학생들이 있다. 그것도 다른 출연자들은 아무도 모르는데 혼자서 문제를 알아 맞추는 것이다. 그 학생들이 공부한 책이 바로 시사 상식인 것이다. 이 책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사회문화, 정치, 경제, 윤리, 지리, 예술등 모든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사실 이것이 상식인 것이다.  

물론 학과 공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내용들이 많다. 교과서보다 좀더 세부적인 설명이 들어있어 때로는 학과 공부의 사전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문과생은 이과의 과목에, 이과생들은 문과의 과목에 빈약할 수 밖에 없다. 그러다보니 상식의 균형을 잃어 때로는 대화가 쉽지 않은 경우를 만나게된다. 물론 대입학 전형에서 풍부한 상식의 용어들을 사용하는 논술도 상당한 이점을 준다. 적절한 시점의 적절한 용어의 사용은 글을 더욱 빼어나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청소년을 위한 상식을 언제보터 읽어보면 좋을까...당연히 중학생 때부터이다. 중학생부터라면 대입을 치루는 때까지 6년이라는 시간이 남아있는 시기이다. 이 6년의 상식 공부가 그 학생에게 해줄 수 있는 일은 정말로 유익한 일이다.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틈틈히 익혀가는 상식은 그 사람은 대단히 학식이 풍부한 인간으로 자라게 할 것이다.  

노소를 막론하고 풍부한 상식은 그 사람을 돗보이게한다. 물론 모든 글에대한 이해도를 높여주기도 한다. 여러모로 상식이 풍부한 사람은 멋진 사람임에 틀림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 에듀윌 시사 일반상식
에듀윌 교육출판연구소 엮음 / 에듀윌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자녀에게 똑똑하고 공부잘하는 부모가 되기는 순식간이다. 이 책속에 모두 들어있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 에듀윌 시사 일반상식
에듀윌 교육출판연구소 엮음 / 에듀윌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학교 입학시험이 매우 치열한 것이 한국의 현실이지만 더더욱 치열한 입시 전쟁터가 바로 입시 전쟁터라는 것을 인식하는 사람들은 당시자들 뿐 일 것이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입시 경쟁률이 30대 1만 되어도 고등학생들은 엄청난 경쟁률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취업의 경쟁률이 100: 1 인 경우는 기본에 해당한다. 아마도 이를 알면 고등학생들은 더더욱 놀랄 것이다. 

주요 기업체에서 상식을 취업 시험으로 치룬지는 그 역사가 깊다. 물론 상식이 부족하여 탈락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웬만한 기업체에 문을 두드리는 구직자들은 상식을 그야말로 상식의 수준으로 공부를 할테니 말이다. 

나는 구직자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구압하게된 것은 바로 상식을 좀더 알고 싶은 마음 때문이다. 성인이 되고 취직을해서 어느 조직에 몸을 담고 있다보면 독서와는 너무나도 거리가 먼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직장인의 입장이다. 독서의 조건이 매우 열악하기만한 직장 생활의 특성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없어 독서를 하지 못한다고 말하는 사람은 시간이 있어도 독서를 하지 않는 것이 정례이다. 독서를 멀리하다보니 시사적인 용어들과 정확학 개념에 무딜 수밖에 없다.  

자신의 직장과 관련한 일이라면 매우 해박한 업무 능력을 가지고 있겠지만 어디 인생이 그것만이 존재하는가...아이들이 그 어떤 이야기를 듣고 질문이라도 할라치면, 대답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우물쭈물하다가는 요즘 인테넷으로 검색하면 뭐든지 다 알수 있으니 검색해봐라~ 하고 말문을 닫기 일쑤이다. 아이들이 인터넷은 더 잘 알고있다. 많은 정보의 홍수를 이루고 있다는 것쯤은 알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른에게 질문을 하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아이들은 때로 부모님과 다정한 대화를 원할 수도 있다. 어쩌면 정작 필요한 것이 질문에 대한 정답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일 수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아이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인터넷 운운하면 정말 다시는 질문하고 싶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 때, 상식 공부좀 한 부모님이라면 자녀에게 아주 친절하게, 인터넷에서 알려주지 않는 보다 상세한 예를 들어가면서 친절히 대답해줄 수 있다면 이보다 더 뿌듯한 일이 또 어디에 있을까. 

부모가되어서 자녀에게 제 아무리 공부해라 말해도 소용이 없다. 부모 자신이 스스로 책을 읽으면서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 이 가장 좋은 학습 지도방법이다. 부모는 일요일 날 집에서 TV만 하루 종일 틀어놓고 아이에게는 공부를 하하고하면 하고 싶을까...자기는 공부라고는 한자도 안하면서...이렇게 마음 속으로 반항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상식이 풍부한 사람을 보면 매유 유식해보인다. 공부도 많이한 사람처럼 느겨지기도 한다.  한마디로 똑독한 사람이 되는 것은 순식간의 일이라는 이야기다. 모든 질문에 척척 대답을 해주는 부모...아이들은 중학생이 되면서부터 부모님을 우습게 보기시작한다. 중학교 과정의 질문에 대답을 제대로 해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고등부는 아예 물어볼 생각도 하지 않는다. 당연히 부모가 모를 것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렇게되면 부모의 체면은 말이 아니다. 

우리 부모님은 다른 부모님들과 매우 다르다는 인식을 시켜줄 수 있는 기회가 이 일반상식에 들어있다. 상당 부분은 아는 내용이고 잊어버린 내용들도 많다. 새로운 상식을 습득하는데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다. 에듀월드에서 나온 이 책은 기출 문제가지 들어있어 더 좋다. 스스로 점검도 해볼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취업을 하려는 대졸자가 아니더라도 이 책을 읽고 상식을 넓혀도 좋은 이유들이 너무나 많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