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정신이 얼마나 연약한지를 민감하게 이해할수록 부모가 우리에게 준 상처를 용서할 가능성이 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픔이 아니라 지지라 생각하고 관계를 시작할 수 있는 능력은, 부모 콤플렉스와 의식적 대화를 어느 정도로 나눌 수 있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식을 통제하거나, 자신이 못 이룬 삶을 자식이 대신 살게 하거나, 우리와 똑같은 가치체계를 자식에게 강요하는 건 사랑이 아니다. 자기도취에 불과하며 자식의 삶을 방해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재를 사는 능력과 자신을 정의하는 성인으로 살아가는 능력이 없다면, 우리는 스스로의 본성과 성인기에서 떨어져 과거에 갇혀 있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이런 사실을 깨달으면 처음에는 힘이 빠지고 의기소침해질지 모르지만, 끝내는 자신을 해장시킬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는 부모의 허락과 보호로부터 외면당하는 일을 견디지 못하며, 그 때문에 반사적으로 자연스러운 충동을 억누르는 법을 익힌다. 외면 당할까 봐 두려워 생기는 자기방어가 바로 죄책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