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마와 함께 춤을 - 시기, 질투, 분노는 어떻게 삶의 거름이 되는가
크리스타 K. 토마슨 지음, 한재호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12월
평점 :
나는 부정적인 감정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분노, 시기, 질투, 슬픔, 우울, 인간이기에 가질 수밖에 없는, 포장지를 걷어낸 순수한 감정들. 나는 이걸 '부정적'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자연스럽다고 말한다.
우리는 감정에 이중잣대를 들이민다. 기쁨과 환호 행복은 늘 갖고 싶은 최고가의 명품이지만 그 반대에 있는 것들은 진열대에도 오르지 못한다. 이것들은 모두 어떻게 해서든 버리고 싶은 쓰레기들이다.
나는 화를 잘 낸다. 하지만 가장 화가 날 때는 화를 내는 나에게 화내지 말라고 할 때다. 그게 다 무슨 소용이냐, 다 너만 손해다. 화내서 이룰 건 아무것도 없다. 하지만 나는 무언가를 얻기 위해 화를 내는 게 아니다. 화를 내고 싶어서 화를 내는 것이다. 모욕을 당하거나 일이 뜻대로 풀리지 않을 때 나는 화가 난다. 그건 내가 나와 내 일을 그만큼 사랑한다는 의미다. 사랑하는 것이 망가졌을 때 화를 내지 않는다면 도대체 무엇을 해야 할까? 그럴 때 웃으면 일류가 된다는데, 나는 일류가 되고 싶지 않다. 그저 나 자신에, 내 감정에 최선을 다하고 싶을 뿐이다.
당신은 부정적인 감정이 당신의 마음을 꾹꾹 눌러 채울 때 어딘가에 그걸 버리거나 깨끗이 씻어내고 싶을 것이다. 이해한다. 그 감정이 어떤 기분인지 너무 잘 안다. 그래서 그런 것들이 많이 뜨는 것 같다. 마음 수련이니 명상이니 긍정적 사고라든지 낙천이 몰고 오는 행운 같은 것들. 내게는 부정적 감정들이 오히려 연료가 되는 경우가 많다. 내 마음은 실로 부정을 태워 태양을 만드는 핵융합 용광로다. 나의 부정은 중력을 만들어 부정을 끌어모으고 끌어모은 부정의 힘으로 더 큰 중력을 만든다. 나는 이 구덩이를 '공'으로 비워두고 싶지 않다. 나는 모든 집착을 벗어던지고, 오욕칠정을 끊어내고, 고통 속에서도 평정을 유지하는 욥이 되고 싶지 않다. 내 꿈은 성인이 되는 게 아니다. 나는 인간이 되고 싶다. 인간을 초월한 그 무엇도 되고 싶지 않다. 나는 위버멘시가 아니다. 나는 자라투스트라가 아니다. 나는 석가가 아니다. 나는 예수가 아니다. 나는 공자가 아니다. 나는 나다. 나는 고통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싶다. 소리 지르고, 울고, 허공을 향해 주먹을 날리고, 으르렁 대고, 어금니를 꽉 깨물고, 분노로 입을 닫고 싶다.
이것이 악마와 함께 사는 법이다.
저자는 간혹 모호한 태도를 보여 나를 화나게 한다. 이 감정들을 흘려보내지 말고, 이겨내려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느끼라고 하면서, 어느 순간 너무 지나친 건 좋지 않다고 말한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와 공자를 비판하면서 은근슬쩍 중용의 도를 밑장에서 빼든다. 나는 지나친 분노가 터지는 이유는 지나친 분노가 터질만한 일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로 인해 마음에는 구멍이 나고 인간관계는 파괴될지도 모른다. 그런데 그게 삶 아닌가? 그렇게 뚫린 구멍들을 평생 기우며 살아가는 게, 인생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