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잊기 좋은 이름‘ ㅡ김애란 산문집

소설가나 평론가들의 산문을 읽다 보면
그들은 세상을 한없이 ‘들여다 보는 사람‘ 같다.
동시대를 살며 똑같은 사건과 슬픔과 억울함을 보지만
그들은 내가 보는 것과 달리 본다.
달리 보지 않는다면
그런 엄청난 문장들이 나올 수가 없다.
얼마나 많이 보고 새겨보고 다져보면
이렇게나 시린듯 명료하고 절제되고 먹먹한
글을 쓸 수 있냔 말이다.
김애란 작가의 문장 역시 그렇다.
작가의 소박하면서도 번뜩이는 문장에 공감하고
그 탁월한 표현에 정말 적절하다고 맞장구를 쳐준다.

소설가는 소설로 우리에게 말을 건넨다.
그의 말을 들으며 한번씩 아니 항상
난 그들 자체가 궁금하다.
그들이 살아가는 삶이 진하게 궁금해진다.
김애란 산문집 ‘잊기 좋은 이름‘은
그 궁금증을 조금 풀어준다.

처음에 작가의 어머니가 운영한 ‘맛나당‘ 이라는 칼국수집부터 소개된다.
이 ‘맛나당‘은 작가의 단편소설인 ‘칼자국‘에서도
소개되었는데 그 작품에
˝어머니는 국수를 눈 감고도 썰 수 있었다. 오른손이
칼질을 하는 동안 왼 손 손가락 두 개는 칼 박자에 맞춰
아장아장 뒷걸음쳤다.˝ㅡ‘침이 고인다‘ p155
식구들의 삶을 책임지기 위해 시작한 칼국수집, 맛나당에서의 반복된 노동으로 인한
어머니의 칼솜씨의 경지를 보여주기도 한다.
가족들,학창시절에 들은 듀스의 노래,
고향의 풍경들을 발판삼아 성장해왔고
그것이 김애란이란 소설가의 토양이 되었다.
김연수,편혜영,윤성희등 동료작가들에 대한 글들과
언제 들어도 가슴이 먹먹해지는 세월호와 쌍용 자동차해고자들의 얘기속에 이 사회와 사람을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와 다짐이 보이기도 한다.

나와 너와 우리를 부르는 이름들은 잊기 좋지만
그 잊음의 무심함에, 편안함에 슬쩍 기대고 싶진 않다.
정신차리고 세상을 들여다보며 이 모든 이름들을
기억하고 불러야겠다.

˝세상 많은 고통은 사실 무수한 질문에서 비롯된다는 걸˝ㅡp124

˝지금 네가 있는 공간을, 그리고 네 앞에 있는 사람을
잘 봐두라고. 조금 더 오래 보고,조금 더 자세히 봐 두라고. 그 풍경은 앞으로 다시 못 볼 풍경이고, 곧 사라질 모습이니 눈과 마음에 잘 담아두라 얘기해주고 싶습니다.˝ ㅡp133

˝누군가의 문장을 읽는다는 건 그 문장 안에 살다 오는 거라 생각한 적이 있다.문장 안에 시선이 머물때 그 ‘머묾‘은 ‘잠시 산다‘라는 말과 같을 테니까.˝ ㅡp141

˝세상이 아무리 변해도 중요한 질문은 변하지 않는다는 걸.˝ ㅡp181

˝어떤 문장 아래 선을 그으면 그 문장과 스킨십하는 기분이 든다.˝ ㅡp238

˝이해란 비슷한 크기의경험과 감정을 포개는 게 아니라
치수 다른 옷을 입은 뒤 자기 몸의 크기를 다시 확인해보는 과정인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ㅡp252

˝그 이름에 담긴 한 사람의 역사가.시간이, 그 누구도 요약할 수 없는 개별적인 세계가 팽목항 어둠 속에서 밤마다 쩌렁쩌렁 울렸다.˝ ㅡp258

˝우리는 누군가 타인의 고통을 향해 ‘귀를 열지 않을 때‘ ,그리고 ‘마음을 열지 않을‘ 때 그 상황을 ‘미개‘하다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ㅡp262

˝‘이해‘란 타인 안으로 들어가 그의 내면과 만나고, 영혼을 훤히 들여다보는 일이 아니라, 타인의 몸 바깥에 선 자신의 무지를 겸손하게 인정하고 그 차이를 통렬하게 실감해나가는 과정일지 몰랐다.˝ㅡp269

˝그러니 ‘희망‘이란 순진한 사람들이 아니라 용기있는 사람들이 발명해내는 것인지도 모르리라.˝ ㅡp298

이렇게 작가의 문장들이 그렇게 하라고 일러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19-08-30 22:1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작가들은 소설만 잘 쓰는 게 아니라 에세이도 잘 쓰는 것 같아요.
글로 쓴다는 점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점이 많을 것 같은데도요.
페넬로페님, 여름이 지나가고 있어요.
시원하고 좋은 금요일 보내세요.^^

페넬로페 2019-08-30 22:19   좋아요 2 | URL

네,저녁엔 바람이 차다는 느낌까지 들어요^^
금요일 저녁이라 행복하네요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우리 몸이 세계라면‘ ㅡ김승섭

내가 만약 아프다면?
난 병원에 갈 것이고
의사의 진단에 따라 치료하고 약을 먹겠지.
나에겐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

‘우리 몸이 세계라면‘ 은
그 부제목에서 밝혔듯이
분투하고 경합하며 전복되는
우리 몸을 둘러 싼 지식의 사회사다.

그때의 우리 몸은
권력의 구조적이고 조직적인
지식과 관습, 모순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다.
권력,시선,기록,끝,시작,상식이라는 6개의 주제로
작가는 역사적인 사실부터
현실의 문제까지 서술하며
사회역학의 연구자로서 반성과 자세를 얘기한다.

처음엔 가볍게 그냥 지식을 받아들이려 책을 폈다.
그러나 책을 읽어갈수록
결코 가볍지 않은 내용때문에
머리가 무거워지고 가슴이 답답해졌다.
결국 내 몸은 돈과 권력에 의해
살 수도
죽을 수도 있는 것이었다.
막연히 그럴 것이라고 알고는 있었지만
정확한 수치와 그래프로 나타낸 글 앞에서
한번 더 실감하고 인정할 수 밖에.

‘각성하자‘
‘의문을 가지고 질문하고 감시하자‘
고 다짐할들 내 몸이 아프다면?
난 어쩔 수 없이 그 무방비와 암흑의 세계로
걸어 들어 갈 수 밖에.
내 몸이 세계라서
메커니즘적으로 대우받고
그 신성함에 존중받기를 바라며
그 뒤의 좀더 구체적인 방향과 대안 제시를
작가에게 바란다.

*인간의 몸에 대한 지식이 생산되는 과정은 중립적이지 않습니다. p29

*여성의 질병은 남성이 생산해낸 의학지식으로
진단되고 치료 받습니다.p30

*담배회사는 죽음을 판다. p31

*일제강점기의 인종주의 과학은 실증적.정량적 측정이라는 측면에서 과학의 외피를 둘렀지만 결론은
정해져 있었습니다.통치해야 하는 ‘이웃집 원주민‘
조선인에 비해 일본인이 인종적으로 우월함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p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