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락산의 유래

수락산은 의정부시와 남양주군을 경계로 위치하고 있다. 산전체가 화강암과 모래로 이루어져 얼핏보기에는 삭막하고 볼품없이 보일 수도 있으나 안으로 들어서면 전혀 분위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락산은 산세가 웅장하고 곳곳에 다양한 볼거리를 지니고 있다. 수락산에는 세상을 등지고 세상을 방랑하였던 김시습의 자취가 어려있다. 세종은 5세때 신동소리를 듣던 김시습을 무척 아꼈다.

당시 세자였던 문종과 어린 세손인 단종을 향해 '너를 귀히 등용할 두 군왕이다'라고 했을 만큼 김시습의 재주를 높이 샀다. 세월이 흐른 후 수양대군이 단종을 쫓아내고 왕위에 올랐다는 소식을 들은 김시습은 3일 동안이나 문을 닫고 통곡했다. 그후 책을 불사르고 머리를 깎은 그는 중이 되어 세상을 떠돌았다. 정처없이 발길 닿는대로 다니던 그의 발길이 이곳 수락산으로 향했다. 이곳에서 한동안 은거하였던 김시습은 수락산 정상을 비로봉이라 이름짓고 다른 봉우리들도 이름을 지었다고 전해온다.

식장산의 유래

옛날 식장산 자락에 어린 아들을 둔 가난하고 효성이 지극한 젊은 부부가 살고 있었다. 이 젊은 부부는 아들로인해 큰 걱정거리가 있었는데, 산과일이건 나물이건 어머니에게 드리면 어린자식이 먹어치우고 어머니에게 몰래 드리기 위해 아들을 업고 나가면 크게 울어대는 통에 어머니가 마음놓고 그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한분 밖에 없는 어머니를 잃게 될 것을 염려한 부부는 자식은 또 낳을 수 있다는 생각 끝에 아들을 숲속 멀리 묻어 없애기로 했다. 그런데 아들을 묻으러 땅을 파던 부부는 땅 속에서 그릇 하나가 나오자 괴이한 생각이 들어 아들은 다른 날 묻기로 하고 그릇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왔다. 무심코 이 그릇에 담뱃재를 털었는데 다음날 눈을 떠보니 담뱃재가 그릇 그득히 쌓여 있었다. 혹시나 하는 생각에 음식을 조금 담아놓았더니 그릇의 음식이 가득 불어나 있었다. 이때부터 이들 부부는 근심이 없어졌다. 아들을 죽이기까지 하려던 부부의 크나큰 효에 하늘도 감탄하여 큰 보물을 내렸던 것이다.부부는 후에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이 그릇을 산의 어느 곳에 묻었다고 한다. 밥 그릇이 묻혀있는 산이라 해서 식기산 또는 식장산이라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내려 온다.

월아산의 유래
 

월아산은 진주시의 상징적인 산으로 금산면과 문산읍, 진성면에 걸쳐 있다. 월아산의 두 개의 봉우리중 북쪽을 달임산이라 부르고, 남쪽 봉우리는 장군대라고 한다. 이 봉우리를 장군대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은 임진왜란 이후부터다. 지리적 특성상 진주는 다른 어떤 지방보다도 치열한 왜군과의 격전지일 수 밖에 없었고 백성들은 그들의 살육과 약탈에 시달려야 했다. 논개가 이곳 진주에서 왜병장을 안고 물에 뛰어들었던 것은 이런 배경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당시 김덕령 장군은 왜군이 진주로 진격해 오자 월아산에 목책성(木柵成)을 쌓고 왜적을 무찌르는 본영으로 삼았다. 이런 역사적 사실 때문에 이 봉우리에 장군대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월악산의 유래

충북 제천과 충주에 걸쳐있는 월악산은 『삼국사기』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예전에는 월형산(月兄山)이라 불렸다. 월악산의 정상을 영봉 또는 국사봉이라 부르는데, 산의 정상을 영봉이라 부르는 곳은 백두산과 월악산 둘뿐이다. 『 비결잡록』에는 '병화불입지지'라 하여 난리가 나도 안전한 땅이라는 평을 얻고 있다. 그러나 왜 월형산이란 이름을 붙였고 언제부터 월악산이라고 바꿔 부르게 되었는지 정확히 알 길을 없지만 대신 여러 가지 추측이 전해온다. 어떤 이는 월()자가 붙은 산이 대개 인가가 많은 지역의 동쪽이나 남쪽에 있어 사람들이 그 산위로 솟은 달을 보게 된다는 것과 연관짓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이 근처가 서울이 될 뻔하다가 와락 미끄러져 와락산이라 부른 것이 월악산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주왕산의 유래

경북 청송면에 위치한 주왕산은 전설의 산이라고 할만큼 많는 이야기들이 전해오고 있어 신비로움을 더한다. 주왕산은 원래 높고 깎아지른 바위들이 골짜기를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하여 석병산이라 불렸다. 그후 신라 왕자인 주원이 이 산에 은거하게 되면서 주방산이라 하였고 이후 대둔산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신라 때의 일이다. 중국 동진의 왕족인 주도는 스스로 '후주의 천황'이라고 칭하면서 나타났다. 그는 군사들을 이끌고 당나라 덕종 15년에 장안으로 쳐들어간다. 그러나 곽자의에게 패하고 주도는 요동을 거쳐 어찌어찌하여 고려 땅으로 도망쳐 들어왔다. 은신처를 찾던 그는 산 하나를 발견하였다. 지세가 험하고 은거하기에 적합하다 판단한 그는 여기에 머물렀다. 한편 신라 조정은 당의 재촉을 받고 장군을 보내어 주왕을 토벌케 했다. 결국 주왕은 타국땅에서 죽음을 당하게 된다. 그후 이 산을 주왕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역사적 근거는 찾을 수 없다.  -출처 네이버 지식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이에자이트 2011-02-25 2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랑의 유효기간이 끝났군요.꽃도 사랑도 시들게 마련이지요.

후애(厚愛) 2011-02-26 10:24   좋아요 0 | URL
네...
 

 

사랑하는 알라디너 분들 행복하고 즐거운 주말 되세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갈대 -  꽃말  : 신의 믿음, 지혜

 

옛날 중국에 민자건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는 어릴때 어머니를 여의고 계모 밑에서 자라게 되었다. 계모는 건의 집에 들어온 뒤, 두 아이를 낳아서 건에게는 두 명의 동생이 생겼다. 그런데 계모는 자기가 낳은 아이들만을 귀여워하고 전실 소생인 건은 천대하였다.

추운 겨울에 건의 동생들에게 두툼한 솜옷을 입히면서, 건에게는 갈대의 이삭에 붙은 털을 넣어 만든 옷을 입혔다. 얇고 보잘것 없는 옷을 입은 건은 추위에 오들오들 떨며 겨울을 지내야만 했다. 그러나 마음씨가 착한 건은 불평 한마디 하지 않고 묵묵히 견디었다. 어느날 건의 아버지가 이 사실을 알고 크게 노하며 계모를 쫓아내려 하였다. 그러자 건이 나서서 아버지를 극구 만류하였다. 어머니는 결코 나쁜 사람이 아니며 그동안 자신을 매우 따뜻하게 돌보아 주었다고 계모를 변호해 주었다.

건의 말을 들은 아버지는 건의 착한 마음씨에 탄복하여 계모를 용서하였다. 계모도 건의 착하고 깊은 생각에 감동하여 자신의 잘못을 빌고 그 후부터는 동생들과 다름없이 건을 사랑하였다. 건은 중국의 24효의 한 사람이었다.

 - 나리꽃 -  꽃말 : 깨끗한 마음

옛날 한 마을에 한 아리따운 처녀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 고을에는 행동거지가 아주 나쁜 고을 원님의 아들이 있었는데 아버지의 권세를 믿고 모든 악행은 다 저지르고 다녔습니다. 원님아들은 그 처녀를 보고 첫눈에 반해 버렸습니다.

어느날 그녀를 강제로 희롱하려 했으나 처녀가 끝내 자결로서 순결을 지키자 그 처녀를 죽이고 말았습니다. 이후 원님아들은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고 그녀를 양지 바른곳에 묻어 주었는데 훗날 그 무덤위에 한송이가 피어났다고 합니다.

원님 아들은 그 꽃을 거두어 자신이 고이 길렀는데 이 꽃이 나리꽃입니다.

- 국화 -   꽃말 : 굳은 절개

옛날에 장방이라는 현자가 있었다. 어느 날 근항경이라는 사람에게 한 가지 예언을 하였다. "금년 9 9일 자네의 집에는 반드시 재앙이 있을 것이네. 이 재앙을 막으려면 집안 사람 각자가 주머니를 만들어 주머니 속에 산수유를 넣어서 팔에 걸고 높은 곳에 올라가 국화술을 마시면 화를 면하게 될 것이네." 근항경은 장방의 말에 따라 그날 집을 비우고 가족들과 함께 뒷산으로 올라 갔다. 그리고는 장방이 말한대로 국화술을 마셨다. 집에 돌아와 보니 닭이며 개, , , 돼지 등이 모두 죽어 있었다. 장방은 이 소문을 듣고 고개를 끄덕이며 말했다. "그 짐승들은 사람 대신 죽은 것이었다네. 국화술이 아니었다면 자네 식구들은 모두 죽었을 거야." 9 9일 중양절에 높은 곳에 올라가 국화술을 마시거나 부인들이 산수유 주머니를 차는 것은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 달맞이꽃꽃말 : 기다림

한 호숫가에 별을 사랑하는 님프들이 살고 있었다. 이들은 밤마다 별이 잠기는 호수를 들여다 보며 별자리 전설을 얘기하는 것에 더 할 수 없는 행복을 느꼈다. "은하수 한 가운데 백조가 날개를 폈지요. 그 왼쪽의 큰 별이 직녀성이고 그 오른쪽이 견우성이래요. 그렇게 마주 보고 있으면서도 일년에 한 번밖에 못만나니, 어쩜 얼마나 안타깝겠어요.

님프들의 얘기는 밤이면 언제나 되풀이되고 그럴 때마다 님프들은 안타까와 했다. 그러나 그 님프들 중의 한 님프는 그럴수록 더 우울해졌다.  그는 불행히도 별을 사랑할 수가 없었다. 그는 달이 없는 밤이면 미칠 듯이 외로웠다.

달님을 두고 별 따위를 사랑하는 님프들이 미웠다. "별 따위는 없는 것이 좋아요, 달님만 있다면 이 호수가 얼마나 아름다울까." 달을 사랑하는 님프가 몰래 혼자 지껄이는 이 소리를 다른 님프들이 듣고 그들은 참을 수 없는 홧김에 그만 제우스 신에게 일러 바쳤다. 제우스 신은 그 님프를 당장 죽일 듯이 노했다.

달만을 사랑하는 님프는 제우스의 명령대로 달도 별도 없는 황량한 호숫가로 쫒겨갔다.  달의 신 아테미스가 이 사실을 알았다. 아테미스는 자기를 사랑하는 그 님프를 그렇게 고생시킬 수가 없었다. 제우스 신 몰래 아테미스는 그 님프를 찾아 벌판을 헤매었다. 제우스가 이것을 알고 아테미스가 헤매는 곳을 따라 구름으로 태양을 가리고 비를 퍼부어 아테미스를 방해했다. 그 동안 그 님프는 달이 없는 호숫가에서 아테미스를 기다리다 지치고 자꾸만 여위어졌다. 아테미스가 그 황량한 호수에 다달았을 땐 빼빼 말라 쓰러진채 님프는 이미 죽어 있었다. 아테미스는 님프를 안고 서럽게 울다가 눈물이 말라 더 울지 못하게 되었을 때 그 님프를 언덕 위에 묻었다. 무덤에서 피어난 달맞이꽃은 지금도 해가 지면 박꽃처럼 달을 닮아 노란 빛깔로 핀다. -출처 네이버 지식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