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사회의


 사회의 문제를 좌시하지 않겠다 → 나라일을 팔짱끼지 않겠다

 한국 사회의 단면을 분석하여 → 우리 터전을 켜켜이 살펴

 개미 사회의 생활을 연구한다 → 개미 모둠살이를 살핀다

 인간 사회의 현실도 차이가 없다 → 우리 삶터도 다르지 않다


  ‘사회(社會)’는 “1. 같은 무리끼리 모여 이루는 집단 2. 학생이나 군인, 죄수 들이 자기가 속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이르는 말 3. [사회 일반]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형태의 인간 집단 4. [역사] 촌민(村民)이 입춘이나 입추가 지난 뒤에 다섯째 무일(戊日)인 사일(社日)에 모이던 모임”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사회 + -의’ 얼개라면, ‘-의’부터 털고서 ‘삶터·터전·살림터·삶자리’나 ‘판·터·마당’로 손볼 만하고, ‘나라·누리·마을’이나 ‘덩어리·덩이’나 ‘모둠살이·사람살이’로 손볼 만합니다. ‘널리·두루’나 ‘온누리·온나라·온땅·온터’나 “이 땅·이 나라”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만약에 누군가가 우리 사회의 본질적인 문제를 밝히고자 했을 경우 베스트셀러는커녕 잡혀가기부터 합니다

→ 누가 우리 삶터를 이루는 밑뿌리를 밝히고자 했다면 잘팔리는 책은커녕 잡혀가기부터 합니다

→ 누가 우리 삶터에 깃든 속살을 밝히고자 했다면 잘팔리는 책은커녕 잡혀가기부터 합니다

→ 누가 우리 삶터를 낱낱이 밝히고자 했다면 잘팔리는 책은커녕 잡혀가기부터 합니다

《난 월급받는 시인을 꿈꾼다》(오봉옥, 두리, 1992) 119쪽


분명히 낙후되어 있던 사회의 문학청년이

→ 틀림없이 뒤처진 터전인 젊은글님이

→ 아무래도 너절한 삶터에서 푸른글님이

《시란 무엇인가》(유종호, 민음사, 1995) 73쪽


의사들은 한국사회의 가장 대표적인 고소득 전문 직업군이자

→ 돌봄이는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도록 돈 많이 버는 무리이자

→ 돌봄이는 이 땅에서 내로라 할 만큼 돈 많이 버는 이들이자

→ 돌봄지기는 우리나라에서 돈을 많이 벌면서

→ 돌봄일꾼은 이 나라에서 돈을 많이 벌지만

→ 돌봄이는 이 땅에서 돈은 많이 벌되

→ 돌봄지기는 돈만 많이 벌고

《B급 좌파》(김규항, 야간비행, 2001) 249쪽


사회의 룰이란 건, 전부 똑똑한 놈들이 만들고 있지

→ 삶자리 얼개란, 모두 똑똑한 놈이 세우지

→ 삶터에서 지킬 틀이란, 모두 똑똑한 놈이 짓지

→ 마을 얼거리란, 모두 똑똑한 놈이 꾸미지

→ 이곳 틀거리란, 모두 똑똑한 놈이 닦지

《꼴찌, 동경대 가다 1》(미타 노리후사/김완 옮김, 북박스, 2004) 108쪽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무너져 버린 일본 사회의 추악한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수치가 아닌가

→ 사람과 사람 사이가 무너져 버린 추레한 일본을 잘 보여주지 않는가

→ 사람과 사람 사이가 무너져 버린 못난 일본을 남김없이 보여주지 않는가

→ 사람과 사람 사이가 무너져 버린 얼뜬 일본을 오롯이 보여주지 않는가

→ 사람과 사람 사이가 무너져 버린 더러운 일본을 깡그리 보여주지 않는가

《인생이라는 이름의 여행》(고히야마 하쿠/양억관 옮김, 한얼미디어, 2006) 217쪽


우리 사회의 소중한 인적 자원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합니다

→ 우리 터전에 빛나는 넋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합니다

→ 우리나라에 값진 숨결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합니다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은 정당한가》(표창원과 네 사람, 철수와영희, 2016) 176쪽


이 사회의 소수자가 아닐까 생각하기도 해

→ 이 나라에서 적다고 생각하기도 해

→ 이 삶터에서 드물다고 생각하기도 해

《아이, 낳지 않아도 될까요?》(코바야시 유미코/노인향 옮김, 레진코믹스, 2016) 107쪽


사회의 경제 권력에 봉사하는 도구로 되었고

→ 이 나라 돈바치에 이바지하는 길이 되었고

→ 이 나라 돈바치를 돕는 구실을 했고

→ 이 나라 돈바치 곁에 붙었고

《감의 빛깔들》(리타 테일러/정홍섭 옮김, 좁쌀한알, 2017) 54쪽


우리 사회의 시스템이 엉망진창이라는 사실을 모두 알고 있다

→ 우리네 얼개가 엉망진창인 줄 모두 안다

→ 우리 삶터는 기틀이 엉망진창인 줄 모두 안다

《인디고 파워를 깨워라》(도린 버츄·찰스 버츄/여연 옮김, 샨티, 2018) 8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동네서점·동네책방



 동네서점이 동네문화에 미치는 영향 → 마을책집이 마을살림에 미치는 바람

 동네서점을 지역 문화공간으로 변화시킨다 → 고을책숲을 고을쉼터로 바꾼다

 편안한 느낌의 동네책방이다 → 아늑한 작은책밭이다

 동네책방과 협업하여 → 들꽃책터와 함께


동네서점 : x

동네책방 : x

동네(洞-) : 자기가 사는 집의 근처(<洞內)

서점(書店) : 책을 갖추어 놓고 팔거나 사는 가게 ≒ 서관·서림·서사·서포·책방·책사·책전·책점

책방(冊房) : 책을 갖추어 놓고 팔거나 사는 가게 = 서점



  마을에 여는 책집이 있습니다. 마을은 커다란 곳이 아니니, 작게 꾸리는 책터입니다. 고을마다 다 다른 빛살로 책밭이 태어납니다. 매캐하고 시끄러운 큰고장 한켠에 들어서는 책가게란 마치 들꽃 같습니다. 이런 여러 얼거리와 빛살을 헤아려, ‘작은책숲·작은책밭·작은책터’나 ‘작은책집·작은책가게’라 할 만합니다. ‘고을책숲·고을책밭·고을책터’나 ‘고을책집·고을책가게’이라 할 만하고, ‘들꽃책숲·들꽃책밭·들꽃책터’나 ‘들꽃책집·들꽃책가게’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수수하게 ‘마을책숲·마을책밭·마을책터’나 ‘마을책집·마을책가게’라 할 수 있어요. ㅅㄴㄹ



동네서점에서는 북토크 형식으로 많이 진행되고 단골 고객들이 많이 참여하므로 대체로 화기애애한 분위기이다

→ 작은책집에서는 책수다로 꾸리고 단골이 많이 함께하므로 거의 따스한 기운이 감돈다

→ 작은책숲에서는 책마당으로 열고 단골이 많이 함께하니 으레 도란도란 좋다

→ 작은책밭에서는 책잔치로 하고 단골이 많이 함께하니 참 포근하다

→ 작은책터에서는 책뜨락을 차리고 단골이 많이 함께하니 늘 따스한 자리이다

《책사랑꾼, 이색 서점에서 무얼 보았나?》(김건숙, 바이북스, 2017) 64쪽


사람들이 인터넷서점에서 책을 싸게 사면 동네책방은 사라진다

→ 사람들이 누리책집에서 책을 싸게 사면 고을책집은 사라진다

→ 사람들이 누리책집에서 책을 싸게 사면 들꽃책집은 사라진다

《책방 풀무질》(은종복, 한티재, 2018) 174쪽


동네책방이 필요한 독자는 대략 두 가지 유형으로 거칠게 나누어 볼 수 있다

→ 들꽃책숲을 바라는 사람은 얼추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마을책숲을 오가는 사람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동네책방 생존 탐구》(한미화, 혜화1117, 2020) 33쪽


대형서점이나 온라인서점은 차치하고 후발주자로서 다른 동네서점보다 경쟁력을 갖추는 게 쉽지 않을 것 같았다

→ 큰책집이나 누리책집은 둘째치고 뒷내기로서 다른 마을책집보다 잘하기는 쉽지 않을 듯했다

→ 큰책집이나 누리책집은 모르겠고 뒤늦게 다른 마을책집보다 잘하기는 안 쉬울 듯했다

《꽃서점 1일차입니다》(권희진, 행성B, 2021) 24쪽


따라서 그만한 반대급부를 동네책방에서 제공해 주는 게 맞다는 생각이 든다

→ 따라서 그만큼 마을책집이 돌려주어야 맞다고 생각을 한다

→ 따라서 그만큼 마을책집이 갚아야 맞다고 생각한다

《동네에서 서점이 모두 사라진다면》(김현우·윤자형, 화수분제작소, 2022) 116쪽


쿠폰을 무료로 나눠 주면서 동네책방에서 참고서와 만화책을 제외한 책을 사게 하고

→ 덤종이를 그냥 나눠 주면서 작은책집에서 도움책과 만화책을 빼고 사라 하고

→ 꽃종이를 거저 나눠 주면서 고을책집에서 곁배움책과 만화책 말고 사라 하고

《버티고 있습니다》(신현훈, 책과이음, 2022) 5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백지 白紙


 백지에 낙서를 하다 → 흰종이에 끄적이다

 백지 답안지 → 하얀 길눈종이 / 텅 빈 종이

 음악은 백지다 → 노래는 하나도 모른다 / 노래는 깜깜하다 / 노래는 어둡다

 백지로 돌아가서 → 처음으로 돌아가서

 백지로 돌리고 싶다 → 처음으로 돌리고 싶다


  ‘백지(白紙)’는 “1. 닥나무 껍질로 만든 흰빛의 우리나라 종이. ‘흰 종이’로 순화 2. 아무것도 적지 않은 비어 있는 종이. ‘빈 종이’로 순화 3. = 백지상태 4. 어떤 대상이나 일에 대하여 이미 있었던 사실을 없는 것으로 하거나 무효화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백지상태(白紙狀態)’는 따로 사전에 올림말로 나오는데, “1. 종이에 아무것도 쓰지 않은 상태 2. 어떠한 대상에 대하여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 3. 어떠한 일을 하기 이전의 상태 4. 잡념이나 선입관 따위가 없는 상태 ≒ 백지(白紙)”를 가리킨다고 해요. 곰곰이 따진다면 ‘흰종이·빈종이’나 ‘종이·종이쪽’이라 하면 됩니다. 그러나 아직 우리 낱말책에 ‘흰종이·빈종이’가 올림말로 없어요. 얄궂습니다. 때로는 ‘처음’으로 손보면 되고, ‘깜깜하다·어둡다·캄캄하다’나 ‘거품·물거품’으로 손볼 만합니다. ‘맨끝·맨뒤·맨밑’이나 ‘밑바닥·밑자리·바닥·바닥나다’로 손보고, ‘비다·비우다·없다·없애다’로 손봐요. ‘모르다·낯설다·설다’나 ‘하얗다·파리하다·해쓱하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백지’가 네 가지 더 나오는데 모두 털어냅니다. ㅅㄴㄹ



백지(白子) : 바둑돌의 흰 알 ≒ 백(白)

백지(白地) : 1. 농사가 안되어 거두어들일 것이 없는 땅 2. 정해진 근거가 없는 상태

백지(白地) : 아무 턱도 없이

백지(白芷) : [한의학] 구릿대의 뿌리 ≒ 구릿대뿌리·단귀·지(芷)



하얀 백지에다 수없이 직선을 긋는다

→ 하얀종이에다 숱하게 금을 긋는다

→ 빈종이에다 반듯하게 자꾸 긋는다

《이슬처럼》(황선하, 이슬처럼, 창작과비평사, 1988) 73쪽


그것이 백지에 번지며 피어오르는 형상의 기운생동(氣韻生動)

→ 이는 흰종이에 번지며 피어오르는 힘찬 모습

→ 이는 흰종이에 번지며 피어오르는 눈부신 모습

《사람을 그리다》(최정호, 시그마북스, 2009) 591쪽


어설프게 캐서린으로서의 예비지식을 갖고 있는 것보다는, 백지 상태가 차라리 나은 것 아닐까

→ 어설프게 캐서린으로서 미리 알기보다는, 아무것도 없기가 차라리 낫지 않을까

→ 어설프게 캐서린으로서 미리 꾸미기보다는, 아무것도 몰라야 차라리 낫지 않을까

《유리가면 7》(미우치 스즈에/해외단행본팀 옮김, 대원씨아이, 2010) 105쪽


머릿속이 텅 빈 백지 상태라면

→ 머릿속에 텅 비었다면

→ 머릿속에 하얀 종이 같다면

→ 머릿속에 하얗다면

《인도, 사진으로 말하다》(현경미, 도래, 2014) 17쪽


백지 위에 손 그림자 계속해서 춤을 추고 있었다

→ 흰종이에 손 그림자 자꾸 춤을 추었다

→ 하얀 종이에 손 그림자 자꾸 춤을 추었다

《시》(조인선, 삼인, 2016) 78쪽


의도적으로 내 모국어인 한국어를 백지 상태에서부터 쌓아올렸다

→ 일부러 내 겨레말인 우리말을 하얗게 해 둔 채 쌓아올렸다

→ 부러 내 겨레말인 한말을 텅 비워 놓고서 쌓아올렸다

→ 내가 어릴 적부터 쓰던 한말을 일부러 밑바닥부터 쌓아올렸다

《0 이하의 날들》(김사과, 창비, 2016) 148쪽


예의 일이 백지로 돌아갔어요

→ 그때 일이 물거품이에요

→ 그때 일이 없어졌어요

→ 그때 일이 사라졌어요

《러브 인 하우스 1》(타카스카 유에/윤현 옮김, 학산문화사, 2018) 165쪽


아무것도 없는 백지 위에서

→ 아무것도 없는 종이로

→ 빈종이를 펴고

→ 흰종이를 놓고

《변명과 취향》(김영건, 최측의농간, 2019) 92쪽


커리큘럼을 백지 상태에서부터 새롭게 짜야 한다는 점이었고

→ 배움틀을 새롭게 짜야 하고

→ 배움그림을 처음부터 짜야 하고

→ 배움길을 새로 짜야 하고

《중급 한국어》(문지혁, 민음사, 2023) 50쪽


백지와 마주할 때 나는 역광을, 광배(光背)를 얻는다

→ 나는 흰종이와 마주할 때 뒷빛을 얻는다

→ 나는 빈종이와 마주할 때 빛살을 얻는다

《편지의 시대》(장이지, 창비, 2023) 2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 사람들끼리 서로 생각, 느낌 따위의 정보를 주고받는 일. 말이나 글, 그 밖의 소리, 표정, 몸짓 따위로 이루어진다. ‘의사소통’, ‘의사 전달’로 순화

communication : 1. 의사소통, 연락 2. 통신[소통] (수단들) 3. (편지·전화 등의) 연락, 전언

コミュニケ-ション(communication) : 커뮤니케이션, 통신, 보도, 전달



우리 낱말첵이나 영어 낱말책 모두 ‘의사소통’으로 풀이하는 ‘커뮤니케이션’인데, 뜻이 서로 맞거나 흐른다고 할 적에는 ‘이야기·얘기’라 하면 됩니다. “생각을 나누다”나 “생각을 주고받다”나 “말을 섞다”라 해도 어울립니다. ‘나누다·주고받다·섞다’나 ‘잇다·이어가다·이음길·이음목’이라 할 만하고, ‘어울리다·사귀다·마주하다·만나다’라 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말에 의존하지 않는 방식으로 도시야와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밖에 없었는데

→ 말에 기대지 않고 도시야와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었는데

→ 말을 쓰지 않으며 도시야와 생각을 나눌 수밖에 없었는데

《나는 아들에게서 세상을 배웠다》(기류 유미코/송태욱 옮김, 샨티, 2005) 170쪽


가끔은 남자 대 남자의 커뮤니케이션도 필요해

→ 가끔은 돌이와 돌이로서 이야기도 해야 해

→ 가끔은 같은 사내로서 생각도 나눠야 해

《천재 유교수의 생활 31》(야마시타 카즈미/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2) 9쪽


언어적 능욕 대상으로 삼아 구성원 전체가 공유하는 의례적 커뮤니케이션이 음담패설이다

→ 모임을 이룬 이들은 그럴듯하게 꾸민 얘기로 더럼타령을 펴며 깎아내린다

→ 무리를 지은 이들은 겉발린 이야기로 엉큼타령을 펴면서 더럽힌다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우에노 치즈코/나일등 옮김, 은행나무, 2012) 40쪽


손님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생겨나기 쉽다

→ 손님과 말을 섞기가 쉽다

→ 손님과 얘기를 하기가 쉽다

→ 손님과 생각을 주고받기가 쉽다

《황야의 헌책방》(모리오카 요시유키/송태욱 옮김, 한뼘책방, 2018) 204쪽


무슨 책으로 꾸밀지 지휘하고 손님과 어떤 커뮤니케이션을 취할지 조율하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이끌고 손님과 어떻게 만날지 가다듬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다스리고 손님과 어떻게 어울릴지 살피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거느리고 손님과 어떻게 얘기할지 맞추는 일도

《하나의 거대한 서점, 진보초》(박순주, 정은문고, 2024) 33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73 : -들 -의 채소들 무수


글들은 텃밭의 채소들처럼 무수히 열렸다

→ 글은 텃밭 남새처럼 숱하게 열린다

→ 글은 텃밭에서처럼 끝없이 열린다

《호두나무 작업실》(소윤경, 사계절, 2020) 6쪽


글이나 남새는 ‘-들’을 따로 안 붙입니다. “글을 쓴다”나 “글을 읽는다”라 할 뿐입니다. “오이를 딴다”나 “당근을 먹는다”라 할 뿐이에요. 셀 길이 없다고 할 적에는 ‘끝없다·가없다’나 ‘숱하다’라는 낱말로 나타냅니다. ㅅㄴㄹ


채소(菜蔬) : 밭에서 기르는 농작물

무수(無數) : 헤아릴 수 없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