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1.

오늘말. 토막


글을 쓰려면, 이미 쓴 글을 고치고 다시 고치고 새로 고칩니다. 살림을 하려면, 이미 지은 살림을 깁고 또 깁고 거듭 깁습니다. 오래오래 입는 옷이라면, 틈틈이 기우고 손보게 마련이에요. 기름을 먹을 일이 없이 두 다리로 천천히 밟으면서 굴리는 두바퀴도 마찬가지입니다. 알맞고 튼튼한 두바퀴를 목돈으로 마련하고서 꾸준히 손질한다면, 서른 해뿐 아니라 쉰 해나 일흔 해도 거뜬히 달려요. 두고두고 읊는 노래마디를 돌아봐요. 한달음에 써낸 노랫말도 있을 테지만, 꾸준하게 추스르면서 가다듬는 손길을 받기에 오래오래 사랑할 소리마디예요. 도막 하나를 눈여겨봅니다. 토막 하나를 대수로이 살핍니다. 동강 하나를 알뜰히 다루면서 언제나 이 삶자락에서 두런두런 쓸모를 헤아립니다. 처음부터 걸맞기를 바라지 마요. 처음에는 들어맞지 않을 수 있어요. 조각도 짝도 차근차근 손대는 동안 손길을 타면서 빛납니다. 어울리는 새날에 이르도록 마음을 기울이기에 반짝반짝 나란히 서거든요. 동무한테 띄우는 글월을 쓰고 고쳐씁니다. 스스로 되새길 이야기를 다듬고 쓰다듬습니다. 늘 이렇습니다. 모든 곳에서 같아요. 씨앗 한 톨을 보듯 일머리를 잡습니다.


ㅅㄴㄹ


고치다·고쳐쓰다·깁다·기우다·손대다·손보다·손질하다·추스르다 ← 하자보수(瑕疵補修)


글·글발·글월·노래마디·노랫말·노랫글·소리마디·대목·마디·도막·동강·토막·조각·짝·바닥·자락·톨 ← 소절(小節), 악구(樂句), 프레이즈(phrase)


맞다·걸맞다·들어맞다·알맞다·들다·들어가다·되다·이르다·맞먹다·어울리다·얽히다·이다·있다·잇다·그·그런·그렇다·이·이런·이렇다·같다·똑같다·마찬가지·나란하다·그런 일·그 같은 일·쓸데·쓸모·쓸일 ← 해당(該當), 해당사항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1.

오늘말. 들고일어서다


사람다이 살아가는 길을 아침에 일어나면서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스스로 들꽃너울을 이루는 하루를 그리고, 둘레에 들빛너울이 일렁이는 살림을 헤아립니다. 해돋이를 지켜보면서 멀고 가까운 하늘을 살핍니다. 구름이 있으면 구름결을 읽고, 구름무리가 짓는 구름빛을 포근히 받아안습니다. 곧잘 두바퀴를 달려서 바다로 나들이를 갑니다. 천천히 고개를 넘고 들길을 가르면서 바닷가에 서면, 기운차게 들고일어서는 물결도 보고, 이 물살마냥 이 삶도 파랗게 물들면서 흘러가는구나 하고 느껴요. 우리는 촛불바다를 이루면서 허튼 우두머리를 끌어내리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촛불모임을 등에 업고서 엉뚱하게 힘과 돈과 이름을 거머쥐는 다른 무리가 있군요. 눈을 부릅떠야 얼뜨기를 알아차리지 않아요. 붉은눈으로 씨름하지 않더라도, 해뜸처럼 마음뜸과 눈뜸이라는 마음일 적에는, 누구나 살림바다에서 깨닫는 숨결이 있게 마련입니다. 서두르느라 내달리면 눈을 못 뜹니다. 빨리빨리 다그치면서 달려들면 마음이 갇힙니다. 우리 눈에 스스로 씌운 들보부터 떨치고서 어린이랑 어깨동무하는 길로 일어서야지 싶어요. 살림모임을 짓고 사랑모임을 펼 오늘입니다.


ㅅㄴㄹ


구름·구름떼·구름밭·구름무리·구름물결·구름바다·구름같다·구름처럼·나라너울·나라물결·들불·내달리다·내닫다·내뛰다·달려들다·덤비다·너울·너울거리다·너울길·너울판·너울바람·너울결·놀·바다·바닷결·물결·물꽃·물발·물살·몰개·물결치다·물줄기·들고일어나다·들고일어서다·떨치다·들물결·들너울·들꽃물결·들꽃너울·들빛물결·들빛너울·들풀물결·들풀너울·살림너울·살림물결·살림바다·삶너울·삶물결·삶바다·삶꽃너울·삶꽃물결·삶꽃바다·삶빛너울·삶빛물결·삶빛바다·-랑·-이랑·-과·-와·-뿐·-하고·모이다·모여들다·모임·몰려들다·몰려가다·부릅뜨다·붉눈·붉은눈·씨름·씨름하다·아침맞이·어깨동무·해돋이·해뜸·일다·일어나다·일어서다·치닫다·팔짝·초·촛불·촛불물결·촛불너울·촛불모임·촛불바다 ← 시위(示威), 집회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5.1.

오늘말. 고약하다


겨울이면 눈송이가 춤짓으로 일렁이면서 내려앉습니다. 봄이면 꽃송이가 물결치면서 향긋합니다. 여름이면 잎빛이 너울너울 그윽합니다. 가을이면 온들이 노랗게 너울바람입니다. 철마다 논둑길을 걸으면서 다 다른 너울판을 마주합니다. 걷다가 하늘을 올려다보면 구름밭이 대단한 날이 있고, 그저 새파랗게 물든 날이 있습니다. 들과 숲은 들빛과 숲바람으로 상큼하지만, 이곳에 풀죽임물을 뿌리면 고약하지요. 살림물인 빗물이 아니라면, 살림길인 해바람이 아니기에, 온통 구린내가 코를 찔러요. 왜 죽임물을 만들어서 뿌릴까요? 왜 살림빛하고 등질까요? 까맣게 타버린 들풀을 보노라면 그만 후덜덜합니다. 풀죽임물은 풀만 죽이지 않아요. 풀벌레도 새도 나비도 죽이고, 물도 죽일 뿐 아니라, 마침내 사람까지 죽입니다. 흔들흔들 팔랑거리는 풀잎을 쓰다듬으면서 놀이집을 떠올립니다. 따로 마련해야 어린이집일 수 없습니다. 온누리 어디나 돌봄집일 노릇입니다. 우리 보금자리도, 골목과 마을도, 바다와 멧자락도, 온통 어린집이나 일터이나 한마당일 적에 이 나라가 아름다워요. 휘청거리는 굴레를 내려놓기를 바라요. 그만 기우뚱하고, 이제 풀빛으로 나부껴요.


ㅅㄴㄹ


놀이집·놀집·돌봄집·보살핌집·어린이집·어린집 ← 유치원


고리다·고린내·고린짓·고리타분하다·구리다·구린내·구린짓·구리터분하다·고약하다·찌르다·코를 찌르다·풍기다·울리다·움직이다·흔들다·휘감다·휘날리다·휘청·휩싸다·구름·구름떼·구름밭·구름물결·구름바다·기울다·기우뚱·기우듬·뒤뚱·뒤뚝·나다·나부끼다·나풀거리다·너울거리다·너울길·너울판·너울바람·너울결·추다·춤·물결치다·일렁이다·팔랑거리다·넘치다·대단하다·뜨고 지다·지고 뜨다·덜덜·후덜덜·떨다 ← 진동(振動)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일반대중·일반백성·일반시민



 일반대중의 관심을 지나치게 과장할 필요는 없다 → 사람들 눈길을 부풀릴 까닭은 없다

 일반대중들의 눈높이에 맞는 작품을 쓸 것을 요구한다 → 여느 눈높이에 맞춰 쓰기를 바란다

 점차 일반백성들이 이용하기는 더욱 어려워져 갔다 → 차츰 누구나 쓰기는 더욱 어렵다

 과연 일반백성들의 이익과는 별로 관계없는 것이 → 참으로 우리 몫과는 동떨어졌으니

 물론 일반시민의 참여를 유도하지만 → 다만 누구나 함께하기를 바라지만

 그 과정에서 일반시민의 의견을 청취한다면 → 이 길에 수수한 목소리를 듣는다면


일반대중 : x

일반백성 : x

일반시민 : x

일반(一般) : 1. 한모양이나 마찬가지의 상태 2. 특별하지 아니하고 평범한 수준. 또는 그런 사람들 3. 전체에 두루 해당되는 것

대중(大衆) : 1. 수많은 사람의 무리 2. [사회 일반] 대량 생산·대량 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대다수의 사람. 엘리트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수동적·감정적·비합리적인 특성을 가진다 3. [불교] 많이 모인 승려. 또는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백성(百姓) : 1. 나라의 근본을 이루는 일반 국민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 국본·지민 2. 예전에, 사대부가 아닌 일반 평민을 이르던 말 ≒ 생치

시민(市民) : 1. 시(市)에 사는 사람 2. 국가 사회의 일원으로서 그 나라 헌법에 의한 모든 권리와 의무를 가지는 자유민 ≒ 공민 3. [역사] 서울 백각전(百各廛)의 상인들



  한자말로 ‘대중·백성·시민’이라 할 적에는 이미 ‘여느’라는 뜻이 깃듭니다. 이 한자말 앞에 ‘일반’을 붙이면 겹말입니다. 수수하게 ‘돌이순이·순이돌이’나 ‘둘레·이웃·이웃사람·들사람’이라 하면 됩니다. ‘들꽃사람·들빛사람·들내기·들꽃내기·들빛내기’나 ‘들꽃·들풀·길꽃·길풀’이라 할 만하고, ‘여느빛·여느꽃·여느사람·작은꽃·작은풀·잔꽃·잔풀’이나 ‘꽃·풀·풀빛·풀사람·초·촛불’이라 할 수 있어요. ‘바닥꽃·바닥풀·시골꽃·시골풀·앉은꽃·앉은풀’이나 ‘풀님·풀내기·풀꽃사람·풀꽃내기·풀빛사람·풀빛내기’라 하면 되고, ‘사람·사람들·옆사람·널리·누구나·우리’라 하지요. ‘수수하다·수수님·수수벗·투박하다·흔하다·흔한사람·흔한꽃’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일반백성들로서는 중용의 道를 오래 지키는 사람이 적은 것이다

→ 풀사람으로서는 가운길을 오래 지키기는 힘들다

→ 곧은길을 오래 지키는 여느사람은 적다

→ 바른길을 오래 지키는 사람은 적다

《論語新解》(김종무 옮김, 민음사, 1989) 133쪽


일반 대중을 위해서 신경 쓰는 일 중에 하나는

→ 둘레에 마음쓰는 일 하나는

→ 널리 마음쓰는 일이라면

→ 우리한테 마음쓰는 일로

《핀란드 디자인 산책》(안애경, 나무수, 2009) 153쪽


환경단체들의 끈질긴 반대운동이 내린천을 일반대중에게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고 말았다

→ 들풀모임이 끈질기게 맞서는 동안 내린내를 널리 알리고 말았다

→ 들꽃모임이 끈질기게 맞서는 사이 내린냇물을 외려 널리 알렸다

《후투티를 기다리며》(송명규, 따님, 2010) 164쪽


이렇게 맛있는 것을 일반 시민이 먹는 것은 사치라며

→ 이렇게 맛있는데 누구나 먹으면 꼴값이라며

→ 이렇게 맛있으니 여느사람이 먹기엔 배부르다며

《요리조리 세계사》(손주현·여희은, 책과함께어린이, 2019) 132쪽


일반 시민에게 책을 보급시키기 위해 식자율을 높일 계획도 잘 생각해 뒀어요

→ 사람들하고 책을 나누려고 글눈을 높이는 길도 잘 생각해 뒀어요

《책벌레의 하극상 2부 4》(카즈키 미야·스즈카·시이나 유우/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21) 17쪽


일반 백성들은 글자를 알 필요가 없다고도 생각했고

→ 사람들이 글씨를 알 까닭이 없다고도 여겼고

→ 누구나 글을 알아야 하지 않는다고도 보았고

《아빠가 들려주는 한글 이야기》(김슬옹, 한솔수북, 2022) 18쪽


한자는 어려운 글자인 데다 우리말과 맞지 않으니 시간 없는 일반 백성들은 깨칠 수가 없었어요

→ 중국글은 어려운데다 우리말과 맞지 않으니 바쁜 사람들은 깨칠 수가 없어요

→ 중국글씨는 어려운데다 우리말과 안 맞으니 벅찬 풀꽃사람은 깨칠 수가 없어요

《여기는 집현전》(손주현·이혜정, 책과함께어린이, 2022) 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85 : 동네책방 필요 독자 대략 유형 거칠게


동네책방이 필요한 독자는 대략 두 가지 유형으로 거칠게 나누어 볼 수 있다

→ 들꽃책숲을 바라는 사람은 얼추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마을책숲을 오가는 사람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동네책방 생존 탐구》(한미화, 혜화1117, 2020) 33쪽


마을에 있는 책집은 ‘마을책집’입니다. ‘작은책터’요, 들꽃을 닮아 ‘들꽃책숲’이에요. 우리는 마을책터로 책마실을 갑니다. 여러모로 책을 바라기에 나들이를 해요. 이 보기글에는 “두 가지 유형”이라 나오는데, 겹말입니다. 군더더기 ‘유형’을 털어냅니다. “거칠게 나누어”는 잘못 쓰는 옮김말씨입니다. 더구나 “대략 거칠게 나누어”로 적은 셈이니, 겹말이기까지 합니다. ‘얼추’나 ‘크게’로 고쳐씁니다. ㅅㄴㄹ


동네(洞-) : 자기가 사는 집의 근처(<洞內)

책방(冊房) : 책을 갖추어 놓고 팔거나 사는 가게 = 서점

필요(必要) : 반드시 요구되는 바가 있음

독자(讀者) : 책, 신문, 잡지 따위의 글을 읽는 사람 ≒ 간객

대략(大略) : 1. 큰 모략(謀略) 2. 대강의 줄거리 ≒ 애략(崖略) 3. 대충 줄거리만 추려서 4. 대충 어림잡아서

유형(類型) : 1. 성질이나 특징 따위가 공통적인 것끼리 묶은 하나의 틀. 또는 그 틀에 속하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