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늠‘은 눈으로 보아 가며 맞고 안 맞고를 조절하는 걸 일컫는 말이다. 가늠의 어원은 ‘간험‘看驗이고, 눈으로 보고 실험하여 알맞게 하는 걸 의미했다. 예컨대 화살을 쏠 때 과녁과의 거리를 재는 게 가늠이다. 총기의 가늠쇠, 가늠구멍, 가늠자 등도 마찬가지다. 이에 연유하여 ‘가늠‘은 목표에 맞고 안 맞음을 헤아리는 표준, 어떤 표준이 될 만한 짐작을 뜻한다. - P22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술자리에서 주거니 받거니 하는 대작對酌을 즐겼다. ‘참작‘은 이러한 대작 문화 산물이다. ‘참작‘은 본래 술잔의 양을 헤아리는 것을 의미했다. 하여 ‘참량‘參量이라고도 했다. 전통적으로 상대방에게 술을 따를 때는 일정한 양이 있었으니, 넘치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적당히 따라야 했다. 그러자면 술을 얼마만큼 잔醆에 따랐는지 헤아려야參 했다. ‘참작‘이란 여기에서 유래한 말로, 오늘날 ‘참고하여 알맞게 헤아리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말로는 ‘헤아림‘으로 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 P23

‘어림쳐서 헤아림‘ ‘겉가량으로 생각함‘이라는 뜻의 ‘짐작‘도 음주 문화의 산물이다. 짐작의 어원은 ‘참작‘參酌이고 술 따를 때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걸 의미했다. 참작이 얼마만큼 따라야 할지 술잔을 보며 참고하는 것이라면, 짐작은 술 따를 시기를 마음으로 헤아리는 걸 뜻한다. ‘침량‘斟量이라고도 하지만 후에 침작과 침량은 쓰이지 않고 ‘짐작‘으로 바뀌었다. 현재 짐작은 ‘사정이나 형편 따위를 어림잡아 헤아림‘이라는 뜻으로 통한다. - P23

‘녹초가 되다‘라는 말은 ‘아주 맥이 풀리어 늘어지다‘라는 뜻이다. 본래 ‘녹초‘는 ‘녹은 초‘라는 뜻이지만, 지쳐서 축 처진 사람 모습이 마치 녹아내린 초를 연상시키므로 몹시 지친 상태를 뜻하는 말로도 썼다. 다시 말해 녹초는 녹아 흘러내린 초처럼 물건이 낡고 헐어서 보잘것없이 된 상태를 이르는 말이었다. 지금은 주로 사람이 맥이 풀어져 힘을 못 쓰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나타낼 때 쓴다. - P83

그렇다면 지쳤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피곤한 상태를 나타내는 말 ‘지치다‘는 원래 ‘배탈이 나서 묽은 똥을 싸다‘라는 의미를 가진 말이었다. 요컨대 설사하는 걸 이른 말인데, 설사를 하면 대부분 몸에 기운이 빠지고 피곤을 느끼게 된다. ‘지치다‘는 그런 상태를 표현한 말이다. 그리하여 힘든 일을 하거나 병·괴로움 따위에 시달려 기운이 빠졌을 때 ‘지치다/지쳤다‘라는 말을 사용한다. - P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가 어른들 대화에 불쑥 끼어들 경우, 대화를 나누던 어른이 발끈해서 내뱉을 수 있는 말은 "웬 간섭이야."라기보다 "웬 참견이다."다. (…) 그런가 하면 부모의 훈육을 두고 간섭이라고 할 수는 있지만 참견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 이러한 차이는 행위의 영향력 유무에서 온다. 간섭은 우월적 지위를 가지고 상대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것을 뜻하고, 참견은 별다른 영향력 없이 공연히 상대의 일에 끼어드는 것을 뜻한다. 전자는 제 주장을 관철하려는 의지가 강한 반면, 후자는 그런 의지가 약하다. 그래서 참견을 물리치는 것보다 간섭을 물리치는 것이 더 어렵고 부담스럽다. - P30

‘강의‘는 대학이나 학원 등에서 학생이나 수강생 등을 대상으로 하여 주로 학술적·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다루는 데 반해, ‘강연‘은 불특정한 장소에서 일반인(대중)을 대상으로 하여 주로 일반교양이나 생활 지식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음을 무릅쓰고 정의를 위해 법정 투쟁을 중단하지 않았던 미하엘 콜하스, 309일간 크레인 농성을 벌였던 김진숙 지도위원, 성폭행에 가담한 외손자를 고발하는 영화 <시>의 주인공 양미자는 모두 안티고네죠. 이들은 우리가 손가락질 받거나 두려워서 하지 못하는 일을 죽음충동에 이끌려 해냅니다. 한마디로 미친 것인데, 미치지 않으면 주체가 될 수 없고, 윤리적이 될 수 없죠. - P60

한때는 문화적이고 문학적이 된다는 것이 진보와 해방을 의미했지만 점점 자본과 체제를 구성하는 중요한 행위자가 되어가는 것 같아요. 안타까운 것은 ‘문화의 덫‘에 걸린 인간은 분노와 슬픔에 둔감해진다는 거예요. 분노하고 슬퍼할라치면, 문화라는 바셀린 연고가 자본과 기술 문명에 얻어맞고 찢긴 상처에 살포시 내려옵니다. 많은 작가와 예술가가 그 과정에서 ‘멘토‘가 되고 ‘셀럽‘이 되기도 하죠. 이를테면 연쇄살인마가 출현하거나 엽기적인 사건이 벌어지면 그걸 소재로 삼은 시와 소설이 등장할 뿐더러, 연극이나 영화로도 만들어지죠. - P117

제가 깜빡한 것이 있습니다. 제 나이쯤 되면 이제 선물을 받는 사람이 아니라 주는 사람이 된다는 걸요. 잔뜩 기대에 찬 아이들을 생각하며 흐뭇한 마음으로 선물을 고르는 사람들에겐 성탄 전야가 또 다른 설렘으로 다가올 텐데 저는 너무 쉽게 나이를 먹어서 별 감흥이 없다고 말해버렸네요. 그러고 보면 아이를 낳아봐야 어른이 된다는 말에도 새길 듯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받는 사람‘에서 ‘주는 사람‘으로의 변화 같은 거 말이지요. 누군가의 터무니없는 요구에 자신의 것을 기꺼이 내어주어야 할 때가 있다는 걸 깨닫는 순간 어른이 되는 건 아닐까요. - P2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은 OECD 국가 가운데 남녀 간 임금 격차가 가장 큰 나라로 꼽힌다. 2000년 OECD 평균의 남녀 간 임금 격차는 18.1%, 한국은 41.7%였다. 2020년 한국의 남녀 간 임금 격차는 31.4%로 크게 감소했지만, OECD 평균인 12.5%(2019년 기준)와는 여전히 차이가 컸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남녀 임금 격차 부문에서 꼴찌를 기록했다. - P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어른에게는 자신을 어린아이로 만들어줄 사람이 필요하다.그건 가족일 수도, 연인일 수도, 친구일 수도, 스스로일 수도 있다. 그런 존재가 없는 인생은 버티기 힘들 것 같다. 난 언니들이 있어서 이만큼 산다. - P14

라디오를 듣다가 청취자가 보낸 고민 사연에
‘매사에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마무리하는 사람이 있었다. 하지만 그런가? 마음가짐이 중요하다는 말은 곧 마음을 그렇게밖에 못 먹는 네 잘못이라는 얘기잖아.
이 세상에 마음가짐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거의 없다.
그걸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만 불행해진다.
나는 왜이럴까, 나는 왜 이모양일까 하면서.
마음을 어려워하는 사람에게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라는 말만큼 폭력적인 말이 어디 있다고.
그 말을 하는 그 사람은 정작 자기 마음 간수는 잘 하고 사는지 궁금하다. 말한 것처럼 잘 안 될걸? - P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