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도 식스핏언더에서 진짜 좋은 장면이다. 

미대 들어간 클레어가, 학교에서 만나서 영혼의 쌍둥이(아 이 말로 나중 웃기는 대사를 브렌다가 하기도 하는데...;)로 처음엔 착각하는 러셀과 사귀기 직전, 클레어 방에서 화집 같이 보면서 예술, 예술가로서 그들의 야망에 대해 얘기하는 장면. 


내가 tv에서 원하는 전부를, 전부를 넘어 120% 보여준다고 

경이감 속에 감사히 보았던 장면. 이 장면 나중에 둘이 그들 선생인 올리비에의 친구가 와서 했던 강연 참석한 다음 

LA 근교 설치 미술을 보러 가서, 종이봉투에 담아온 술 병나발 불면서 예술가로 성공한다는 건 무슨 뜻이냐..... 에 대해 얘기하는 장면도, 내 인생의 장면이었다. 둘 다 서로에게 깊이 반해있는 것만으로도 흥분되겠지. 거기, 너와 나는 아티스트다... 가 있고 술도 마셨음. 삶이 가능성으로 충만해서 가능성을 숨쉬는 것같은 상태.. 하여튼 둘 다 극히 흥분해서 말한다. 러셀은, 반 고흐는 귀를 잘랐다고!! : 이런 얘기 하고, 클레어는: 




성공이 뭐야? 

돈이야? 

명성이야? 

비평가들이 날 빨아주는 거야? 

아니면........ 내가 좋은 작업 했다는 걸 나 자신이 아는 거야? 

(.....) 내가 취했나봐. 내가 취해서 헛소리하는 거지? 




(보셨다면 공감하십니다, 보시면 아십니다) 이런 장면, 이런 대사를 내가 보다니 

여기선 정말 고마워서 울고 싶은 심정이었고 나중 나는 이 대사를 수업에서 여러번 썼다. 성공이 주제일 때, 

실은 그게 돈도 아니고 명성도 아니고 누구 남의, 특히 내게 중요하지 않은 사람의 칭송도 아니고, 내가 좋은 삶을 살았다고 나 자신 아는지 아니면 내가 한 일이 좋은 일이었다고 누가 알아주지 않더라도 나는 아는지.. 이게 기준이어야하지 않을까. 


아래 포스트에 쓴

영혼이 털린 일 다음 

이건 아무래도 생활이 부산하기 짝이 없어서 일어나는 일이겠으니 

알라딘 서재도 좀 그만 하든가 하고 내 앞에 있는 길지 않은 (ㅎㅎㅎㅎㅎ 연장이신 분들에겐 우습겠다만 그러나 그런 분들은 알라딘 서재를 안하시겠고) 시간을 잊지 않으며 뭘 하든 제대로 정신 차리고 하도록 해


야겠다는 생각을 한 것 같은데 

담배 피우며 오가다 보니 이런 포스트를 쓰고 있고 

식스핏언더는 과연.. 정말.. 아무리 칭송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Georg Lichtenberg, The Waste Book (2000) 



1846년 8월 10일, 극작가 프리드리히 헵벨은 

이후 자주 인용되는 다음의 문장을 일기에 썼다. "나라면 장 파울과 불멸이 되느니 리히텐베르크와 잊혀지겠다." 이 말은 요즘 독자들의 얼굴에 미소가 떠오르게 할텐데, 장 파울의 불멸은 실상 요절한 반면 리히텐베르크는 계몽시대 독일을 대표하는 저자들 중에서도 가장 널리 기억되고 있기 때문이다. 1799년 2월 24일 그가 세상을 떠나고 두 세기가 흐르는 동안, 그는 독일 작가들이 가장 좋아하는 작가가 되는 데 거의 성공했다. 괴테는 연구할 가치가 -- "극소수의 저자만이 갖는 방식으로" -- 있는 저자로 그를 칭송했다 (Goethe commended him as being worthy of study "in a way that few are."). 쇼펜하우어는, 다른 사람을 가르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 생각하는 것이 가장 큰 즐거움이므로 생각하는 진정한 철학자로 그를 지목했다. 니체는 리히텐베르크의 단장들을, 괴테를 제외하면 읽고 또 읽을 가치가 있는 단 네 권의 독일 책들에 포함시켰다. 





*게오르크 리히텐베르크(1742-1799)의 단장들을 모은 책. 

위에 옮겨 온 건 역자 해설의 한 대목이다. 역자는 니체 번역, 연구로 유명한 R. J. 홀링데일. 


괴테를 제외하고, 읽을 가치가 있는 단 네 권의 독일 책들에 니체가 이 책을 포함시켰다는 얘길 보니 

왜 이 책을 이제야 알게 됐나 이상하기까지 하다. 이런 책이 (저자는 물론이고) 있는 줄을 안 게 한 달이 되지 않는다. 실은 이 때문에 며칠 정신없고 극히 심란했던게, 누군가 "아래의 단장을 니체가 썼을 것 같은가? (단장 인용) 니체가 쓴 것처럼 보이겠지만 아니다, 18세기의 리히텐베르크가 쓴 것으로서..." 이런 얘길 쓰고 있는 걸 보고, 그런데 인용된 단장이 거기 담긴 사상이나 그걸 담고 있는 언어나 막강해서 (세상엔 정말 좋은 책이, 숨은 좋은 책들이 있구나..) 거기서 바로 알라딘에서 주문을 했는데 


책을 받고 보니 어디서 읽었는지, 그 막강했던 단장은 어떤 거였는지 

전혀 기억이 나지 않았음. 책을 받고, 아 맞다 어디서 이 책 얘길 하는 걸 보고 내가 산 책인데 그 책은?? 

도저히 기억할 수 없음 앞에서, 순간 머리가 날아간 것같고 속이 (내장 전부가) 탈탈 털리는 느낌? 망연자실. 

한 달 안쪽이므로 책상 오른쪽에 쌓여있는 책들을 다시 뒤지면서 (우선 색인부터) 찾아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으나, 어제 오늘 뒤졌음에도 찾지 못함. 


영혼이 털린 상태에서... 

내 영혼을 그런 식으로 턴 책에 대한 기록을 일단 이 정도 남김. 길게 이 얘기 저 얘기 산만하게 쓰려고 했는데, 이 지점에서 기운이 쭉 빠지고 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범한 사람이 관습에 묶인 사회에서 살 때 어떤 위험이 있는지 쓴 영국인이 있다. "이렇듯 이질적인 인물은 

처음엔 그 사회에 순응한다. 그러다 슬퍼하고, 그러다 아프고, 그러다 죽는다. 셸리는 뉴잉글랜드에선 살 수 없었을 것이다. 미국에서 셸리, 셸리의 족속은 나올 수 없다." 우리의 횔덜린과 클라이스트, 이들 말고도 얼마나 더 있을지 누가 알랴만, 이들은 그들의 비범함 때문에, 그리고 소위 독일 문화라는 것의 기후와 풍토를 견딜 수 없어서, 파멸했다. 강철같은 본성을 타고난 사람들만이, 베토벤이나 괴테, 쇼펜하우어, 바그너 같은 사람들만이 꼿꼿이 서 버틸 수 있는 곳이 독일이다. 하지만 이런 강한 사람들에게서도 오랜 세월 진을 빼는 투쟁이 남기는 흔적을 본다. 이들은 숨을 거칠게 몰아 쉬고, 걸핏하면 소리 지르며 말한다. 괴테와 알고 지냈던 프랑스 외교관이 있었다. 괴테를 본 그는 "보라 여기 큰 슬픔을 알았던 사람이 있네! Voilà un homme, qui a eu de grands chagrins!"고 말했다 하는데, 괴테 자신이 이 말을 "고생 깨나 했던 또 한 사람이 여기 있어! There is another one who has had a hard time of it!"고 번역했다. 그리고 덧붙이기를: "우리가 견뎌야했던 고통의 흔적이 우리 얼굴에서 지워지지 않는다면, 그렇다면 인생에서 우리가 했던 일에서도 그같은 흔적이 사라지지 않을 것임은 당연하다." 이게, 독일의 문화적 속물들이 독일인 중에서도 가장 행복한 독일인이라고 불러대는 바로 그 괴테다. 그들이 그런 말을 하는 건, 따라서 그들 사이에서 사는 건 행복하지 않을 수가 없는 일임을 증명하고자 해서다. 그들 사이에서 살면서 불행하거나 외롭다면, 그건 그 사람에게 문제가 있어서라고 말하는 것이다. ("교육자로서의 쇼펜하우어" 3절)




한국 현실로 바로 번역되는 문장들이 가장 많은 니체 책이 <반시대적 고찰>일 듯. 

"거칠게 숨을 몰아 쉬고, 걸핏하면 소리지르는" 사람들, 그들이 꼭 강한 사람들은 아니더라도 그들 역시 진을 빼는 투쟁을 오래 견딘 사람들이라, 그들이 바로 세 명쯤은 보이는 것 같다. 슬퍼하다 아프고 죽은 사람들... (한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BC 제작 Brief History of Disbelief, 

그리고 그거 만들며 나왔던(남았던) 인터뷰 촬영분으로 만든 Atheism Tapes. 

이것들 보면서 약간 놀라며 생각했던 하나가 뭐냐면, 조나던 밀러의 제스처. 





구글 이미지 검색해 보면 검색되는 것들 중 이런 것 있다.  

손에 얼굴 괴는 이 자세도 그랬지만 가장 깊은 인상 남긴 건 양손을 머리 뒤로 돌려 깍지끼기. 





근접하는 자세가 그림으로 있다. 

위의 BBC 다큐들 보면 밀러가 이 자세 포함 

뭔가 자세부터가 지식인......... 인 모습 계속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들을 보던 나는 아 정말 그래, 자기 방식으로 자기 생각을 하는 사람만이 

어울리게 할 수 있는 자세, 제스처가 있어. 그렇지 않은 사람이 하면 바로 웃겨지지만 그런 사람이 하면 

언제나 자연스럽고 보는 사람을 안심시키지. 


그리고 나는 한국 남자들에게서 그런 자세, 제스처 본 적은 거의 없다는 걸 기억했는데 

그 기억을 하자마자 위의 내 생각이 강력히 증명된 것 같았다. (웃어야 한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양인'들이 제스처가 많은 건 그들의 문화가 그래서고.. (우린 우리 문화가 이래서고...) 

이게 아닌 것 같다. 몸의 움직임은 반드시 정신의 표지. 혼자서라도 생각이 들끓을 때 나올 손발짓 몸짓이나 ;;; 진짜 토론, 논쟁이 일어날 때 하게 될 그것들이.... 문화를 초월할 것같단 생각 듬. 완전히는 아니라도 아주 많이. 


 


*아 이 포스트도 정작 하려던 얘긴 지금말고 나중. 

두부조림을 안주로 (넘 맛있다며) 맥주 마시다 쓰곤 

졸음이 쏟아진다. 어제-오늘 사이 제대로 못 잔 잠이 이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니체는 목사의 아들이었고 주를 향한 경외 속에서 자랐다. 

이것이 협잡 분쇄자(sham-smashers)와 자유사상가의 수련을 위한 이상적 환경이다. 

회의가 신성모독이고 질문이 범죄인 곳, 깊은 신앙이 지배하는 환경에서 예민하고 분방한 지성을 가진 소년이 청년기에 진입하게 하라. 턱에 수염이 나자마자 소년은 반항을 시작한다. 부모의 권위가 갖는 압도적 허세 옆에서 자기 존재는 미미할 뿐이라고 느끼는 한, 소년은 양순하며 심지어 독실할 수도 있다. 그러나 권위란 유한하고 변덕스러운 무엇, 너무나 인간적인 무엇임을 그가 아는 때, 부모도 인간에 불과하며 그 자신처럼 틀릴 때가 있음을 알면, 소년은 다급히 지성의 통곡의 벽으로 달려갈 것이다. 자신의 방식에 따라 자신의 생각을 하기 위하여. 그리고 맑은 하늘 아래에서 자신의 신을 경배하기 위하여. 




오늘 받은 책 중에 이것. 

이런 문장들로 시작한다. 처음 두 문장이 웃겼다. 니체의 어린 시절을 이렇게도 요약할 수 있구나. 

H. L. 멘켄은 대학원 시절 무엇인가 읽었다. 읽고 기록을, 그것도 여럿 남겼다고 기억하는데 도저히 찾아지지 않는다. 그때도 웃고 좋아했던 게 분명해서 어떤 문장들을 좋아했던 건가 궁금하긴 하다. 


니체에 관한 무슨 책에서 멘켄의 이 책 (이것이, 영어권에서 나온 최초의 종합적인 니체 접근이라고 한다) 논의하는 걸 봄. 이 책이 재밌긴 한데 니체 연구서로 가치는 1도 없다는 식이었다. 인용된 황당한 주장들이, 니체 해석으로는 아무 가치가 없을지라도 자기 나름의 개성, 지성을 보여준다 생각했고 그러니, 오 이건 사야해. 해서 샀고 잘 샀다고 생각하는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