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제목으로 적어도 2종 존재하는 책으론 이거 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위의, 아미르 악젤의 책이 있고 사이먼 싱(Simon Singh)이 쓴 것이 있다. 사이먼 싱이 쓴 것은 

국역된 책이 세기말-세기초 ㅋㅋㅋㅋㅋㅋㅋ 90년대말, 00년대초 거의 베스트셀러였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주변의 모두가 그 책 얘기를 했었다. 나도 한 권 갖고 있었다. 언제 어쩌다 사라졌나 모르겠는 책이 된 그 시절의 한국어판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이미 오래전 사라진 사이먼 싱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기억하면서 

아미르 악젤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구입했다. 이것이 중고로 나와 있었다. 


이런 식으로 시작한다: 

"1993년 6월, 내 오랜 친구 톰 슐츠가 캘리포니아에서 보스턴으로 나를 보기 위해 왔다. 

우리는 뉴버리 가의 노천 카페에서 햇빛 아래 앉아 있었다. 톰은 막 이혼한 후였다. 여러 생각들이 많아 보였다. 그는 문득 내쪽으로 몸을 돌렸다. "그런데 말이다." 그가 말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증명되었어." 이건 최신 농담인가, 나는 생각했다. 저 말을 한 톰의 시선은 길 바닥을 향하고 있었다. 20년 전에, 톰과 나는 룸메이트였다. 우리는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수학과 학부생이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우리가 자주 얘기했던 주제다. 우리는 함수와 집합과 복소수체와 위상학을 얘기했다. 수학과 학생들 누구도 잠을 충분히 자지 않았다. 과제가 너무도 어려웠기 때문에. 수학과와 다른 학과의 차이가 여기 있었다. 수학과에선 수학 악몽을 꾼다. (......)" 




아 밑줄 친 저 대목 웃겼다. 

어제 밤에 도착했고 오늘 아침 읽었는데 현실 웃음 터졌다. 저자에게 감사가 밀려듬. 

............... 이것저것 할 일도 많고 시간은 없고 시간은 점점 없어지고 이미 산 시간은 잘못 산 시간이고 그렇다면, 별게 다 웃겨지는 게 아닌가, 나는 왜 웃고 있는가 하면서 웃음. 


그런가 하면, 저렇게 회고될 시간을 누구든 아직 살 수 있는 거 같기도 하다. 

저렇게 회고될 시간을 당장 내일 살 수도 있을 거 같기도 하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미 2021-12-19 22:0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몰리님! 사이먼 싱의 <페르마의 마지막정리>도 재밌어요ㅋㅋ

몰리 2021-12-20 10:02   좋아요 1 | URL
일단 이거 읽고 (이건 얇아요. 얇고 작은 책) 그것도 살려구요. ㅋㅋㅋㅋㅋ 수학을 글로 배워보려고 합니다.

scott 2021-12-20 00:3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 수학과에서 수학 악몽을 ㅋㅋㅋ


몰리 2021-12-20 10:04   좋아요 1 | URL
이언 스튜어트의 <젊은 수학자에게 보내는 편지>에
수학자로서 보는 세계는 어떤 세계인가 말하는 대목 보면...
아니 주로 세계를 이렇게 본다면 그것은 광증이 아닙니까. 하게 되는 대목이.
그러니 악몽을 꾸. ;;;;;;
 






이 책 얘기 서재에 자주 썼지만 

10여년 전 처음 알고 나서 아주 좋아했던 책이다. 세 권 갖고 있다. 하드커버 하나. 페이퍼백 하나. 독일어판 하나. 


논문을 무슨 주제로 쓰든 아도르노 책이 (가급적 <부정변증법>) 반드시 참고문헌에 

포함되게 쓰자. (....) 이런 다짐이 어쩌다 저절로 든 적도 있다. 그 다짐 후 쓴 (그냥 뭐 한 세 편 되나) 논문에 전부 

아도르노 책이 포함되었다. 


저 부제, <훼손된 삶에서 나온 성찰> 

이거 아주 너무 좋음. 세상에 꼭 해야 할 일이 있으면 그걸 하는 누군가도 있는 것이다. 


이걸 처음 읽던 때는 대학원생이었는데, 이 책과 그 시절의 삶은 서로 녹아 있다. 

여기서 저기로 바로 갈 수 있다. 


이 책에 쓰인 세 개의 제사 중에, 다 좋지만 그래도 최고는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Where everything is bad, it must be good to know the worst). 


논문도 부지런히 써야겠지만 논문 아닌 글도 쓰고 싶은데 

논문 아닌 글에서는 가장 먼저 저걸 제목으로 써야 한다는 작정을 본격적으로 올해 하였는데 ㅎㅎㅎㅎㅎㅎ 이것에 대해 내가 나에게 올해의 작정상을 주려는 참이다.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제목이 다함. 아니 제목이 다하는데 뭘 써? 


이 제목으로 쓰고 싶어지는 모두가 쓴다면 좋을 거 같다. 


2,30년뒤 누군가의 논문 참고문헌이 이런 식으로 쓰인다면 보기에 아주 좋.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김--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나--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박--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이--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다>, 정--


존재하는 작품의 제목을 차용하는 건 표절이 아니고 저작권 위반이 아니라고 한다. 저작권 법의 세계도 복잡하고 오묘한 듯. 암튼 누군가의 논문 참고문헌이 위와 같이 작성되는 게 불가능한 일이 아닌 것이었. 아직 저 제목은 책으로는 (책이 아니라면 하여튼 '작품'으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 일단 하나가 존재하기 시작하자 다수가 존재하기까지 얼마 걸리지 않. 그랬으면 좋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올초부터 열심히 덕질해 온 유튜브 아기계정 백송이tv. 아기가 얼마 전 돌이었다. 11월 26일. 

인스타 계정도 있는데 유튜브에 올라오지 않은 짧은 영상, 사진들 있다. 


돌 직후 올라온 영상이 있는데 

송이가 책장 앞에 서서 책을 고름. (걷게 된지 얼마 안됨. ㅎㅎㅎㅎ 걷기 시작하자 책장 앞으로 걸어간 아기?) 

책을 아주 생각하면서 고른다. 앞표지도 보고 뒷표지도 보고. 

찾는 게 아닌 책은 휙휙 던짐. (그래서 송이맘의 코멘트는: "하루에 정리만 열번....") 


그러다 찾던 책을 찾아내니까 그걸 손에 꼭 들고 자리에 철퍼덕 앉음. 

그리고 착 (기대에 차서....) 표지를 넘김. 


응 이거 내가 찾던 거. 이런 표정으로 골똘히 표지를 넘김. 

그녀가 깊이 들여다보는 페이지에는 오른쪽에는 할머니 파마하고 앞치마를 두른 할머니가 있고 

("할머니"라고 본문에 적혀 있음) 왼쪽에는 단정한 젊은 여자, 아니면 소녀가 (할머니의 딸? 손녀?) 있다. 얼룩소도 있고 푸른 풀밭도 있고 하튼 그런 그림책. 


그래 나 이거 보려고 했어. 표정으로 보다가 

오른손 검지를 펴고 힘 딱 주고 오른쪽의 할머니 찍으면서 "아빠" 그러고 

왼쪽의 단정한 여자(소녀) 찍으면서 "엄마" -- 그러다 카메라 쪽을 '맞지?' 하면서 보는 

그런 영상.  


송이는 아기버전 겨울 추리링(무릎 팔꿈치 나온)이랄지 아기버전 할머니 홈웨어를 입고 있는데 ㅎㅎㅎㅎㅎ 이 옷도 엄청 귀엽고 책을 고르고 자리에 앉아 골똘히 보는 그 과정 전부가 너무 귀엽다. 할머니를 아빠로 (말 아직 못해서 정확히 '아빠'는 아니다) 보는 것도 귀여운데, 유튜브 영상에서 익히 본 바 송이 부친께서 파마를 하신 분이라. 



책을 그리워하는 마음. 

책 속의 아빠와 엄마를 보고 싶은 마음. 

아주 오래전 언젠가 우리에게도 책이 그런 것이었을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슐라르에 따르면 과학은 처음부터 사회적 활동이었다. 

"고대에 홀로인 인간의 과학이라도, 이미 그것은 사회적 활동이었다. 

과학 사유이면서 이기적인 사유는 없다." 


과학이 사회적 활동인 것, 누구도 혼자서는 합리주의자가 될 수 없는 것. 

합리적 사유를 하려면 합리주의자들의 사회로 가야 하고 그 사회 안에서 다른 합리주의자의 감시가 필요한 것. : 바슐라르에 따르면, 과학사가 진보의 역사가 되게 한 중요한 비결이 여기 있다. 이런 얘기를 좀 많이 함축적으로 하시고, 심지어 시적으로 하시고 하튼 그래서 흩어져 있는 말씀들을 해석하고 일관된 논의로 묶어내고 하는 게 쉽지 않지만, 어쨌든 그의 입장은 이런 것. 이런 입장에서 "과학 도시" 이 말을 사랑하고 자주 쓰시기도 하는 것. 


합리주의자가 되려면 다른 합리주의자들이 생산해 둔 관습들을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타인의 정신에 자기 정신을 동질화시킬 수 있는 사람만이, 합리주의자로서 타인과 대화할 수 있다. 


"정신의 동질화. 이것이 일어나지 않을 때, 철학자 키에르케고르와 수학자 아벨의 대화는 

광인들의 대화일 것이다." 





아 저거. 웃겼던 말이다. 바슐라르 특유의, 진정 뜬금없이 철학사, 문학사의 거인들 소환하기. 

키에르케고르가 나올 대목이 전혀 아닌데, 나옴. 그리고 그것은 키에르케고르의 의문의 1패가 아니고 필연적 1패. 예상된 1패. 너무 늦게 온 1패. 이성을 의심하고 멀리했던 키에르케고르. 심장의 인간 키에르케고르. 


나는 그의 사회에 대한 ('과학도시' '과학사회'로 한정하긴 하지만) 이 엄청난 낙관. 

모든 인간에게서 그의 지적 능력의 최선을 실현시키는 공간에 대한 이 흔들림없는 믿음. 

이게 참으로........... 존경스럽기도 하고 부럽기도 하고. 믿기지 않기도 하고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표지가 이렇게 심심한 이 책은 

pdf 구해서 보니 내용도 심심하진 않은 거 같았다. 내용은 간간함. (응.... 그려......??;;;) 

<철학의 실패>. 사실 얼른 보고 싶은 책. 대강 본 바로는 서양 철학은 이천수백여년 그 역사 전부 실패의 역사, 라는 관점과 함께 하는 거 같았다. 


오 그래요. 그렇군요. 궁금합니다. 실패에 공감할 수 있습니다. 

강한 얘기 해주시기 기대하겠습니다. 




방금 페이퍼 마지막 문장을 써서 갑자기 홀가분해진 상태다. 

며칠 전 1페이지 남았을 때 서재 들와서 서재 글 쓰고 나서, 다시 페이퍼로 돌아갔을 때 

1페이지가 남은 게 아니라 (실질적 작업 양으로는) 10페이지쯤 남은 것임을 알게 되면서 

잠도 못 자고 괴로워 했었다. 1페이지 남았다고 착각했을 때 '오 이건 이 정도면 잘했쓰' 만족하고 있었는데 

실제론 10페이지쯤 남았으며 무엇도 조금도 잘하지 않았음을 알게 될 때의 Horror! Horror! 


아마 비슷한 일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마지막 문장을 썼는데, 다시 돌아가 보니 마지막 문장 100개가 남아 있었다. 같은. 

그러니 착각하는 동안, 곧 끝날 착각하는 동안의 홀가분함을 120% 누려야 한다. 



그렇습니다. 

착각이 끝나고 만족이 없더라도, 최대 이틀 안에 끝을 내긴 낼 거라서 

만족을 못함으로 인한 잠 못 자고 괴로워함에 맞서 미미하게나마 홀가분함이 우세하게 될 이틀 뒤에는 

............ 술마시며 여러 포스팅을 하겠다는 계획도 해보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