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리뷰 오브 북스 사무실이라고 한다. 

이보다 좁고 천장이 낮고 pc가 하나 있을 뿐이라는 차이가 있지만 

거의 지금 나의 방 풍경. 책들과 출력물이 쌓이고 흩어지는데 컵 하나 이상 있고 비닐 봉지, 포스트잇. 

심지어 이 와중에 알아보이는 책이 있어서 웃게 된다. 평생 꾸준히 한 거, 책 사기. 


이명박이 좋아했을 (웃었을) 거 상상하면 

갑자기 추워지지 않나요. 갑자기 오한이. 부들부들. 

주먹이 꽉 쥐어지는 거 같고. 


12년과는 다르게 (이때는 진짜 좀 힘들었. 거의 매일 술 마심.... 12월부터 적어도 2월까지는 매일. 3월부터는 아마 주 4일?;;;;;) 지금은 견딜만하긴 한데 이명박 생각하면. 아니 이명박도 이명박이지만 윤 자신. 이들 부부. 얼마나 모두가 같잖아 보이겠. 이준석도. 

 


김치국 드링킹 달인으로서 

내가 쓴 회고록이 나오면 그간 연락 없이 지냈던 옛 지인들에게도 보내야지 .... 같은 생각을 아주 많이 했다, 진지하게. 

6월까지는 다른 글을 쓰지만 7월 1일이 되면 커튼을 걷었다가 다시 치고 파일을 열고 적당히 어둡고 적당히 시원한 방에서 회고록을 쓰기 시작해야지. 아이스 커피가 계속 대령되겠지............. 


저 계획이 틀어진 느낌이기도 하다. 아 그 당이 집권 중이지? 생각하면. 

모두가 나쁜 곳에서는 최악을 아는 것이 좋지. 매일 매일 최악을 알면서 쓰면 되지. 

그렇게 잘 안될 거 같은. 



*원래 올린 사진은 복사, 붙이기가 안되네요. 출처가 레딧. 

https://www.reddit.com/r/pics/comments/8h4u14/this_is_the_new_york_review_of_books_office/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2-03-13 15: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3-13 15: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내내 아도르노만 읽는 중인데 

아도르노는 맑스 칭송도 많이 한다. 

이론과 실천의 문제에서 맑스 자신 직접적, 즉각적 실천을 극히 꺼렸다 같은 얘기도 반복적으로 한다. 

(이 문제에서 자기 입장 옹호에 맑스를 동원). 


다른 책 안 읽고 오직 그의 책만 읽다 보니 

............ 의식화, 일어나는 느낌 있다. 역시 급진적 사상가라면 독자를 바꾼다. 

고유의 혁명(혁명적) 이론이 그에게 있는 것이다. 


특히 예민해지게 되는 건 이 사회는 어떤 인간을 생산하는가. 이 사회는 나에게 무슨 짓을 했는가. 

아우슈비츠 이후 서정시는 야만이다. 이 가장 유명한 말. 이보다 덜 유명하지만, "다시는 아우슈비츠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우리의 정언 명령이다 (교육의 목적이다)". 


어느 강의에서는 이 주제로 말하면서 나치 전범 누구 누구를 지목하고 

그들이 더 이상 나올 수 없는 사회여야 한다.. 같은 말 하기도 한다. 



이 관점에서 마광수를 여러 번 생각했다.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이런 책은 나오지 않을 수도 있었다. 

"에쁜 애들이 공부도 잘해" 이런 말 안할 수도 있었고 제자 시를 그냥 도용하기, 안할 수도 있었다. 

뛰어난 학자가 되었을 수도 있었다. (............) 그 시대의 한국에서 그렇게 태어나지 않았으면. 


윤. 이 나올 수 없는 사회가 ㅎㅎㅎㅎㅎㅎ 되어야 하지않겠습니까. ;;;;;;; 


이제 "윤" 이 글자 혐오증 생길 수도.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로 2022-03-11 21: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러니까요... 좋아하는 성씨 중 하나였는데...

몰리 2022-03-12 04:46   좋아요 1 | URL
o 부터 불길하기 시작하고 ㅎㅎㅎㅎㅎㅎ
ㅠ 그만, 그만해! (아휴....) 트럼프 시작하던 때 많이 생각하게 돼요. 백악관 스탭들의 그 우울하던 표정.
 








그래도 우리는 reading, thinking, writing 이런 건 할 수 있지 않나, 그렇다면 최악은 아니야. 

이 심정으로 구글 이미지에서 이미지 찾아보다가, 이거다! 싶은 건 없는 가운데 위의 것을 택해 보았. 

오늘 새벽, 12년 12월 그 날이 그대로 다시 온 느낌. 바깥에서 들려 오는 소리도 위협처럼 ㅎㅎㅎㅎㅎ 들리고 골목 풍경도 달라지고. 사람들도 다르게 보이고. 


12년 대선의 충격은 오래 갔고 

사실 박 정권 내내 고통이 지속. 박을 생각하고 박의 세계에 있는 이들 생각하기만 해도 술;;; 마셔야 했던 세월. 


이젠 유튜브도 잘 안 보게 될 거 같고 (썸네일.... 공포. 뉴스 관련 채널은 하나도 뜨지 않게 어떻게 조치를 해야) 

.......... 도피, 망명 모드로다. 에너지가 남으면 오직 저 reading, thinking, writing 으로다. 


우리 슬퍼하거나 분노하지 말고 저것들을 합시드으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버트 해리슨이 하는 Entitled Opinions. 

2005년에 시작했고 쉬는 기간이 길었던 때도 많았지만 종방(?) 하지 않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2005년. (.............) 무엇이 생각나십니까? 


진짜 오래전처럼 느껴진다. "과거는 외국이다" 이 말에 속하는 과거. 


생명줄, 정신줄 같은 방송이었는데 한동안 거의 듣지 않다가 

요즘 다시 듣기 시작했다. 2005년 가을에 리처드 로티가 출연한 에피가 있는데, Entitled Opinions 홈페이지에 가보면 이 에피를 2017년에 짧은 인트로 새로 붙이고 다시 업로드했다. "이건 우리의 첫 시즌, 05년에 스탠포드 방송국에서 생방송했던 에피다. 당시 나도 몰랐고 로티도 몰랐지만 이 인터뷰 후 1년 반 뒤 그는 세상을 떠난다. 이 인터뷰가 그의 생전 마지막 인터뷰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마지막 인터뷰들 중 하나인 건 맞다" 이런 말 한다. (도어스 저 노래를 outtro로 쓴다). 



2021년에 올라온 것들 중 좋은 것들이 여럿 있다. 

Robert Harrison contre Proust, 이 제목 독백도 있는데 "나는 이제 선언한다. 더 이상 프루스트에 연연하지 않겠다. 나는 이제 그에게 돌아가 그를 더 잘 알겠다는 시도를 더는 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내용 독백. 


아마 그것도 첫 시즌이었을 것인데, 프루스트 주제였던 에피가 있다. 

"나는 도저히 그를 읽을 수가 없다. 그는 내 본성에 반한다. 이제 그를 읽는 노력을 일시 중단하고, 그를 읽는 건 내 노년을 위해 남겨두고 싶다." 이런 말 했었다. 


그때 그는 "노년"이 아니었고, 노년이 아니면서 저렇게 말했다가 

15-6년 뒤 노년에 진입하고 어느 정도 된 지금, 프루스트 이젠 안녕 잘 가.......... 로 프루스트와 인연 종결.   



그의 인터뷰 스타일이나 아니면 그가 원고 작성하고 혼자 진행하는 '모놀로그'에서 

그의 문장, 사유 스타일이 갑탄 자극하는 순간들 있다. 이렇게 이 사람은 자기라는 인간을 만들었구나. 확 실감이 드는. 최근 에피에서 그게 더 느껴진다. 그는 죽음........ 을 가까이 느끼는 사람이 되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도르노는 칸트를 가혹하게 비판하기도 하고 최상급 칭송을 하기도 한다.  

어느 강의에서는 그의 시대 난점들을 온전히 파악하고 반응했다는 게 칸트의 "천재성"이라면서, 달리 말하면 칸트는 그가 아는 것 이상을 알았다고 한다. 천재성이란, 자기가 아는 것 이상을 아는 것. 


그렇게 칸트가 자기가 아는 것 이상을 알 수 있었던 이유는 

그에게 "강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그의 경험이 하도 강했던 나머지, 그는 실제 그의 인식 너머로 갈 수 있었다. 



아도르노의 말들이 저렇게 압축적, 우회적이어서 뭐라 즉각 대꾸하기가 어렵긴 한데 

나는 저 말들이 아주 맞는 말인 거 같다. 천재성이란 자기가 아는 것 이상을 아는 것. 그리고 그것은 "강한 경험"에서 온다. 소설이나 아니면 철학이나, 어디서나 있지 않나. 자기가 아는 것 안에 머무는 저자들과 그렇지 않은 저자들. 돌파력이 약하거나 아니면 강하거나. 



만일 아도르노가 말하는 방식 "천재성"이 한국에서는 나오기 힘들다면 (그러니까,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서 말입니다... 다른 나라보다 한국에서 덜 나오는 거 같다면.... ) 중요한 한 이유는 "강한 경험"이라는 것이 사회적으로 차단, 제거, 억압되기 때문이라 생각하게 된다. 강한 경험이라는 건, 어쨌든 그 시작은 약자의 경험, 미세한 경험, 비주류의 경험일 거라서. 강한 경험이 될 수 있을 경험들이 제대로 뿌리를 내리지 못함. 허약하게 존재함.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얄라알라 2022-02-15 20:4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반가우세요. 몰리님 페이퍼를 오랜만에 읽는데, 제가 제대로 이해했다면, 항상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과 몰리님의 철학을 느끼게 됩니다^^

2022-02-15 20: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08: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08: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2: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6: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7: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7: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7: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7:5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