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데릭 자만이 말년에 쓴 일기.

데릭 자만은 이름은 들어봤고 작품도 본 적이 있는 거 같지만 

그래도 어쨌든 나는 이름만 알고 있는 감독. 심란하고 집중하기 힘든 영화들이지 않았나? 아님? 

막연히 그런 인상 남아 있는 거 같지만 그게 실제로 보긴 보아서 남은 인상인지도 확실치 않음. 


그런데 알라딘 중고샵에 이 책이 있었고 아마존의 어떤 독자는 

"나는 그의 영화는 좋아하지 않고 견디지 못한다. 그런데 이 일기는 내가 읽은 

일기 중 최고의 일기다. 너는 빠져들 것이다" 같은 말을 하고 있었다. 일기, 편지, 회고록, 자서전 

이것들 중 호평 받는 거라면 바로 사둠. 해서 이것도 사두었다. 






그가 남긴 일기를 묶은 책이 하나 더 있는데 이 책. Modern Nature. 

89년 HIV 양성 판정을 받고 부친의 죽음을 겪고 나서, 그는 런던의 소음, 소문을 떠나 영국 해변 시골 마을에 정착했고 오두막에 살면서 정원을 가꾸었다고 한다. 5년 후 94년에 타계한다. 일요일마다 오는 Brain Pickings 이메일이 전해 준 내용. 


구글 이미지에서 그의 오두막과 정원 이미지들 다수 찾아진다. 




유튜브에 저렴한 시골집 매물을 주로 올리는 채널이 있는데 

어떤 집들은 "오 마음에 든다" 같은 느낌이 바로 들기도 한다. 3천만원 이하 매물이 그렇기도 하다. 

어떻게 100-300평 대지 집들이 2천, 3천만원에 나오냐. 평당 10만원. 혹은 이하. 그럴 수도 있군요. 버지니아 울프가 

남편과 만들었던 몽크스 하우스. 나의 집. 나의 정원을 이 부부 따라해서 만들어 보는 게 아주 큰 돈 없어도 할 수 있는 일이었. 



요 집도 마음에 들던 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책, 이제 카뮈가 주된 인물인 장에 와 있는데, 프랑스계 알제리인(이라고 카뮈를 규정을 한국어로 하는 거 같지가 않아지면서 좀 이상하게 들린다. French Algerian. 프랑스"계"의 "계" 때문인 거 같다. 프랑스인-알제리인, 이렇게 말해야 더 정확하겠다), 하튼 두 고국 사이에서 분열의 체험, 아버지 없이 성장했던 어린 시절 빈곤의 체험 등에 대해 말하고 나서, 이것이 그가 파리에 와서 만났던 이들, 특히 사르트르, 보봐르, 메를로-퐁티가 익숙히 알고 살아온 (사르트르와 보봐르는 물론 그것의 적이 되기도 하지만) 부르주아 삶 세계와는 아주 이질적인 것임을 지적한다. 


그 점 강조하기 위해 카뮈 자신의 말을 인용하는데: 

"돈 없이 두어 해 산다면, 그것이 형성하는 한 온전한 감수성이 있다. 

A certain number of years lived without money are enough to create a whole sensibility." 


적고 보니 이 문장도 제대로 번역하기 극히 어려운 문장.

a certain number of years는 "두어 해"가 당연히 아니고 

whole sensiblity에서 whole을 "온전한"으로 말하면, 맥락 없이는 감수성의 건전함을 말하는 쪽으로 보이겠고. 

돈 없이 사는 몇 년의 세월, 그것은 인간 전체를 바꾼다. (....) 등등 여러, 번역은 아니고 번역을 향해 가는, 버전들을 적어놓아볼 수 있겠다. 


이 말은 맞겠지만, 돈 없이 사는 세월 말고도 인간 전체를 바꾸는 것들이 많아서 

그렇게 강력한 말로 들리지는 않는다. 


결혼은 (행복하든 불행하든) 인간 전체를 바꾼다. 

직장은 (좋든 나쁘든) 인간 전체를 바꾼다. 

.......... 바로 떠오르는 다른 예는 또 없네요. 많지 않은 건가, 인간 전체를 바꾸는 것이? 

학교는. 장소는. 집은. 


인간의 감수성이 어디서 어떻게 변화하는가. 

삶은 언제 훼손되고 언제 고양되는가. 정신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형성되고 혹은 파괴되는가. 

(.....) 등을 생각하게 하는 카뮈의 말. 



<실존주의 카페에서>. 좋은 책이다. 

베이크웰이 어떤 공부를 어떻게 했을까 느껴지게 한다. 인용 문장들 중 

그녀가 그것들 읽으면서 체험했을 강렬한 감정의 인장이 그 문장에, 주변 문장에, 찍힌 듯한 대목들도 많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락방 2021-04-21 17:0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니 너무 씐나네요. 커피랑 책 사진 너무 좋았는데 글도 좋고 근데 이 책 좋다 하셔서 번역본 있을까 찾아보니 <살구 칵테일을 마시는 철학자들> 로 나와 있더라고요!! 냉큼 장바구니에 집어 넣었습니다. 우히히히 💃💃💃💃💃

몰리 2021-04-21 17:46   좋아요 1 | URL
저 이 책 별루일 거 같아서 (베이크웰이 몽테뉴 주제로 쓴 책이 있는데 그 책 첫 페이지 보고 약간 실망...) 오래 두고만 있다가 꺼내 봤는데, 뭐랄까 이 세상 무수한 남성 저자들의 철학 논의와는 다른 면모 있다는 생각 계속 들어요. 꼭 베이크웰의 이런 식은 아니어도 다르게 철학하기, 다르게 글쓰기가 더 많아진다면

지금까지 표준 방식이던 (남자들이 만들어온) 철학하기, 글쓰기는 사라지지 않을까 하는 ㅎㅎㅎㅎ 이런 것도 혹시 망상인가, 그런 생각도 들고요. 조용히 부드럽게 핵심을 온전히 살짝 꺼내어 그러나 오래 보는? ;;;;

유부만두 2021-04-21 17:5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얼마전 본 사르트르 (만화) 전기에도 카뮈와의 갈등 / 이질감(?) 이야기가 나와요.

예전엔 pied-noir에게 별 생각 없었는데 그들 내부에도 넓은 스펙트럼으로 정체성이 갈리겠다 싶어요. 그나저나, 몰리님 서재에서 만나는 실존주의 쿨한데요?!

몰리 2021-04-21 18:22   좋아요 2 | URL
사르트르가 ˝영화적 감각˝이 있는 작가였다고 하면서 그걸 잘 보여주는 문단들을 인용하기도 하고, 여러 인용들이 있는데, 어떤 것들은 오오... 하게 되어요. 정말 잘 쓴다! 감탄의 오오.

아니 정말 사르트르는 아무리 다시 살려내려 해도 확실히 정말 ˝죽은 개˝ 아니었? 그러나 이렇게 쓰는, 이런 걸 쓸 수 있는 작가가 사르트르였으면 요즘 작가들에게 그는 신이 되어야 마땅 안함???

베이크웰이 왜 사르트르를 좋아했는지 알거 같고, 순수히 문장을 읽는 재미만으로도 그의 저술들 중 어떤 대목들은 !!!!! 하게 될 거 같아졌어요. 역시 무엇에든 그렇겠듯이 실존주의도, 실존주의가 구제되려면 실존주의를 사랑한 사람이 있어야 하겠.

2021-04-21 18: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4-21 19: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4-21 20: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오랜만에 서재 복귀하신 비연님의 칭송을 받은 책. 

(비연님, 웰컴백!) 


내겐 금시초문이었던 작가 루이즈 페니. 비연님 글 읽고 나니 

나도 꼭 그녀의 책을 그것도 꼭 The Beautiful Mystery로 갖고 있어야 할 거 같았다. 

검색하니 영어판 저렴한 중고 나와 있음. . 


그것만 사도 되었겠지만 

하필 셀러가 2만원 이상 무료배송 정책. 

2만원 넘기기 쉽죠. 어디든 쉬운 2만원 넘기기.  


세 권 주문했고 어제 밤에 도착했다. 

토마스 머튼의 Thoughts in Solitude. 

루이즈 페니의 The Beautiful Mystery. 

로버트 매시의 Catherine the Great. 


맨 아래 있는 책은 Rhys Bowen이라는 작가의 Hush Now, Don't You Cry, 이런 책인데 

"사은품"으로 넣어주셨다. 알라딘 중고 판매하시는 분들 중에 책 사은품으로 주시는 분들, 좋으신 분들. 

얼마 전엔 스티븐 킹의 Bones가 제목에 들어갔던가 하튼 잘 기억하기 힘든 하드커버 책을 "사은품"으로 

받았는데 (집 어딘가 있음) 킹이 지금 관심 저자인 것도 아니고 하튼 이게 받았다고 오오 할 책이 아니멌음에도 

오오.... 함.  


그러나 리스 보웬의 Hush Now, Don't You Cry. 누구시죠 리스 보웬? 

이 책은 부담이었다. 오오... 아니고. 아마존 검색해 보니, 책 독자 평점 매우 높고 보웬은 유명한 미스테리 작가인가 보았다.


루이즈 페니의 책은 첫문장이 이렇다.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e Catholic Church realized it had a problem. 


어떤가요. 전도유망한 문장 아닌가요. 카톨릭 역사가 관심 주제가 된지 어언 ㅋ 몇 달이라서 

확 끌어당겨지는 느낌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락방 2021-04-21 09:0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아 너무 멋집니다. 책 구매 인증 사진은 언제나 너무나 멋져요!!

몰리 2021-04-21 09:22   좋아요 3 | URL
방금 10권 주문했. ;;;;
책 주문 잠시 안하다 해보니까 좋습니다. ㅎㅎㅎㅎ
이제 또 알라딘이 감사 적립금 천원을 쏠 거 같고. ;
 



사놓고 한 1/20 정도 읽었던 이 책 시작했는데 

재미있다. 이런 말장난 해도 되나? 그래도 철학책 아닌가? 철학책에서는 할 수 없는 종류 말장난 아..... 

하튼 저런 어? 하게 되는 순간들이 있다. 


사라 베이크웰은 고교 중퇴. 

16세에 사르트르의 <구토>를 읽고 나서 철학에 관심이 생김. 

사르트르와 철학을 공부하고 싶어짐. 그래서 대학으로 감. 하이데거와 후설, 야스퍼스 등을 읽게 됨. 

이들을 본격적으로 읽고 연구하고 싶어짐. 그리하여 박사과정에 감. 그리고 중퇴함.  





그녀의 사진으로 이런 사진이 찾아진다. 


골치 아프고 노트 계속 달아야 하고 

두 페이지 읽는데 두시간 내지 반나절 걸리고 

이런 책들 보다가 베이크웰이 쓴 이 책 같은 책으로 오면 

.... 자유롭게 숨쉬게 되고 나만 자유롭게 숨쉬는 게 아니라 그 빽빽하고 골치 아프던 책들 사이에도 숨쉴 공간이 

생겨나게 되는 거 같아진다. 


골치 아프던 책에서 하이데거와 이 책에서 하이데거는 아주 다른 사람. 


베이크웰은 하이데거에 극히 비판적이고 

어떤 대목에서는 아주 절묘하게 잘, 기막히게, 잊을 수 없이 웃기게, 하이데거를 조롱한다.  

그러면서도 하이데거 철학의 무엇이 가치 있는가에 대해서도 뭐랄까 얻을 것도 잃을 것도 없는 자여야 가질 자유로움?  그런 것과 함께 들려준다. 


저런 면모가 "여성적 글쓰기" 아닌가는 생각도 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며칠 전 자려고 이불 펴다가 

말 그대로 "눈을 의심"했다. 내가 보고 있는 것이 지금 내가 보고 있는 것인가. 


의심의 찰나 다음 두 생각이 공존했다. 1) 무생물이다, 2) 생물이다.

굵은 털실 아니면 태그 같은 것이다와

이것이 말로만 듣던 지네다.    


털실은 입김만 불어도 흔들린다와 

지네는 스스로 움직인다, 유연하게. 


이럴 땐 그런 것이다. 의심할 때가 좋은 시절이었지. 

............. 지네가 아니라면 지네"류" 생물임을 알고 나서 

부랴부랴 청소기로 흡입시켜 먼지통으로 보내놓기는 했다. 일반 청소기라 

먼지통이 그냥도 보인다. 먼지 속에서 회전하다가 죽어버려라. 캭 죽어버려라. 아니면 천천히라도 죽어버려라. 

그러나 그것은 먼지통 바닥에 착, 밀착해 움직이지 않았다. 


청소기 헤드 먼지 흡입구를 테이프로 잘 막아놓고 나서 

그래서 이 한 마리는(이게 다인가?)  일단 제대로 감금시켜 놓고 나서 

잘 수가 없었다. 자려는 시도도 (자리에 눕기) 할 수 없었다. 

pc는 꺼둔 다음이었고 아이패드 열고 

"지네" 검색했다. 의자나 바닥에 앉아서 아이패드를 꼭 붙잡고 

마치 그 자리에서 그 자세로 얼어붙듯이 그렇게 자야 할 거 같았다. 


지네는 음 

심지어는 쥐도 누구는 쥐 공포증 있는가 하면 누구는 쥐를 가지고 놀기도 함을 기억하면 지네도 

그것이 자극하는 혐오와 공포가 케바케일수도. 당신이 지네를 가까이서 본 적이 없다면 그것이 

자극할 수도 있는 극한의 혐오와 공포를 알기 (추정하기) 위하여 당신은 그것을 가까이서 보아야 한다. 

잡아도 보아야 한다. 청소기 먼지통에 가두고 이틀 동안 죽지 않는 그것이 마침내 죽음에 이르게 해보아야 한다. 


약재로 쓰인다는 마른 지네는 김발 같은 것에 죽 줄줄이붙여둔 걸로 흔히 보았던 거 같은데 

(내 세대의 유년기= 전근대) 살아 움직이는 매우 살찐, 검고 붉은 불길한 색의 지네는 처음 본 거 같다. 

곤충같지가 않음. 포유류. 포유류 같음. 


그 날만이 아니고 

다음날도, 그 다음날도 잠을 설쳤다. 

어제야 비로소, 이 집에 사는 동안엔 영원히 생생할 거 같던 그 충격이 많이 약해졌다고 느낄 수 있었다. 

누워도 눕는 게 아니게 (누워 있지만 실은 앉아 있는), 불편하고 우울하게 자다가 어제 비로소 밤의 어둠 속으로 마음 놓고 편안히 내려간다는 느낌과 함께 잘 수 있었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쟝쟝 2021-04-15 18: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지네 실물 큰거 진짜 트라우마 생길 수 있죠.. 카더라에 의하면 지네는 쌍으로 다닌다는 소문이 ㅎㅎㅎㅎ 한마리 더 잡으셔야 합니다... 🙃(사악한 웃음)

몰리 2021-04-16 05:12   좋아요 1 | URL
아 정말 그 때문에 지속되었던 공포.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라는 공포. 하나 더 있다는 공포.
제발 아니라고 해줘.... 바라면서 검색 계속했더니
쌍으로 다닌다는 낭설이고 흔히 혼자; 다닌다는 얘기도 있더라고요.
그런가 하면, 바퀴와 마찬가지로 한 마리 보였다면 보이지 않는 어딘가에 군집이 (???? 지네도 군집 생활합니까 리얼리) 있다는 뜻이라는 얘기도 누군가 쓰고 있었는데, 집을 부수고 싶어졌.

공쟝쟝 2021-04-16 07:53   좋아요 1 | URL
제 어릴때의 미신에 의하면 그리하여 그 지네의 시체를 불태워 냄새를 피워 집단 지네들에게 너희는 불태지리라 경고를 보여주셔야 한다는 데!!!!!!

다락방 2021-04-16 07:54   좋아요 2 | URL
오 좀 잔인하게 느껴지지만 불태워 죽이는 게 확실한 방법인것 같네요! 그런데 어떻게 불태우지 무서운데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scott 2021-04-15 20: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지네 보셨다면!
만약 이사간 집에 !
로또! 로또를!

몰리 2021-04-16 05:14   좋아요 1 | URL
로또! 영국에서 금연이 괴로운 ex-흡연자가
담배 대신 로또를 사기 시작했는데 15억 당첨!
저 얘기 유튜브에서 보고 나서 나도 따라해야 한다! 다짐했던 참이긴 합니다.

다락방 2021-04-16 07: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너무 무서워요 몰리님 ㅠㅠ
청소기 먼지통...에 아직도 있나요? ㅠㅠ 저같아도 잠을 설칠 것 같아요. ㅠㅠ
저도 사무실에서 지네 본적 있는데 그 뒤로 다시는 나타난 적 없어요. 앞으로 안나타날 거예요 몰리님. 앞으로 평안한 밤 보내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ㅜㅜ

몰리 2021-04-16 08:19   좋아요 1 | URL
우리집 청소기는 먼지통만이 아니라 먼지통 직전 단계도 투명하게 보이는 청소기인데
먼지통 안에 잡아넣은 지네가 기어나갑니다 저 직전 단계로.

그리고 이제 보이지는 않지만, 그 긴 청소봉? 막대? 를 통과하여 청소기 헤드까지 이행을 하는데
헤드에 투명 테이프를 붙여 놨으니 거기까지 와서 그걸 뚫고 나와보려 꿈틀거리는 지네를 보게 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이거 정말 핍진한 묘사가 필요한데.

하튼. 쉽게 죽지 않더라고요. 그런데 죽어야만 그걸 비울 수 있을 거 같았고
그래서 그 안으로 여러 물질들을 흡입해 넣었습니다. 죽은 다음 먼지통을 비우기도 쉽지 않았어요. 먼지통을 잡는 손이 감전되는 느낌이었어요. 잠을 쫓는 가장 확실한 방법: 지네 보기, 지네 잡기.

유부만두 2021-04-20 07: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미 처리하신거죠? ;;;;

몰리 2021-04-20 09:53   좋아요 0 | URL
처리하긴 했는데
아직 고통이 끝나진 않은 상태에요. ㅜㅜ 지네의 환영이 ;;; 어른어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