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장 파괴의 천사 조지 엘리엇

‘그리고 악에 대한 열망, 악에 대한 기원이 다시 와서 - 그 사이에서내가 그것이 어떻게 된 일인지 알지 못하게 될 때까지 - 그 밖의 모든 것을 희미하게 지워냈다. []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 나는 단지 나의 소망이 나를 벗어나 있다는 것을 알 뿐이다.
-조지 엘리엇 - P824

엘리엇은 초기 소설에서 독자들이 보편적인 인간의 나약함에 민감해지도록 신경을 쓴 것이분명하다. 엘리엇은 그녀의 후기 작품에서처럼 연민의 구원 가능성에 대한 우리의 신념을 확장하려한다. 다른 소설과 마찬가지로 여기에서 엘리엇은 프로테스탄트의 복음주의 같은 역사적인 힘이 지방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묘사한다. 그러나 화자가여성 소설가들의 ‘바보 같은‘ 소설에 푹 빠져 있는 독자들이 열망하는 흥분과 감정 대신에 보통의 어조와 일상사로 우리의 주목을 환기시키는 가운데 『성직 생활의 장면들』은 세 명의 대표적인 온화한 성직자를 부분적으로만 다룬다. 그들의 드라마는사실상 매우 예외적인 여자들에게 달려 있기 때문이다. - P833

여자 주인공들이 자신의 분노를 누르고 체념의 필요성에 순종하는 동안, 작가는 네메시스가 되어 여자 주인공을 ‘위해‘ 행동하는 것이다. 그것은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이 그의 창조자를 위해’ 행동했던 방식이나 버사 메이슨 로체스터가 제인 에어를 ‘위해‘ 행동했던 방식과 똑같은 방식이다. 따라서 『성직 생활의 장면들』에서 미친 여자는 바로 (남성 화자가 아니라 장면들 뒤에 있는 여성 작가로서) 소설가라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 P843

『성직 생활의 장면들은 파괴의 천사에 평생 매혹되었던 엘리엇을 전형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이 초기 작품에서 우리가발견한 하나의 고정된 틀(화자가 지지하는 여성적 체념과 작가에 의한 여성, 심지어 페미니스트의 복수 사이의 모순)은 (캐럴크라이스트가 엘리엇의 소설에 나타난 섭리적 죽음의 기능에대해 쓴 매우 유용한 에세이에서도 발견할 수 있듯이) 엘리엇소설의 중요한 요소로 남아 있다. - P844

캐서린 언쇼와 히스클리프는 히스 벌판에서 ‘강하고 자유롭게 반은 야생으로 일체가 되어 황홀하게 뛰어 반면, 젠더화된 세계에서 태어난 엘리엇 남매의 경우 여자아이는 남자의 인정을 받아야 한다는 강력한 요구를 받고, 남자아이는 가혹하면서도 자기 합리화에 능한 명예라는 코드에 갇힌다. - P846

이브의 정반대인 얼굴들의 간극을 각색하는 데 몰두한 작품들에서조차 엘리엇은 타락한 살인자들이 항상 천사 같은 마리아와 연결되어 있다는 전복적 증거를 제공하는 듯하다. - P852

사육되어 길들여진 낯익은 동물은 엘리엇의 소설 전체를 통해 여자는 자연의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상기시켜준다. 『성직 생활의장면들』과 「벗겨진 베일처럼 엘리엇은 남자와 여자의 관계가초월적 남성과 내재적 여성 사이의 투쟁이고, 여성의 유일한 힘은 물리적 세계와 그녀가 맺고 있는 계약에서 나오는 악마적 힘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 P854

타락한 여자의 분노는 작가의 플롯에 감추어진 변증법 속에서 미친 여자와성모 마리아를 연결하며 극화되지만, 결국 화자의 여자 주인공으로 살아남은 자는 이타적인 성모 마리아다.

여자 주인공은 남자에게 분노하지 않고, 증오를 자신에게 되돌려 자신을 벌한다. 그리하여 자기 비하를 통해 자신이 계속 받드는 남자보다 도덕적우월성을 얻는다는 점에서 자신의 분신과 구별된다. 이런 ‘체념의 천사‘들은 부분적으로 앞장에서 우리가 탐색했던 자기혐오를 보여주는 동시에 남성적 세계에서 여자가 처한 조건에 대한엘리엇의 태도 변화를 보여주기도 한다. 엘리엇은 이 여성들을통해 마치 남성 사회의 불의가 어떻게 부패한 사회질서로 인해권리를 박탈당한 채 태어난 여자에게 특별한 힘과 미덕, 특히감정의 능력을 부여하는지 탐색하는 것 같다. - P855

엘리엇은 영국이 산업화·도시화 때문에 잃어버릴 위험에 처했다고 생각하는 특징을 여성과 관련시키는데, 이는 엘리엇 소설의 보상적 보수적 면모다. 그 특징이란 타인에 대한 헌신, 공동체 의식, 자연에 대한 감사, 돌봄의 사랑에 대한 믿음이다. - P856

『미들마치』는 멜로드라마적인 어떤 것도 극화하지 않았다. 반대로 남성적으로 규정된 문화 안에서 맺는 남자들과 여자들의 비극적 공모 관계와 그로 인한 폭력에 초점을 맞춘다. - P858

엘리엇은 성경의 역사적 기원을 통해 그 신화적 가치를 구해내고자 했으며, 전통적 형식의 믿음을 분석해 경외심을 소생시키고자 했다. - P862

엘리엇은 남성의 강제를 (문학적 노동, 종이미라, 책을 좋아하는 아이들) 불모성과 동일시하는 페르세포네의 신화를 따르고 있지만, 여성들은 강간이 아니라 여성의 공모에 의해 죽음과 같은 결혼에 이른다고 설명한다. 엘리엇은 여성 - P866

의 내면화를 둘러싼 문제를 분석하면서 그릇된 남성 신에 대한도러시아의 숭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그녀가 곤경에 처하는이유라고 지적한다. 불평등의 에로티시즘(남자 교사와 매혹당한 여학생, 남자 주인과 찬양하는 여자 하인, 남자 작가와 순종적인 여성 필경사나 여성인물)은 어떻게 여자들이 남자의 인정에 의존하고, 그런 의존이 얼마나 파괴적인지 예증한다. - P867

『미들마치』에서 열쇠 이미지는 쉽게 프로이트식으로 읽을 수 있다. 엘리엇은 죽음을 여는 열쇠가 모든 남자가 공통적으로 사로잡혀있는 기원에 대한 강박증과 불가분하게 연결됨을 보여주려고남성의 공격성을 강조한다. ‘단지 시작인 것, 모든 유용성을 다벗겨버리고 정신 속에 오직 시작으로만 범주화되는 지점까지자신을 계속 밀어붙이려고 할 때, 사람은 ‘막 시작하려는 시작‘ 같은 동어반복적 회로 속에 붙잡힌다. 이는 에드워드 사이드의말이다. 미들마치의 모든 전문직 남성은 엘리엇이 ‘존재 없는죽음‘으로 보여주는 것에 붙잡혀 있다. 그들은 현재 순간을 경험할 수 없는 대신, 사이드가 ‘절대자가 느끼는 공허함‘이라고 말한 것을 통해 과거나 미래를 붙잡고 있다. - P873

이 남자들을 통해 엘리엇은 안정된 기원, 끝, 정체성의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는데, 이는 이 남자들과 그들의 프로젝트 때문만이 아니라 확대해서 그녀 자신의 텍스트 때문이기도하다. 엘리엇은 양식에 대한 강박증과 그로 인한 강제에 관심을기울였다. 마치 이 모든 미들마치 사람들의 간절한 열망을 말하기라도 하는 양, 마거릿 애트우드는 이 향수를 주제로 쓴 시에서 ‘우리는 무언가를 상실했다.‘ ‘글쓰기가 분명한 / 이 사물에접근할 수 있는 열쇠를!‘ 하고 외친다. ‘이 혼란, 이 광대함, 이흩어짐을 알아내고 결합시킬‘37 무엇인가가 틀림없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실하거나 숨겨진 열쇠를 찾는 이 탐색은 성과없이 실패로 끝나버릴 운명이다. 다이앤 와코스키는 「태양」이라는 시에서 ‘어떤 새가 그 노래를 부르는가 / 키, 키라고 익살스럽게 묻는다. ‘열쇠들로 만들어진 한 마리의 새‘뿐이다. - P874

사실상 엘리엇은 소설가 자신이 묘사한 궁극적 감금, 자아의감방 속에 갇힌 감금에서 탈출하면서 확장되는 여자 주인공 생애의 비전을 여자들 사이의 (디나와 헤티, 루시와 매기, 에스더와 트랜섬 부인, 로몰라와 테사, 미라와 궨덜린 사이의) 호의적공감 행위와 매번 연결시킨다. - P885

화자는 ‘이 대부분의 내면의 삶이란 다른 사람들이 그에 대해 갖고 있다고 믿는 생각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그의견들로 짠 천이 파멸의 위협을 받을 때까지, 누가 알 수 있겠는가? 하고 묻는다. [64장]46 다만 이보다 덜 명확한 것은 연결의 실을 바느질하는 것이 여자들이기 때문에 공동체를 구성하는 의견의 천을 짜는 사람들도 여자들이라는 점이다. - P892

엘리엇의 목소리는서로 반대되는 관점을 공감하는 듯한 태도로 말하기 때문에, 그목소리는 일반화의 위험을 무릅쓸 때조차 일시적이고 잠정적이기 때문에, 이 화자는 믿을 만한 ‘우리‘, 즉 사람과 사물 사이의 복잡한 친족 관계뿐만 아니라 의미의 미확정성을 받아들이는 공동체의 목소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자아의 한계와 문화의 정의를 뛰어넘어 획득한 이런 성취는 관습적인 역할을 강요당하는 여성 인물들의 현실을 바꾸지 못한다. 화자는 엉켜 있는실타래를 객관적으로 풀어내는 인물로 그녀 그 자신을 제시하고 있지만, 결국 애초에 그런 플롯을 짜놓은 사람은 작가다. - P895

엘리엇의 직물은 무한하게 해독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해독할 수 없는 것으로 남는다. 그것은 문화에 가하는 자연의 복수일 뿐만 아니라 보수적인 기준으로 여성 공동체를 대변한다. - P899

『미들마치』는 엘리엇이 〈웨스트민스터리뷰> 서평가로서 견습 기간을 거친 뒤, 영국의 최고 문학비평가와 오랫동안 개인적인 관계를 맺고 있던 시기에 쓰인 소설이기 때문에 당연히 자의식적인 문학 텍스트라 할 수 있다. 『미들마치』의 모든 장은 세르반테스, 블레이크, 셰익스피어, 버니언,
골드스미스, 스콧, 브라운 같은 작가들을 인용하며 시작한다.
이는 마치 엘리엇이 강박적으로 자신의 자격을 주장하는 것 같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적지 않은 인용구가 전복적이고 재치 있게 활용된 엘리엇의 창작물이다. 그녀는 마치 권위를 인용하는 관습을 조롱하는 듯하다. - P906

여성들이 복종할 때조차 여성적 연기나 위장은 지식과 소유라는 남성적 양식을 무너뜨린다. 동시에 복종한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여자는 남자보다 더 직접적으로 ‘개인적인 공허를 감수한다.‘ [편지 2] 엘리엇의 여자 주인공들의삶을 구조짓는 것은 타자성과 부재이며, 이로써 여자 주인공들은 기원이나 현전에 대한 치명적인 요구를 벗어나 특별한 관점을 획득한다. - P9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지 8 - 2부 4권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마로니에북스) 8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상이 없는 맹목성은 자신 뿐 아니라 주변을 위태롭게 만든다. 환이와 길상이를 보면서 둘은 다른 궤적을 그리며 살았지만 그런 면에서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김훈장과 강포수, 월선이가 떠나갔다. 이동진의 조국에 대한 고뇌, 아이들의 성장을 보며 세월이 흘렀음을 깨닫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테말라 우에우에테낭고 킨 #5 - 200g, 홀빈
알라딘 커피 팩토리 / 2023년 9월
평점 :
품절


다크하고 묵직한 원두는 내가 떨어지지 않게 구비해두는 상비 아이템 같은 것이다. 이전 원두인 브라질 산타 루시아가 고소한 맛과 향에 주목적을 두었다면 이 아이는 정직하게 묵직함을 안긴다. 쓴 맛이 강하기 때문에 빈 속에는 마시지 않는 게 좋고 늦은 오전이나 점심 먹고 졸음 깨기용으로 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2-12-22 15:0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브라질 원두를 제외하고 과테말라 콜롬비아산 원두는 현지에서 마시면 그야 말로 48시간 동안 눈꺼풀이 감기지 않을 정도로 진합니다 ㅎㅎ미쿡인들이 물 왕창 부어서 슝늉 사이즈로 마시게 된 걸 이해 ^^

거리의화가 2022-12-22 15:38   좋아요 2 | URL
ㅋㅋㅋ 벤티 사이즈 이상으로 물을 부어서 먹겠네요?ㅎㅎㅎ 진한 원두를 좋아하기는 하지만 이제는 위를 생각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예전보다는 물을 더 부어서 먹고 있습니다^^;
 


5부 조지 엘리엇 편을 시작했다.



13장과 관련된 <벗겨진 베일>은 몇 개월전 민음사 버전으로 읽었다.

그래서 크게 무리 없이 읽을 수 있었다.


문제는 14장이다.

<미들마치>는 애당초 읽을 수가 없을 것 같아서 포기하고 읽어나가는데 읽을 수록 이해할 수 없는 물음표만 떠다니는 것이다.


이 장에 <미들마치>만 나오는 것이 아니고 그의 다른 작품이 수두룩하게 나오는 듯 하다. 초반에 읽다가 도무지 무슨 내용인지 정리가 안되서 책을 덮었다. 이렇게 읽는 것은 의미가 없겠다 싶어서 말이다.

현재 한국에 번역되어 있는 <플로스강의 물방앗간>, <미들마치>, <사일러스 마너>, <아담 비드>, <다니엘 데론다> 뿐 아니라 <로몰라>, <진보주의자> 등도 언급되고 있다. <다니엘 데론다>와 <아담 비드>, <로몰라>는 몇 차례 언급되는데 이걸 다 읽기는 불가능할 듯하다. 읽는다 해도 이해가 가능한지 모르겠다.


결론은 14장은 결국 포기하고 15장, 16장을 읽어야 하나 심각하게 고민이 든다. 


14장을 읽으신 분들이 있는지 모르겠으나 아무튼 진짜 어제 책장을 덮고 너무 답답해서 한숨만 새어나왔다.

최근 들어 책을 읽다가 이렇게 답답해진 건 간만인 듯 하다.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2-12-21 09:47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저는 벗겨진 베일을 안읽어서 13장이 너무 무슨 말인지 모르겠고 재미도 없고 힘들었거든요. 조지 엘리엇을 하나도 읽지 않아 14장도 큰일이다 싶었는데, 이상하게도 죄다 모르는 작품인데 14장은 재미있어요! 14장에 대해서는 제가 곧 페이퍼를 쓸 예정입니다. 저도 14장 읽는 중입니다, 거리의화가 님.

그나저나 벗겨진 베일 사려고 하는데 딸랑 하나 검색되네요? 그 워터프루프 책이요.. 80페이지밖에 안되는데 만원이 넘어서 못사겠어요. ㅠㅠ

거리의화가 2022-12-21 09:57   좋아요 3 | URL
<벗겨진 베일>은 민음사 북클럽에서 저는 선택으로 받았던 것 같아요. 워터프루프북 사기에는 가격이 좀... 애매하긴 하죠.
역시 제가 내공이 많이 부족해서인 것 같습니다ㅠㅠ 다락방님은 재밌으셨다니 페이퍼 기다릴게요!

은하수 2022-12-21 10:0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역시... 12장만 읽고 있는 저로서는 .. 굳이 모든 장을 안읽어도 되겠군 하고 결정하게 되네요 ㅠ
잘한 결정이겠죠?!

거리의화가 2022-12-21 10:08   좋아요 1 | URL
일단 저는 14장 읽기 재시도해보려구요. 제가 그동안 읽어온 게 워낙 없어서일 거라 생각합니다. mokl2000님 시도는 해보셔요^^

청아 2022-12-21 12:07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확실히 읽은 소설에 관해 나오면 이해하기에 더 수월한것 같아요! 조지 엘리엇의 작품이 은근 여러권 번역되어 있군요? ^^*

거리의화가 2022-12-21 12:58   좋아요 2 | URL
저도 검색해보고 생각보다 번역된 책들이 많아서 놀랬어요^^ 번역되지 않은 작품들도 마저 나오면 나중을 위해서라도 좋겠죠?ㅎㅎㅎ
저에게는 조지 엘리엇이 가장 큰 복병이었네요ㅠㅠ

단발머리 2022-12-21 12:34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저만 힘든 거 아니네요. 하하하. (저 웃는 거 아니고 우는 거에요)
저는 14장 중입니다. 저도 엘리엇 읽지 않은 나를 원망하면서 읽고 나가고 있어요. 그래도... 화이팅?!?

거리의화가 2022-12-21 12:59   좋아요 3 | URL
단발머리님도 같은 부분 읽고 계셨군요~ㅎㅎㅎ
엘리엇 작품 은근 많아서 저거 다 읽기에는... 생각지도 못했습니다ㅠㅠ 오늘 14장 재시도 한번 해보려구요. 단발머리님도 힘내세요!

독서괭 2022-12-21 13:1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 일단 뛰어넘고 12장부터 읽었거든요. <빌레뜨> 읽고 읽으니 머리에 쏙쏙 들어오고 좋아서! 다음으로 <폭풍의 언덕>을 읽으려고 합니다. 근데 조지엘리엇 작품이 그렇게 많이 나온다고요.. ㅠㅠ 큰일이다.. 이 <다락방의미친여자>는 아무래도 1년짜리 프로젝트로 진행했어야 하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 흑흑 ㅠ 그래도 최선을 다해보겠습니다..! 화가님도 힘내세요..!!

거리의화가 2022-12-21 13:32   좋아요 2 | URL
빌레뜨 읽고 12장 읽으니 정말 재밌죠! 저도 읽길 잘했다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저는 제인에어보다 빌레뜨가 더 재밌었어요ㅎㅎㅎ
1년짜리... 했어도 충분했을듯 합니다. 관련 작품이 워낙 많아야지요ㅎㅎ 괭님도 남은 분량 힘내시길!

mini74 2022-12-21 14:1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도 미들마치에서 멈추고 있어요. 이 책을 읽고 시작해야 되나 싶고...
빌레뜨는 일단 도서관에 예약은 했는데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ㅎㅎㅎ 관련 도서들 중에 이렇게 읽은게 없었나 싶어요.
화가님도 파이팅입니다 *^^*

거리의화가 2022-12-21 14:18   좋아요 2 | URL
미들마치... 축약본이라도?^^; 정본은 너무 두꺼워서(다미여과 비슷했나 더 두꺼웠나 그랬던 것 같은데) 빌레뜨는 생각보다 재밌습니다. 그러나 미니님 무리는 마셔요. 몸 상태 봐가면서~ 화이팅입니다~!

페넬로페 2022-12-21 21:3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미들마치가 책이 너무 두꺼워요.
집에 책이 있는데 저도 읽을 엄두가 안나요.ㅠㅠ
어떨때는 책의 힘든 부분을 빼고 읽는것도 하나의 방법 같더라고요^^

거리의화가 2022-12-22 09:04   좋아요 3 | URL
그쵸. 현재 나온 정본이 번역 문제도 좀 있는 것 같아서... 저는 읽더라도 한참 뒤 읽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더라도 넘기는 건 아쉬울 것 같아 14장을 다시 읽는 중입니다. 적당히 퉁기면서요~ㅎㅎ 페넬로페님 감사합니다.

2022-12-22 11: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12-22 12: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희선 2022-12-23 01:2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여기에서 말하는 책 다는 아니어도 조금이라고 읽으면서 읽으려면 책 다 읽기까지 시간 많이 걸리겠습니다 그렇게 읽어야 더 좋을 것 같기는 하네요


희선

거리의화가 2022-12-23 09:19   좋아요 2 | URL
관련 작품 다 읽고 다미여 읽으려면 한참이 걸려야...ㅎㅎ 처음 읽는 것이니 이번에는 이렇게 넘어가고 재독하기 전에는 관련 작품을 읽고 깊이 읽어보려구요^^;
 

26
가장 극적인 파트일 듯

That one vial could kill every person in the ship-not to mentionevery last terra-former, and me, Javier, and the other kids-if Idon‘t destroy it. But there‘s no way to get back into the sealedglovebox right now without exposing myself.
"If the Collective returns to this planet one day, it will bewith a corrected genetic makeup to our epiderm-filters. Thiscould take several units, but we can ensure this settlement willbelong to the Collective and the Collective alone. It is truly akindness to humanity to halt those who would destroy thisplanet, as they‘ve done to their own. A new origin!" - P235

Feathers rolls over in her cell. I stare down at her round, pinkcheeks. Javier was her age when he was taken out of stasis. I can‘timagine her growing into an old woman here on the ship. TheCollective stole Javier‘s youth, stuffing him down there in thatstupid lab. The thought of someone spending all those yearsalone makes me feel seasick. I can‘t let that happen to them. - P238

Like Dad used to do in church, I place a bead between mypointer finger and thumb and rub my fingers over its surface. Imove on to the next and realize Dad‘s patience is in every lastone of these beads. His love and kindness flows over its smoothsurface into my fingers.
I slip it over my head, and it weighs heavy on my chest. Iwonder how the whole Jesus thing works if we‘re on a differentplane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alaxy in another solar sys-tem. If Jesus was the son of God and God was the god of theuniverse, does it work here too? - P240

I realize how differentandcreepy a lot of Mexican folklore is. Love, humor, pain,
magic, lost souls-all woven to create stories most culturesmight sugarcoat. - P243

Now, I know that somewhere insideEpsilon-5 is my little brother, hiding my chocolate egg behindhis back. Somewhere inside he‘s still Javier, and he wants to live.
I take shallow breaths and stare up at him, unable to speak.
I want to reach out and take his hand, make him remember, tellhim I won‘t let anyone hurt him and he no longer needs to hide. - P246

"Books became our language. Booksbecame our home. Books became our lives." - P248

I don‘t move or speak. Mom always said you can never knowexactly what someone is going through. Sometimes I must besilent and give them time. So, we just sit. Finally, he takes a longbreath. - P249

"You‘ve been given an opportunity others would trade any-thing for," I repeat him exactly. "You have a responsibility torepresent our family. To be kind. To work hard. Don‘t fight."
Javier‘s gravelly voice continues. "We are Peñas. Everythingwe do from this moment on will bring great pride or great sad-ness to our ancestors." - P2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