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68

관중의 신의를 중시하는 마음
송양지인 고사의 유래
진문공이 패자가 되는 드라마틱한 사연
초 성왕이 미래를 내다본 한 수

나라에 재(財)가 많으면, 곧 멀리 있는 자가 온다. 토지가 벽거(僻居,
개발)되면, 곧 민(民)은 유처(留處, 머묾)한다. 창늠(倉庫, 곡창)이 차면,
곧 예절을 안다. 의식(衣食)이 족하면, 곧 영욕(榮辱)을 안다. 윗사람이도(度, 법령)에 따르면, 육친(六親)이 화합한다. 사유(四維, 예의와 염치)가 행해지면, 곧 임금의 영이 행해진다.
이는 『관자』의 첫머리에 있는 말이다. 관중의 사상이 여기에 응축되어 - P414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절도 영욕을 아는 마음도 모두 경제적인 기초가 없으면 안 된다는사고방식으로, 혹은 경제 지상주의처럼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조말(曹沫)의 협박에 의한 약속을 환공에게 끝까지 지키게 한 데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관중은 무엇보다도 신의를 중히 여겼다. - P415

패자의 자격으로는 회맹의 맹주가 되고 다른 나라의 일에 간섭할 수 - P434

있는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송나라의 양공은 이전까지의 경위도 있었기에 제나라의 후계자 문제개입했다. 제나라의 환공은 관중과 의논하여 태자인 소를 송나라로유학을 보냈다. 송나라의 양공은 의뢰를 받은 일이기 때문에 소에게 제왕학(帝王學)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제나라에서 태자를 바꿔 무궤가 군주가 되었고, 소는 송으로 되돌아와 망명을 했다.
송나라의 양공은 아버지의 상중이었음에도 규구의 회맹에 참석했다.
‘천하의 일이 집안일에 우선한다는 것이 양공의 생각이었다.
그는 보기 드문 이상주의자였다. - P435

진나라의 문공(文公)은 패자가 되고 싶어서 된 것이 아니었다. 진나라의 군주가 되는 것조차 그다지 염두에 두고 있지 않았다. 어느 날 갑자기진나라의 군주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찾아왔으며, 진후(晋侯)의 자리에 오르고 보니 눈앞에 패자로 가는 길이 펼쳐져 있었다. - P453

만약 어쩔 수 없이 군왕을 병거(兵車)와 함께 평원광택(平原廣澤)에서 마주하게 된다면, 청하건대, 왕을 피해 삼사(三舍)하겠습니다.
만약 훗날 넓은 전장에서 적으로 만나게 된다면 삼사를 후퇴하겠다는 말이다. 사(舍)란 군대가 하루에 행군하는 거리로 30리라 정해져 있었다. 주나라의 1리는 405미터 정도였으니 1사는 12킬로미터 정도가 된다.
36킬로미터 정도 물러나겠습니다. 그것이 보수입니다. 라고 말한 것이다.
초나라의 장군인 자옥(玉)이 화를 냈다. 들개처럼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는 망명 공자 주제에 그 무슨 불손한 말인가. 죽여 버리자고 성왕에게 말했다.
성왕은 그 말을 듣지 않았다.
진나라의 공자는 어질지만 밖에서 오래 고생했다. 따르는 자들은모두 국기(國器, 나라의 어진 인재)다. 이는 하늘이 둔 바이니 어찌 죽일수 있겠는가. 그리고 말은 무엇으로 이를 바꾸겠는가. - P4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与众不同 남다르다
大名鼎鼎 명성이 높다, 명성이 자자하다
用心 심혈을 기울이다

他在家乡是个大明明的人物。 그는 고향에서 명성이 자자한 사람이다.
你不用心学,怎么能学好?열심히 공부하지 않는데 어떻게 공부를 잘할 수 있어?


댓글(6)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붉은돼지 2023-01-06 21: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통쉬에군요 반갑습니다..흔까오싱!! ㅋㅋㅋㅋ
저는 ebs 초급 중국어 1년 넘게 했는데 하나도 늘지가 않는군요....너무 슬픕니다. 흑흑흑 ㅜㅜ
하루에 20~30분, 일주일에 3일 해서는 아무 소용이 없는 것 같아요
하루에 3시간 이상, 5년 정도는 꾸준히 용심해야 어느정도 솰라솰라 할듯 ㅜㅜ

거리의화가 2023-01-06 22:04   좋아요 1 | URL
ㅎㅎㅎ 붉은돼지님도 초급 중국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으시군요. 말씀대로 듣기만 해서는 저도 확 늘진 않더군요. 저는 2~3년쯤 들은 것 같은데 처음에는 초급 중국어를 1~2년 듣고 그러다 2~3년째부터는 중급 중국어를 같이 들었어요. 신기하게도 듣는 것은 초급 중국어가 확실히 잘 들리더라구요. 문장이 좀 더 짧고 쉬운 문장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부담이 없죠. 중급 중국어로 넘어가면 단계가 뛰어서 저도 두 선생님 대화는 몇 마디 밖에 못 알아듣고 그렇다해도 조금씩 들리는 게 신기해서 열심히 듣고는 있어요. 듣기만 해서는 어려운 것 같아요. 저도 그래서 요즘은 한자도 눈에 익히려고 노력중입니다.

그레이스 2023-01-12 08: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요즘 간체자에 관심이 있던 차인데... 중국어 배워볼까 생각도 하고 있구요.

거리의화가 2023-01-12 09:07   좋아요 1 | URL
중국어 공부하시려면 저처럼 독학보다는 초반에는 성조 때문에 학원 다니는 걸 추천하더라구요. 저는 시간상 학원은 못 다닐 것 같아서 독학으로^^; 그러다보니 안 늡니다ㅎㅎㅎ 근데 그레이스님 간체자 관심이 생긴 계기가 궁금한데요?

그레이스 2023-01-12 09:10   좋아요 1 | URL
중국인들 문자 넣는 방식을 유심히 보다가 첫번째 한글의 우수성을 깨달았고, 두번째로 간체자를 알고 싶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럴려면 일단 중국어를 알아야겠죠^^

거리의화가 2023-01-12 09:17   좋아요 0 | URL
오... 중국어 공부하시는 분들이 서재에 없는 것 같아서 저 혼자 드라마도 보고 언어도 공부하고 그러고 있었거든요. 그레이스님 공부하시면 금방 잘 하실 것 같아요^^ 응원합니다!
 

이제는 학교 시절도 기억에 희미하지만 입학식 때의 긴장감은 누구나 기억할 거라 생각한다.


학교의 분위기는 어떠할지, 선생님과 친구들은 어떤 사람들일지 궁금했고 

나는 일단 그보다는 학교라는 곳 자체에 대한 낯선 세계의 두려움이 컸던 기억이 난다.



주인공인 August는 그동안은 홈스쿨링을 해오다 학교라는 곳에 가기 위해 조사차 방문을 한다.


세 명의 친구를 만났는데 그 중 한 명은 상대방 기분이나 입장 따위는 생각하지 않는 무례한 친구였고 다른 한 명은 말이 너무 많아서 피곤하다 느껴졌다.


이로써 주인공의 성정을 이해할 만하다. 그는 시끄럽고 번잡한 것을 견디기 싫어하며 부담스러운 상황을 못견뎌한다는 것을.

그는 MBTI 로 아마도 I(내향형)일 것이다. 


"I wished she wouldn't talk to me like I was a baby in front of other people."


엄마는 아이를 응원해주고 싶은 마음, 그리고 자랑하고 싶은 마음이었을 거라 생각한다. 그렇지만 아이도 아이의 생각과 마음이 있다.


오래 있기 싫어서 핑계를 대며 집으로 돌아왔는데 엄마는 학교도 좋고 아이들도 좋지 않았냐며 상기되어 있다.

다운된 기분을 표현했더니 엄마는 자신의 생각과 다른 것에 충격을 받는다. 엄마는 만약 학교에 가는 것이 싫다면 안 가도 된다고 하지만 아이는 엄마를 생각한 걸까. 가겠다고 한다. 


이제 학교에 가게 되면 많은 일들이 벌어지겠지.


요즘은 홈스쿨링을 얼마나 할까. 제도권 학교에 대한 문제 의식이 예전부터 있어서인지 나는 대안 교육에 흥미가 있다.

지인 중에 제도권 학교가 아니라 대안 학교를 보낸 분이 있다.

아이가 제도권 학교를 가기 싫어했고 본인 스스로 의지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생각한다.

아이는 어느덧 훌륭하게 잘 자라 성장했다. 볼 때마다 내가 부모는 아닌데 어찌나 뿌듯한지.


제도권 교육에 대한 문제는 여전하다는 생각이 든다.

입시만을 위한 교육은 피로도를 높이고 이 사회를 망치는 지름길이란 생각이다.

진정한 교육을 위해서는 하고 싶고 배우고 싶은 것을 찾아서 공부해야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쉽지는 않은 문제다. 하지만 지금의 교육 시스템이 개선되었으면 좋겠다.



정희진의 오디오 매거진 1월 에피소드가 올라왔다.


1월 주제가 '읽기'여서 반가웠다.

우리는 모두 열심히 책을 읽는 사람들이니까 말이다.


첫 번째 에피소드만 들었다.


독서라는 행위가 무엇인지, 독서를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는지, 무얼 읽어야 하는지 이야기한다.



플라톤과 공자부터 공부할 필요가 없다. '지금 여기'에서 내게 필요한 공부를 하다 보면 '고전'과 만나기도 하고 충돌하기도 한다. 그러려면 우선 현재 자신의 사회적 위치를 알고 자신에게 필요한 공부가 무엇인지 깨달아야 한다. '지금 여기'에서 내게 필요한 공부를 하다 보면 다음에는 어떤 공부가 필요할지 깨닫게 된다.


작년 이 책에서 만났던 이 구절이 생각났다.


여기서 공부를 책 읽기로 바꾸면 독서에 대한 생각으로 바뀐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3-01-05 21:4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원더 영화는 좋았는데 오히려 원작이 지루 !ㅎㅎ

공부에 어떤 법도가 없듯이

읽기도 마찬가지 인 것 같습니다 ^^

거리의화가 2023-01-06 09:20   좋아요 2 | URL
스콧님도 이 책이 딱히 재미는 없으셨나봐요^^; 아직 초반이라 그렇긴 하지만 저도 제 취향은 아닌듯...ㅎㅎ

공부와 읽기에도 자기의 목적과 방향이 중요한 것 같아요. 고전이니까 무조건 덤벼드는 것도 자기에게 의미가 없다면 영향도도 떨어진다는 생각이 듭니다.

희선 2023-01-06 01:3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한국 학교는 여전히 입시를 더 많이 생각하기도 하네요 바뀌어야 한다는 말은 오래전부터 나왔을 텐데, 바뀐 건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지금은 괴롭힘 같은 게 더 심해지고 사이버 폭력도 하다고 하니... 학교와 가정이 함께 아이를 가르쳐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저는 새학년이 되면 학교 가기 싫었어요 그래도 어떻게든 다녔네요

자신이 하고 싶은 게 뭔지 찾게 해주는 학교라면 좋을 텐데...


희선

거리의화가 2023-01-06 09:22   좋아요 1 | URL
학교라는 공간이 여전히 좀 답답하게 느껴져요. 아무래도 입시 체제 아래에서의 교육이다보니까 의도치 않게 끊임없이 경쟁에 내몰리는 것이 안타깝죠. 저도 새학년이 될때마다 부담스러웠던 기억이 납니다. 말씀하신 대로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하게 해주는 교육이 필요하단 생각이 들어요.

새파랑 2023-01-06 06:3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전 그래도 중고등학교 다닐때가 가끔 그립습니다. 추억보정일까요? ㅋ
요즘 학생들 보면 예전보다 더 치열한거 같더라구요 ㅜㅜ

거리의화가 2023-01-06 09:24   좋아요 2 | URL
ㅎㅎㅎ 새파랑님은 학교 시절이 좋으셨나봐요. 저는 특급 활동 시간만 좋았던...기억이~ㅋㅋㅋ 국영수 모두 지루하고 왜 공부해야 하나 그런 답답함으로 세월을 보냈던 기억이 납니다. 요즘 아이들도 여전한 것 같네요. 수능도 그러고 보면 몇 십년이 지났는데 여전히 존속하고 있네요^^;;;

독서괭 2023-01-06 10: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 지인도 중학생 아이가 학교생활을 힘들어해서 대안학교에 보냈는데 너무 즐겁게 다닌다고 합니다. 참 입시가 뭐고 대학이 뭔지.. 즐겁게 살기도 모자란데요.
오디오 매거진은 어디에서 듣는 건가요??

거리의화가 2023-01-06 13:07   좋아요 1 | URL
괭님 지인 중에도 그런 분이 계시는군요. 즐겁게 다닌다니 다행입니다. 아무튼 부모들의 고민도 많아지는 것 같아요. 이 모든 것이 최선의 방안이 뭘까를 찾는 과정 중의 하나겠지요.

정희진 오디오매거진 팟빵에서 진행하는 거에요. 여기 가셔서 확인하시고 관심 있으시면 구독하시면 될 것 같아요^^ https://www.podbbang.com/magazines/1785996

독서괭 2023-01-06 14:20   좋아요 0 | URL
오 감사합니다~^^

바람돌이 2023-01-06 15:2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지금 첫번째 에피소드 반쯤 들었어요. 글과 다르게 또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 제도권교육과 대안교육에 대해서는 저도 고민이 많은데 아직 답을 못찾았어요. 장단점이 확실한 편이고 개인의 상황이 맞물리기 때문에 쉽게 말할수 있는 소재는 아닌거 같아요. ^^

거리의화가 2023-01-06 22:05   좋아요 2 | URL
책에서 만나는 느낌과 많이 다른 것 같아요. 이전에도 강의를 많이 하셨던 분이라 자연스럽게 잘하시더라구요~ㅎㅎ
저도 교육은 무엇보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라고 생각해요. 아이의 생각이 일단 중요한 것 같구요. 대안교육 이후의 문제도 고민해야 하는 부분이니까 말이죠. 어려운 것 같아요^^;;;
 

~393

위의 무당은 특무(特務)를 맡은 장관이었다. 그가 고발을 하면 고발당한 사람은 그것으로 끝이었다. 바로 목숨을 잃었다.
이렇게 되면 비방이라도 할 수 있었던 시대가 그나마 나았다고 생각하게 되는 법이다. 함부로 입을 열 수가 없었다. 아니나 다를까, 사람들은침묵했다. 누가 어디서 듣고 있을지 알 수 없는 일이었다. 이 시기 사람들의 상태를 『사기』는,
국인이 감히 말을 못하고 길에서 눈으로 했다.
고 표현했다. 길에서 친한 친구를 만나도 서로 말을 나누지 못했다. 깊고깊은 원한을 눈빛에 담아 소리 없는 말을 주고받았다.
"어떤가? 요즘에는 비방하는 자들도 사라지지 않았는가?"
이에 대해서 소공은,
백성의 입을 막는 것은 물을 막는 것보다 더 심하다.
라고 대답했다.

->
유신 시기하고 비슷하구만. - P311

철부(哲夫, 현명한 남자는 성(城)을 이루며, - P334

철부(哲婦, 현명한 여자)는 성을 기울인다.
아아, 그 철부가효(梟)가 되고 치(鴨)가 된다.
여자의 장(長)이 있음은재앙의 시작.
이흔한 난(亂)은 하늘에서 내리는 것이 아니라부인에게서 난다.
가르쳐도 안 되고, 일깨워도 안 되는 것은바로 이 부(婦)와 시(寺).
현명한 여자는 효와 치(모두 올빼미로 좋지 않은 소리로 우는 새)와 같아서그 장설(말이 많음)은 재앙의 씨앗이라는 것이다.
난은 하늘에서 내리는 것이 아니라 부인에게서 나온다는 말은 약간책임을 회피하려는 것처럼 느껴진다. 아무리 정성껏 가르치고 일깨워도효과가 없는 것은 여자와 시인(詩人)이라는 것이다. 시인이란 거세하고 후궁에서 일하는 자, 즉 환관을 일컫는 말이다.
이 시의 앞부분이 유왕을 말하고, 뒷부분이 포사에 대해 읊고 있다는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 나라의 멸망이 포사 한 사람에게 가 있지는 않았겠지. 멸망의 구실을 꼭 뱀, 표독스러운 여인, 악독한 여인에게 모는 건 그때나 지금이나… - P335

나는 왕이다.
라고 주의 환왕은 생각했다.
왕은 우리 집의 보좌를 받아 간신히 존재하고 있다.
정의 장공은 자신이 보고 들은 사실에 따라 그렇게 믿고 있었다.
환왕 재위 3년에 정의 장공이 입조했는데 대우가 좋지 않았다. 3년 전에 - P343

정나라 사람들이 왕의 영토에 침입해서 수확물을 가져갔기 때문이었다.
나를 이런 식으로 대우하다니!
라며 정의 장공은 화를 냈다. 확실히 3년 전에 그런 일이 있었다. 그러나지금까지 주의 왕실은 누구 덕분에 유지되어 왔는가? 그 공로를 생각한다면 수확물의 탈취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 적어도 정의 장공은 그렇게 생각했다.
현대 사회에서도 이와 비슷한 일들을 여기저기서 볼 수 있다. 2대째의사장, 혹은 주나라처럼 한 세대 건너서 자리를 물려받은 후계자는 회사전체가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는 창업의 고통 따위는 알지도못한다. 그러나 중역의 입장에서 보자면, 회사를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신임 사장의 태도는 불쾌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특히 주의 처지는 도산한 회사나 같았다. 도산한 회사를 되살린 것은대부분 중역의 힘이었다. 그런데도 후계 사장은 중역의 사소한 월권행위에 두 눈을 부릅뜨고 있다.

-> 예를 들면 삼성 승계 과정? - P344

제사를 치를 때는 반드시 음악이 연주되었다. 음악사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 혹은 신과 인간 사이에 서서 양는
자를 연결해주는 존재라고 여겨졌다. 신의 뜻을 가장 잘 아는 자리에 있는 음악사가 포기한 것이라면 그 나라도 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서주 말기의 왕실 음악가들은 한 곳으로 옮기지 않고 사방으로 흩어졌다. 제후들의 나라를 의지해서 갔는데, 서로 경쟁하지 않기 위해서 계획적으로 흩어진 것 같다. 고사(師)라고 불렸다는 데서 알 수 있듯이당시의 음악사들 중에는 맹인들이 많았다. 시각을 잃은 만큼 다른 곳의감각은 발달했다. 그 이상한 감각으로 신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고겨졌던 모양이다. 게다가 서로가 맹인이라는 단단한 유대감이 있었기 때 - P360

문에 단결력도 강했다. 모두가 상의를 해서 계획적으로 목적지를 정한것 같은 느낌이 든다.
음악사들이 사방으로 흩어진 탓에 지방문화 향상에 커다란 도움이되었다.
정나라의 음악도 ‘정성(鄭聲)‘이라 불렸는데 상당히 유명했다. 그러나그다지 명예롭지 않은 쪽으로 이름을 날렸다. 왜냐하면 중국인들의 성경이라고 할 수 있는 『논어』의 「위령공편(衛靈公篇)」이라는 글 속에 다음과같은 내용이 있기 때문이다.
음반 안연(顔淵)이 방(邦)을 다스리는 것에 대해서 물었다. 공자가 말하기를, 하의 시(時)를 행하고, 은의 수레(輅)를 타고, 주의 면(冕)을 입고, 악은 곧 소무(韶舞)이다. 정성을 내몰고(放), 영인(倭人)을 멀리해야 한다. 정성은 음(淫)하고, 영인은 태(殆)하다. - P361

무왕이 천하를 잡았을 때, 주는 그다지 강력하지 않았던 듯하다.
왕, 강왕 무렵에 정력적으로 판도를 넓혔다. 의후적궤에 있는 왕의 순수 - P376

는 틀림없이 원정이었을 것이다. 판도확장은 제후에게 토지나 서민을 주기 위해서 필요했다. 대우정에는수민수(受民受疆土)라는 말이 있다. 왕은 천명을 받아 백성과 영토를 받은 것이라 여겨지고있었다. 그런데 봉건제 사회였기 때문에 이를 제후들에게 나눠주지 않으면 안 되었다.
소왕이 남방에서 죽은 것은 아무래도 원정 중에 전사한 것 같다는사실을 앞에서 이야기했다. 영토 확장 사업도 그쯤에서 드디어 좌절을맛보게 된 것이다.
유왕이 견융에게 습격 받는 일 등이 있어 주는 쇠미해져 갔다. 그러나봉건 제후들의 판도는 넓어져 갔다. 약한 중앙에서 떨어져 나간다는 것은 당연했다.
이렇게 해서 ‘지방 시대‘가 찾아왔다. 게다가 천하는 더욱 넓어졌다. - P377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일들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천하가 넓어졌다.
첫 번째는 예전까지는 변경이라 여겨졌던 지방으로 중원의 제후가 이봉(移封)된 경우다. 오(吳)나라의 조상이라 여겨지고 있는 의후(侯) 적(矢)이 그랬을 것이라 추측되고 있다.
두 번째는 토착세력이 중원의 문화적 영향을 받아서 중원화한 경우다. 삼묘의 후예인 듯한 초나라가 여기에 해당될 것이다.
세 번째는 제후의 변경 개척이다. 객사현 출토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연의 동북 진출이 그 전형적인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P387

초나라가 강성해질 수 있었던 것은 초나라 사람들의 용감함과 초나라땅의 비옥함이 커다란 원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자기 개조를 위해 쏟아부은 힘이 커다란 활력을 낳은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초나라 사람들은 고집스러운 면이 있다. 지금도 호북이나 호남에는 한번 마음먹으면 목숨까지도 거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호남 사람과는싸움을 하지 말라‘는 속담이 있다고 한다. 싸움을 하게 되면 끝까지 물고늘어져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귀찮다는 뜻이다.
이와 같은 성격을 가진 초나라 사람들이 일단 자신들을 중원화해야겠다고 생각했다면, 극단적이다 싶을 정도로 그것을 실행했을 것이라는 점은 쉽게 상상해볼 수 있다. 어설픈 행동은 하지 않는다. 그렇게 철저했기 때문에 초는 자신들의 전승까지도 스스로 버린 것이 아닐까? - P389

동쪽으로 도망한 동주의 평왕은 예전의 본거지를 진에게 맡겼다. 진은이때 처음으로 제후가 되었다.
"나는 만이다"라고 큰소리치며 만이라는 사실을 간판으로 삼았던 적이 있는 초나라조차 성왕 시대에 자작을 받아 제후의 일원이 되었다. 기원전 1000년 무렵의 일로, 평왕(기원전 770년부터 재위) 시절에 봉해진 진보다 200년 이상이나 선배인 셈이다.
제후라는 입장에서 보자면 진은 신참에 지나지 않았다. 첫 번째 형태는 변경으로 이봉된 형태라고 말했지만, 진은 이전까지 제후가 아니었기때문에 이봉이 아니라 신봉(封)이다. - P3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기가 초나라에 가서 펼친 정책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3-01-04 23: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화가님 글씨체에 2023년의 운세 기운이
퐉! 느껴집니다 ^^

거리의화가 2023-01-05 09:13   좋아요 0 | URL
앗ㅋㅋㅋㅋ
이렇게 이미지가 크게 보이는 줄 몰랐네요?ㅎㅎ
평소보다 급하게 썼더니 더 날림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