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7. 레즈비안 페미니즘과 퀴어이론

레즈비안 페미니즘은 섹슈얼리티가 자유 선택이거나 본질적 성향이 아니라 더 복잡한 것이라 말한다. 가부장제는 젠더 정체성, 섹슈얼리티를 결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이성애적 규범도 문제임을 제시한다.

퀴어 이론은 모든 섹슈얼리티와 정체성이 구성된 것이라고 말한다.

페미니즘의 이론과 정치학은 거의 항상 이성애 규범에 의존했기 때문에, 여성 동성애와의 관계는 언제나 문제적이었다. - P294

동성애 욕망, 행위, 정체성에 대한 정의는 유동적이다. 또한 그들에 대한 유동적인 정의는 생물학적 성, 젠더 귀속, 젠더 정체성, 성적 취향과 가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사실은 퀴어 정치학에서 일어난 변화를 살펴보면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다. 게이와 레즈비안 이슈에 대해 활동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낸 정의를 사용하되 이를 재배치한다. - P298

리치는 모든 여성이 레즈비안으로 정의될 수 있다고 보고, 여성 동성애야말로 강제적인 이성애와 가부장제가 뒤엉켜있는시스템에 대한 진정한 페미니스트적 대응이라고 본다. - P302

유물론자로서 위티그는 정체성을 결정하는데 물질적인 요인을 선행하는뭔가가 있다는 관념적인 가정에 반대한다. 위티그는 여성을 자연적인 그룹이기 보다는, 억압된 계급으로 재정의한다. 위티그의 궁극적인 목표는 여성이란 계급, 남성이란 계급을 타파하고, 새로운개인 정체성을 위해 싸우는 것이다. 새로운 정체성은 계급 정의에서 벗어나는 것이어야 한다. 이런 목표가 달성되기까지, 여성이란계급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레즈비안이 되는 길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 P303

누구나 수행을 반복해야 하고 적응해야 하기 때문에, 지배적 젠더 정체성 모델을 전복하고, 전담론적/전사회적인 전통적 주체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행위를 실천할 기회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버틀러가 말하듯이, "젠더를 구성하는 메커니즘이 우연적일 때만, ‘구성‘ 그 자체가 정치적인 기획에유용할 수 있고, 그래서 결국 젠더 구성을 더욱 다양하게 확장할 수있게 된다" (38). 레즈비안/게이 하위문화야말로 정상적 성적 욕망과 젠더 정체성을 재의미화하여 지배 이성애/남성 문화를 교란시킬 수 있다고 버틀러는 생각한다. - P306

윈터슨에게 여성 동성애는 페미니즘과 분리될 수 없다. 한 리뷰는 윈터슨의 소설이 "남자와의 결혼에 복수하려는 듯한 적대감,
양성성(androgyny)에 대한 매혹, 여성을 더욱 강하고, 더욱 분별력있고, 신체적으로 더욱 지배적인 성으로 여기는 보상적 비전"을 제시하려는 "일종의 핑계같다"고 말했다. 이러한 리뷰에는 딱히 페미니즘이나 여성 동성애와 같은 단어가 사용되지 않지만, 성적 구분을 붕괴해버리고 전복시키려는 몰상식한 남성 혐오자를 거론할 때에 함축적으로 페미니즘과 여성 동성애가 내포되어 있다. 원터슨은 그녀의 소설에서 각각 다른 맥락에서 성적 구분을 전복시키려는전략을 분명히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리뷰는 윈터슨의 전략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면서 이를 예술에서 끼어들어서는 안되는 단순한 정치적 개입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 P308

"그녀는 그것이 무엇인지 모르지만,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좋아한다" (77). 그러므로 어떤 이분법이든지간에 뭔가를 감시하고 배제하려고 할 때, 그 시도는 필시 실패하고 만다. 왜냐하면 배제된 것은 결코 애초부터 부재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런 원리는 『벚나무 접붙이기』에서 남성/여성, 동성애/이성애 이분법에도 해당된다. - P318

리치와 위티그 누구도 남성 동성애가 차지하는 지위가 어떤 것인지대해 고려하지 않는다. 그들은 동성애자로서 억압당하고 있지만, 동시에 남자로서 억압하는 자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동성애 남성들이야말로 "이성애 문화에서 진정으로 전복적인 범주가 아닌가" (Fuss, 46) ? 사실상 여성 동성애와 남성 동성애자의 섹슈얼러티는이성애 섹슈얼리티와 뒤엉켜있는 것만큼이나 서로 뒤엉켜있다고볼 수 있다.
리치나 위티그의 글 어디에서도 여성 동성애가 욕망에 대한 것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대신에 여성 동성애는 강제적 이성애의 반대편에 변함없이 특별한 위치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그 특별한 위치로 인하여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매우 다양한 여성 동성애 경험이획일화되고 있다. - P319

『젠더 트러블』의 강점 중 하나는 사회구성론이 반드시 주체의 상실을 의미하거나, 전복의 가능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젠더 트러블』의 약점 중 하나는 특정 - P322

하게 젠더화된 수행이 언제 어떻게 전복적이 되는가, 어떻게 재의미화된 수행이 대립적 정체성과 정치적 행동의 기초를 마련할 수있는가에 대해 정확하게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버틀러는 논의한다. "모든 의미는 반복하려는 충동의 궤도 안에서 생겨난다. ‘주체적 행동권‘ (agency)은 반복의 변주가능성의 범위 안에서 설정된다"(145). 이런 반복이 자체로 어떻게 언제 전복적으로 되며, 어떻게 현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개입의 수단을 만들어내는가? - P323

윈터슨은 젠더 정체성의 수행적 개념이 지니는 한계를 지적하고 싶은지도 모른다. 젠더를 재의미화하고 재해석하는데 지배세력이 반대한다면, 재의미화는 효과가 없어진다. 이런 관점에 따르면, 진짜 사회적/문화적 변 - P323

화란 젠더 전통의 수행을 지엽적으로 재배치한다고 해서 만들어지지 않는다. 동성애 성적 실천이나 성향에 대한 용어가 변한다 해도사회는 여전히 동성애를 두려워한다. - P3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apter6.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

해석의 자유

포스트근대성과 포스트모더니즘은 다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실재와 재현의 구분이 불필요하다

엘리스 자딘의 <가이네시스>(1985)
세일라 벤하비브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질문>(1992)
엔젤라 카터 <써커스의 밤>(1984) ***

참고 작품 중 읽고 싶은 것이 생겼다. 카터의 작품은 꼭 읽어 보고 싶다. 역사물의 젠더화, 역사의 본질 탐색. 딱 내가 보고 싶던 것. 또한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기도 하다고 하니.

우리는 쟝 보드리아드(Jean Baudrilard)가 말한 "하이퍼리얼리티"의 상태에서 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이 텍스트의 연속이다." 그런 상태에서 정체성이나 자아를 전통적인 방식으로 설명하는 것을 더 이상 신뢰할 수 없게 된다. 인간은 더 이상 건전한 판단이나 윤리적 행위를 할 수 있는 이성적이고통합된 존재가 아니다. 인간에 대한 근대의 신념은 사라졌다. 대신에 인간은 분열되어 있고, 일관성이 없으며, 비이성적인 존재다. 그래서 우리가 만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설명하려면 여러 가지 다양하고, 작고, 지역적인 설명들이 중요해진다. - P250

포스트근대성은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사회경제적 요인들을 설명하는 개념이고, 포스트모더니즘은 그 시대의 문화적 생산품을 지칭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을 순순히 사회적 변화에 대한 문화적 반응으로만 보는 것은 너무 나이브하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실재와 재현이 점점 더 불필요한 구분임을 내포하고 있다. - P251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의 프랑스적 요소에 의해 이와 같은 페미니즘 정의가 해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페미니즘이 여전히 직설적 분류를 강조하기때문에 비판받고 있다. 그러나 자딘은 페미니즘이 포스트모더니즘과 공통점이 있는데, 공통점은 둘 다 계몽주의적 사유의 특징인 배타적이고 지배적인 서사를 비판한다는 점이다. 그녀는 자신이 만들어낸 "믿을 만한 신조어 ‘가이네시스‘ㅡ즉, ‘여성‘의 담론을 모더니티의 조건에 내재하는 과정으로서 표현하는 것의 과정"에 매료되어 있다. 즉, "여성적인 것과 여성‘을 새롭고 필수적인 사유, 쓰기, 말하기의 양식에 내재적인 것으로 그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다"(25). - P255

벤하비브는 세 개의 주제들-인간의 죽음, 역사의 죽음, 형이상학의죽음을 제인 플랙스(Jane Flax)의 책 사유하는 파편들』(ThinkingDENFragments: Psychoanalysis, Feminism and Postmodernism in the ContemporaryWest) 로부터 빌려온다. 벤하비브는 페미니즘도 비슷한 세 개의 주 - P259

제를 창조해냈고, 이는 바로 "이성적 남성 주체의 탈신비화", "역사적 서사의 젠더화", "초월적 이성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회의",다. 다시 말해서 페미니스트 비평가나 철학자는 젠더 이슈와 불평등이 특별히 정체성, 역사, 이성에 대한 잘못된 근대 개념들 때문에생겨난 것으로 보고, 이들을 해체시켜버린다. 그러나 페미니즘이포스트모더니즘 주제들의 "강한" 버전에 동의하려면 "자기모순의위험과 일관성을 잃는 위험을 무릅써야만" (213) 가능하다. 벤하비브는 주체의 "위치 지움" (situatedness)의 "약한" 버전을 기꺼이 인정하는 반면, 주체의 죽음에 대한 주장은 페미니즘에 어떤 동력도 제공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 P260

카터의 페미니즘은 벤하비브가 정의한 "강한" 포스트모던적 입장과 갈등해왔다. 카터의 사망 직후 존 베일리(JohnBayley)는 카터의 글을 "정치적 올바름"과 연결시키면서 논평하길, - P262

카터는 "항상 올바른 이데올로기적 입장에 안주한다"고 말한다.
베일리는 카터가 언제나 당당하게 페미니스트이지만, 베일리가 보기에 최고의 문학은 그런 [페미니스트] 이슈를 초월해야 하고, 완벽예술은 위대한 객관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은 그것이 어떤 글이든지 간에 정치적 아젠다를 가질 수밖에 없음을 그는받아들이지 않는다. (…) 벤하비브가 주장하듯이, 거대 서사를 포기하는 포스트모던 입장을 취한다면, 우리는 역사적으로 억압된 사람들, 특히 여성들의 이야기를 재건하는데 필요한 정치적인 헌신까지 포기할 지도 모른다. - P263

『써커스의 밤』에서 역사는 죽지 않았다. 이 소설은 여러 면에서결정적으로 역사물이다. 20세기가 시작되는 무렵의 상황은 이 소설에 단순히 이국적 배경만은 아니다. 이 소설은 역사 서술을 젠더화하고, 역사의 본질을 탐색하며, 가부장적 역사를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페버스의 개인적 역사는 19세기 말 숨 막히게 점잖은 문화의 이면에 놓인 여성적 측면을 드러내는 "그녀의 이야기"(herstory)이다. 페버스는 빅토리아 문화의 다른 측면, 매춘, 착취, 빈곤, 괴물성, 범죄를 전면으로 드러내고, 빅토리아 문화가 어떻게 여성을 젠더화했는지 밝혀내고 있다. 그러면서 페버스는, 정상과 비정상의 구축은 상호 의존하고 있으며, 억압 과정은 욕망을생산하는데 필요하다는 푸코 방식의 역사를 만들어 낸다. 또한 페버스는 역사의 작동 방식을 명확하게 밝혀내는 것 그 이상을 한다. - P275

『써커스의 밤』은 포스트근대성과 페미니스트 이론을 함께 논의할 때 생겨나는 핵심적인 질문을 던진다. 질문인즉, 정치적으로 유용한, 여성의 정체성과 경험의 폭넓은 카테고리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차이와 특이성을 어떻게 포용할 것인가이다. 이 질문은 자딘과 벤하비브도 던지는 질문이다. 하지만, 카터의 소설에 고집스럽게 나타나는 유물론은 자딘의 해법 전복적인 여성 저자의 가이네시스-과는 다른 답을 제공한다. 그 답은 "유토피아에 대한 윤리적충동"을 선호하는 벤하비브의 주장과도 다르다. - P283

카터의 『써커스의 밤』은 추상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을 함께 논의할 수 있는 정점에있는 작품이다. 이 소설이 출판된 1984년은 상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쟁이 치열했던 때가 바로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전반이기 때문이다. 카터의 『써커스의 밤』이 발표된 때가 세기말이라는 시기적 조건과 더불어 특유의 개념과 스타일로 인하여, 이 소설은 19세기 근대적 거대 서사와 20세기 후반의 포스트모던 서사적 요소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 P2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재기획> 현대 중국의 공간과 이동 - 싼먼샤댐 건설과 중국 사회주의

싼먼샤댐은 중국 허난성 싼먼샤시와 산서성, 섬서성에 걸쳐 있는 곳으로 1949년 국가 설립 이후 황하에 건설된 최초의 댐이다.

기존에도 이 지역은 범람 등으로 문제가 많았던 곳이었다. 1957년 4월~1961년 4월까지 기본 공사를 완료하였으나 상하류에 대량의 토사가 침적되고 대규모 경지가 수몰 위기에 처하여 이민을 초래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1차(1957년~1961년), 2차(1965년~1979년)에 걸쳐 보수공사가 이어진다.

사회주의 체제에 시대적 배경까지 더해져 국가 주도로 댐 건설과 향후 과정이 전개되었다고만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이 요지다. 황하의 범람 문제, 필요한 곳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용수 시스템이 이 곳에는 반드시 필요했다. 다만 중앙정부는 댐 건설로 단 번에 끝날 수 있으리라고 생각했지만 기본 건설만으로 황하 범람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갈등은 지속되었으며 이민은 한 차례로 끝나지 않고 재이민과 외부 이민이 아닌 같은 성 내부 이민으로까지 이어지며 갈등이 2000년대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댐이 건설되는 시기와 보완공사가 진행되는 시기는, 반우파운동(1957~1959), 대약진운동(1958~1960), 문화대혁명(1966~1976) 등 정치운동과 시기적으로 상당 부분 겹친다. (…)
문제는 이러한 사실에 기초한 ‘전체주의론’적 인식은 사회주의 시기 중국의 전체상을 왜곡시킨다는 점이다. - P202

‘호구제도’는 중공업 위주 산업발전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자본’을 농촌 부문에서 추출하기 위해서 1958년 1월부터 시행된 제도이다. 문제는 호구제도가 모든 중국인을 농촌호구와 도시호구로 구분하여 호구변경을 원칙적으로 불허하며, 농촌호구 소지자의 도시로의 자유로운 이주도 엄격히 금지하는 것을 핵심내용으로 하므로, 사회주의 시기 중국에 대한 ‘고립성’과 ‘폐쇄성‘이라는 인식을 조장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싼먼샤댐 건설 과정에서는 대규모 이민이 발생했고, 이는 ’국가 주도 프로젝트 이민‘이라고 규정되었다. - P206

‘국가의 사회에 대한 전일적 지배, 중앙의 지방에 대한 전일적 지배’의 상징인 정치운동이 일상이었던 시대에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에, 그리고 지방정부 사이에도 이견과 갈등이 존재했다는 사실로써, 사회주의 시기 중국의 전체상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 P210

정치학자 제임스 스콧(James C. Sctt)은 ‘하이 모더니즘’을 ‘국가가 과학기술적 진보, 생산 증대, 인간 필요에 따른 만족의 증가, 자연에 대한 정복, 자연법칙에 대한 과학적 이해에 상응하는 사회질서에 대한 합리적 설계 등과 관련해서 가지는 매우 강력한 자기 확신"으로 규정한다. 그는 이러한 하이모더니즘을 추진하는 주체는 권위주의 국가의 관료와 지도자인데, 이들은 거대한 댐, 중앙 집중화된 통신 및 교통 허브, 대단위 농장, 격자형 도시‘와 같은 기획 및 사회적 조직을 선호한다고 주장한다. - P2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花样 스타일, 디자인, 종류
突然 갑자기

现在的产品月月出新花样。요즘 제품은 매달 새로운 디자인이 출시된다.
你怎么突然要回家? 왜 갑자기 집에 가려고?

吃早餐对身体好。 아침을 먹으면 건강해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乙酉】三十三年 鄒人孟軻 見魏惠王 王曰 叟不遠千里而來 亦有以利吾國乎 孟子曰 君 何必曰利 仁義而已矣 初 孟子師子思 嘗問牧民之道 何先 子思曰 先利之 孟子曰 君子所以敎民 亦仁義而已矣 何必利 子思曰 仁義 固所以利之也 上不仁 則下不得其所 上不義 則下樂爲詐也 此爲不利大矣 故 易曰 利者 義之和也 又曰 利用安身 以崇德也 此皆利之大者也

溫公曰 子思孟子之言 一也 夫唯仁者 爲知仁義之利 不仁者 不知也 故 孟子之對梁王 直以仁義 而不及利者 所與言之人 異故也


【戊子】三十六年 初 洛陽人蘇秦 說秦王以兼天下之術 秦王 不用其言 蘇秦 乃去 說燕文公曰 燕之所以不犯寇被兵者 以趙爲之蔽也 願大王 與趙從親 天下爲一 則燕國 必無患矣 文公從之 資蘇秦車馬 以說趙肅侯曰 當今 山東之國 莫强於趙 秦之所害 亦莫如趙 然而秦不敢伐趙者 畏韓魏之議其後也 秦之攻韓魏也 無有名山大川之限 稍蠶食之 韓魏不能支 必入臣於秦 秦無韓魏之規 則禍中於趙矣 夫衡人者 皆欲割諸侯之地 以與秦 秦成則其身富榮 國被秦患 而不與其憂 竊爲大王計 莫若一韓魏齊楚燕趙 爲從親以擯秦 令天下之將相 會於洹水之上 約曰 秦 攻一國 五國이 各出銳師 或撓秦 或救之 有不如約者 五國 共伐之 則秦甲 必不敢出函谷以害山東矣 肅侯大悅 厚待蘇秦 尊寵賜賚之 以約於諸侯
於是 蘇秦 說韓王曰 韓 地方九百餘里 帶甲 數十萬 天下之强弓勁弩利劍 皆從韓出 今大王 事秦 秦 必求宜陽成皐 今玆效之 明年 又復求割地 地有盡 而秦之求無已 鄙諺曰 寧爲鷄口 無爲牛後 以大王之賢 挾彊韓之兵 而有牛後之名 竊爲大王羞之 韓王 從其言寧爲鷄口 無爲牛後 蘇秦 說魏王曰 大王之地方千里 武士二十萬 蒼頭二十萬 奮擊二十萬 厮徒十萬 車六百乘 騎五千匹 乃聽群臣之說 而欲臣事秦 願大王熟察之 魏王聽之
蘇秦說齊王曰 齊 四塞之國 地方二千餘里 帶甲數十萬 粟如丘山 臨淄之塗 車轂擊 人肩摩 連袵成帷 揮汗成雨 夫韓魏之所以重畏秦者 爲與秦接境也 今 秦之攻齊則不然 雖欲深入 則恐韓魏之議其後 秦之不能害齊亦明矣 夫不料秦之無奈齊何 而欲西面而事之 是 群臣之計過也 齊王許之
乃南說楚王曰 楚 天下之彊國也 地方六千餘里 帶甲百萬 粟支十年 此 霸王之資也 楚强則秦弱 秦强則楚弱 其勢不兩立 故 爲大王計 莫如從親以孤秦 故 從親則諸侯割地以事楚 衡合則楚割地以事秦 此兩策者 相去遠矣 大王 何居焉 楚王 亦許之 於是 蘇秦 爲從約長 幷相六國 北報趙 車騎輜重 擬於王者

소진이 합종 책을 주장했다고 해서 진(秦) 나라를 제외한 다른 국가들을 먼저 방문한 것이 아니다. 처음에는 진나라를 갔는데 거절당했다. 그리고 나서 나머지 6나라를 차례로 방문하며 합종 책이 필요한 이유를 설득하며 각국을 돌아다녔다. 합종이 왜 필요한가를 설명하며 연횡의 문제점을 먼저 대는 것이 인상적이다. 그리고 각국을 돌아다닐 때 그 나라의 땅 덩어리가 얼마이며 갖고 있는 무기 등이 얼마인지를 이야기하는 것은 설득을 할 때 도입부를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말해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3-01-13 11: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한자 화가님 전부 읽으 실 줄 ??

울 할부지 아부지는
옥편 없이 읽으셨고

전 구글 번역기 돌려여 ㅎㅎㅎ

거리의화가 2023-01-13 11:15   좋아요 1 | URL
다 읽지는 못하고^^; 모르는 한자 나올 때마다 찾아봅니다ㅠㅠ 그래도 한자 공부한지 좀 되어서 대부분의 한자는 읽기는 합니다만 다만 쓰는 건 또 다른 이야기라~ 계속 반복해서 보는 수밖에 없지요.
ㅋㅋ 구글 번역기가 짱이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