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庚戌】四年張儀說楚王曰夫爲從者 無以異於驅群羊而攻猛虎不格明矣今王不事秦秦劫韓驅梁而攻楚則楚危矣楚王許之張儀遂之韓說韓王曰夫戰孟賁烏獲之士以攻不服之弱國無異垂千勻之重於鳥卵之上必無幸矣大王不事秦秦下甲據宜陽塞成皐則王之國分矣爲大王計莫如事秦而攻楚韓王許之張儀歸報秦王復使東說齊王曰從人說大王者必曰齊蔽於三晉地廣兵彊雖有百秦將無奈齊何今秦楚嫁女娶婦爲昆弟之國韓獻宜陽梁效河外趙王入朝 割河間以事秦 大王不事秦秦驅韓梁趙攻之雖欲事秦不可得也齊王許之
張儀去西說趙王曰大王收率天下以擯秦秦兵不敢出函谷關十五年大王之威行於山東今楚與秦爲昆弟之國而韓梁稱東藩之臣齊獻魚鹽之地此斷趙之右肩也夫斷右肩而與之鬪失其黨而孤居求欲無危 得乎爲大王計莫如與秦王面約常爲兄弟之國趙王許之張儀乃北說燕王曰大王不事秦秦下甲雲中九原驅趙而攻燕則易水長城非大王之有也燕王請獻常山之尾五城以和 張儀歸報未至咸陽秦惠王薨子武王立武王自爲太子時不說(悅)張儀及卽位群臣多毁短之諸侯聞儀與秦王有隙皆畔(叛)衡復合從

【辛亥】五年張儀相魏一歲卒儀與蘇秦皆以縱橫之術遊諸侯致位富貴天下爭慕效之又有魏人公孫衍者號曰犀首亦以談說顯名其餘蘇代蘇厲周最樓緩之徒紛紜徧於天下務以辯詐相高不可勝紀 而儀秦衍最著

장의의 연횡 정책을 위한 설득은 4국에 이어서 조나라, 연나라까지 이어진다. 이들 제후국은 진에 토지 등 물자를 바치면서 화친을 청하게 된다.
합종을 마무리하고 장의가 진으로 이제 돌아가려는 찰나 아직 함양에 도착하지 않았는데 진나라 왕이 죽는다는 소식을 듣는다. 태자가 무왕으로 즉위한 후(본래 장의를 좋아하지 않았음) 장의에게 대신들이 때맞춰 험담을 한다. 6국의 제후들은 둘 사이에 틈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나서는 합종으로 정책을 돌아가게 된다(장의가 힘써온 연횡 정책은 이렇게 흐지부지된다).

본문에는 없는 내용이지만 이 때문에 장의는 진나라에서 설 길이 없어진다. 때문에 장의는 무왕에게 진나라를 위해서 힘써보겠다는 의견을 표시하면서 위나라로 간다(제나라 군대를 위나라로 끌어들여서 나라 간의 결속력을 약화시키면서 제나라 군대를 출동시킬 것이다. -> 제나라는 자신을 싫어하니 내가 간 곳으로 제나라에서 위나라로 군대를 반드시 출동시킬 것이다.). 장의는 위나라 제후를 설득하면서 본인의 계획대로 제나라에 군사를 물리치겠다고 호언장담한다.
장의는 자신의 가신을 초나라로 몰래 보내면서 초나라에서 정식으로 사신을 보낸 것처럼 위장한다. 사신 노릇을 한 가신은 초나라에 가서 제나라는 너무 장의를 잘 도와주고 있다라고 말을 건넨다(장의의 계획대로 진나라에서는 장의의 실력을 믿게 되었다고). 이 때문에 제나라에서는 군대를 물리게 된다.

위기에서 벗어난 장의였으나 위나라에서 재상이 된 지 1년 만에 죽고 만다.

이 시기 설득의 대가는 소진, 장의, 공손연(서수) 세 명이 자타공인 최고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己酉】三年燕人共立太子平是爲昭王昭王於破燕之後卽位弔死問孤與百姓同甘苦卑身厚幣 以招賢者謂郭隗曰齊因孤之國亂而襲破燕孤極知燕小力少不足以報 然誠得賢士與共國以雪先王之恥孤之願也先生視可者得身事之郭隗曰古之人君有以千金 使涓人求千里馬者馬已死買其骨五百金而返君大怒涓人曰死馬且買之況生者乎 馬今至矣不期年 千里之馬至者三今王必欲致士先從隗始況賢於隗者 豈遠千里哉於是昭王爲隗改築宮而師事之於是士爭趣燕樂毅自魏往劇辛自趙往昭王以樂毅爲亞卿任以國政

곽외(郭隗)가 연 소왕에게 말하길 인재들을 부르고자 한다면 먼저 자신부터 대우해준다면 자신보다 더 똑똑한 자도 연나라에 찾아올거라 말한다. 자신도 높이면서 인재를 모여들게 한 방법인데 소왕은 인재가 필요했으므로 곽외의 조언을 받들고 그를 위하여 집을 고쳐 지어주고 스승으로 섬긴다. 혼란스러웠던 연나라는 소왕의 정책으로 반짝 중흥한다. 역시 어떤 나라든 사람을 잘 쓰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 화와 동의 차이
- 예란?
- 군주가 덕을 행하고자 하지 않으면?

여름, 초평왕은 연단(然丹)을 보내 종구(宗丘: 호북성 자귀현)에서 서부 지역의군사를 선발하여 검열하고 그곳의 백성들을 위무하게 했다. 그러면서 빈궁한 자에게 시사(施)하여 곤궁을 구해 주고, 어린 고아들을 양육하고, 병든 노인을 봉양하고, 개특(特: 홀아비)을 거두고, 재난을 당한 자들을 구제하고, 고아와 과부에게 부과된 세를 면제하고, 죄인을 사면하고, 간특한 자를 엄히 다스리고, 엄체淹滯: 재능이 있으면서도 등용되지 못한 자)를 등용하게 했다. 이어 예로써 신인(新人)을 접대하면서 구인(舊人)에 대해서는 공적에 의거해 관직과 승천(昇遷)을정하고, 공적을 장려하면서 친척들과 화목하게 지내고, 현량(賢良)을 임용하여 물관(物官 : 적재적소에 배치할 관원을 물색함)하게 했다.
초평왕은 또 대부 굴파(屈)를 보내 소릉(김陵)에서 동부 지역의 군사를 선발하고검열하면서 서부 지역에서 행한 것과 똑같이 행하게 했다. 그리고 4방의 인國)들과 우호 관계를 맺고 5년 동안 백성들을 편히 쉬게 한 연후에 비로소 동원했다. 이는 예에 맞는 일이었다. - P255

가을, 조평공을 안장했다. 장례에 참석했던 노나라 사람이 주왕실의 대부 원백로(原伯魯)를 만나 함께 얘기를 나누면서 그가 학문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노나라로 돌아와 대부 민자마(馬:閔馬父)에게 이 얘기를 하자 민자마가 이같이 말했다.
"주왕실이 곧 어지러워질 것이오.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는 자가 매우 많아진 연후에 비로소 대인(大人: 집권 대부)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오. 그러면 대인들은 자리를 잃을까 걱정하여 사리를 밝히려 들지 않을 것이오. 그러면서 그들은 또 말하기를, ‘배우지 않아도 좋다. 그렇더라도 해로울 것이 없다‘고 할 것이오.
해로울 것이 없다고 하여 배우지 않으면 일을 되는대로 적당히 처리하게 되오. 그리되면 하게 되니 어찌 난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겠소. 무릇 학습이란 식물을 재배하는 것과같아 배우지 않으면 장차 쇠락할 수밖에 없소. 대략 원씨(原氏)는 망하고야 말 것이오."
**************** - P277

"화(和 : 마음이 맞음)와 동(同 : 비위를 맞춤)은 어떻게 다르오."
"같지 않습니다. ‘화‘는 마치 국을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수(水)와 화(火), 혜(鹽:초), 해(臨: 고기와 생선 등으로 만든 장), 염(鹽), 매(梅: 매실)로써 생선이나 고기를 조리할 때 우선 땔나무를 이용해 끓입니다. 이어 재부(夫)가 간을 맞추는데 제지이미(齊之以味양념으로 맛을 조화시킨다는 뜻으로 ‘齊’는 ‘劑와 통함)합니다. 만일 맛이 부족한 듯하면 양념을 더하고 지나치면 덜어냅니다. 이에 윗사람이 그 국을 먹으면 마음이 평온해집니다. 군신지간도 이와 같습니다. 군주가 가하다 할지라도 그중에 불가한 것이 있을 때에는 신하가 그것을 지적해 더욱 완전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또한 군주가 불가하다고 할지라도 그중 가한 것도 있을 때에는 신하가 이를 지적해 불가한 것을 제거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로써 정사가공평하게 되어 불간(不: 예를 벗어나지 않음)하게 되고 백성들은 심(心:빼앗고자 하는 마음이 없게 되는 것입니다. - P295

기쁨은 호(好)에서 나오고, 노여움은오(惡)에서 나온다. 이에 행동은 신중하고 정령의 시행에 믿음이 있어야 하며, 화복상벌(禍福賞罰)로써 생사를 제어해야 하는 것이다. 삶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이고 죽음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다. 좋아하는 것은 즐거움이고 싫어하는 것은슬픔이다. 슬픔과 즐거움이 예를 잃지 않으면 능히 천지의 본성에 부합할 수 있다.
이로써 능히 장구히 보전할 수 있는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 P326

제나라에 혜성이 나타나자 제경공이 사람을 보내 양푸닥거리)을 하도록 했다. 이에 안자(子)가 이같이 간했다.
"이는 무익한 일로 오직 신령을 속일 뿐입니다. 천도는 불첨(不諂: 의심치 않음)하고 천명은 불이(不착오가 없다는 뜻으로 ‘‘는 ‘‘의 잘못임)한데 무슨 이유로 빌려는 것입니까. 게다가 하늘에 혜성이 나타난 것은 더러운 것을 씻어내려는 것입니다. 군주에게 예덕(德 : 패덕)이 없는데 또 무엇을 빌려는 것입니까만일 예덕이 있다면 빈다고 하여 어찌 이를 줄일 수 있겠습니까. 《시경》 <대아·대명(大明)〉에 이르기를, ‘이 문왕이 삼가고 공경하네. 광명정대하게 하늘을 섬기니많은 복을 누리네. 덕행이 천명을 어기지 않으니 방국(方國 : 4방의 나라)이 모두귀순하네‘라고 했습니다. 군주에게 위덕(德 : 덕을 어김)이 없으면 4방의 나라가 따를 터인데 어찌 혜성을 걱정하겠습니까. 《시경(詩經: 다음 시는 실전)》에 이르기를, ‘내게는 거울이 없으니 있다면 오직 하후(夏后:桀을 지칭)과 상(商:紂를지칭) 뿐이네. 정사가 혼란하니 백성들이 끝내 유망(流亡)했네‘라고 했습니다. 만일 덕행이 천명을 어기고 혼란스럽게 되면 백성들이 장차 유망할 것이니 축사(祝史)가 기원한들 보완할 길이 없을 것입니다." - P3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愼靚王名定顯王子在位七年

【癸卯】三年楚趙魏韓燕同伐秦攻函谷關秦人出兵逆之五國之師皆敗走

【甲辰】四年齊大夫與蘇秦爭寵刺秦殺之
張儀說魏襄王曰梁地四平無名山大川之限卒戍楚韓齊趙之境守亭障者不下十萬梁之地勢固戰場也夫諸侯之約從盟洹水之上結爲兄弟以相堅也今親兄弟同父母尙有爭錢財相殺傷而欲恃反覆蘇秦之餘謀 其不可成亦明矣 魏王乃倍從約而因儀以請成于秦張儀歸復相秦

【乙巳】五年蘇秦弟代厲 亦以遊說顯於諸侯燕相子之與蘇代婚欲得燕權蘇代使於齊而還燕王噲問曰 齊王其霸乎對曰不能 王曰何故對曰不信其臣於是燕王屬國於子之子之南面行王事而噲老不聽政顧爲臣國事皆決於子之

【丙午】六年王崩子赧王延立

赧王名延愼靚王子在位五十九年

【丁未】元年燕子之爲王三年國內大亂齊王伐燕取子之醢之遂殺燕王噲

소진은 연나라에서 있다가 죄를 지어 핑계를 대고 제나라 객경으로 가서 지냈는데 어느 날 칼에 찔린다(허나 바로 죽지는 않았다고)
소진은 제나라 왕을 조종하여 연에 대한 복수를 하고 죽는다. 당연히 제나라는 이후 연나라에 원한을 품게 된다.

이 때 연나라는 혼란스러웠다.
연왕 쾌(噲)보다 재상인 자지(子之)에게 힘이 실려 있던 상태였던 것이다.
녹모수(鹿毛壽)라는 신하가 연왕에게 모든 것을 자지가 움켜쥐고 있다며 이를 처리해야 한다고 부추긴다.
요임금이 아들이 아닌 현자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할 때 당시 은둔자로 지낸 명사인 허유를 찾아간다. 허유는 그 말을 듣고 물가에서 귀를 씻었다고 한다. 이 모습을 지켜본 소부가 자초지종을 들었다고. 실상 허유에게 선위를 하지도 않았는데 요임금의 인기는 올라갔다는 이야기였다.
녹모수는 사실 재상 자지 사람이었는데 연왕을 부추긴 것이다.
귀 얇은 연왕은 자지에게 넌지시 말했다가 ‘국정을 잘 수행해보겠소‘ 라는 말을 듣는다. 그렇게 재상이 결국 국정을 횡행하면서 연나라는 더욱 혼란에 빠졌다.

소진이 이제 죽었으니 합종책은 소용이 없다 생각한 위왕이 종약을 배반하고 장의에 의해 진(秦)나라와 성成(화평을 맺다)했다. 장의는 이 때 다시 진나라의 재상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좋았던 영화나 드라마를 시간이 지나서 다시 보는 편이다.

예전에는 한국 영화나 드라마를 한참 보던 시기가 있었는데 이제는 취향이 점점 멀어져 더 이상 보지 못하고 있다. 아마도 마지막으로 본 것이 <갯마을 차차차>겠군. 그보다는 그 이전에 <미스터 선샤인>이라는 드라마가 훨씬 인상적이긴 했다.


작년 초에 봤던 <재불여화노판담연애> 중드를 한달여에 걸쳐 다시 봤다. 

서재에도 관련해서 글을 올렸었다(https://blog.aladin.co.kr/roadpainter/13505200). 

그 때는 따스한 봄이었는데 겨울에 보니 더 좋았다. 로맨스물을 딱히 좋아하지 않는데 인생이 점점 팍팍해서 살기 힘들어서인지 이제는 이런 로맨스물도 간혹 보게 되는 것 같다. 


항상 느끼지만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 가장 힘든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관계라는 것은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집이든 직장이든 어느 곳에 가서든 만나는 사람들과의 부딪힘 속에서 일어나니까.

사랑이라는 감정에 있어서는 나를 꺼내기가 쉽지 않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상대가 이미 커플이면 더 내 마음을 터놓을 수 없다. 나는 이런 관계를 기본적으로 부정하는 것 같다. 

한 번도 짝이 있는 상대를 건드려볼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이는 해서는 안되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생각이 이런데 감정이 갈 수 있나 싶은 것이다.

다만 이 드라마에서는 한 여자를 두고 두 남자가 사랑을 건네는데 시점이 묘하다. 둘이 비슷한 시점에 여자를 사랑하게 되었으나 여자는 먼저 고백한 남자와 커플이 되었다. 나머지 한 남자는? 몇 년동안 계속 사랑을 이어간다. 자그만치 강산이 변하는 세월동안. 이것이 가능할까? 이상적으로만 가능한 일이 아닌지^^:;;

하지만 결국 상대의 마음을 얻어가는 과정이 예뻐서 보게 되었다. 그 과정이 미흡한 부분도 있지만 드라마로 느끼는 것은 대리만족이겠지. 현대물이라서 중국어 문장 공부가 되는 것도 있다. 자주 나오는 문장은 들린다^^(OST도 너무 좋아서 무한반복중이다)



이제는 또 뭘 볼지 고민중이다. 뭐가 됐든 보게 되겠지.



1월부터 중국사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춘추좌전>까지 읽게 되리라곤 몰랐다. <하버드 중국사>나 읽을까 생각했었는데 읽다보니 부족한 부분들이 보여서 결국 깊이 들어가고 있는 것 같다. 욕심이 생겨서 <시경>, <서경>도 읽고 싶고 그 전에 대충 읽었던 <열국지>, <초한지>, <삼국지>, <수호지> 등도 읽어보고 싶다. 



작년에 어린왕자 중국어 원서 버전을 사두고 진도가 너무 안 나가서 drop 상태였다. (몇 페이지 읽었나)

원서를 한 권 잡고 여러 번 반복해서 읽어서 떼면 실력이 는다는 이야기가 있다. 포기했던 것을 재도전해볼까 생각해본다. 




알라딘에서 얼마 전 새롭게 '투비컨티뉴드' 서비스를 론칭했다. 친구분들도 하나 둘 개설 소식을 알려오고 계신다.

나는 가입은 1월 11일에 했으나 음... 여전히 고민중이다.


사실 책 읽고 쓰는 것 이외에는 먹고 가끔 어디 다녀온 이야기 등등 일상이 대부분이라 딱히 어떤 컨텐츠도 없다. 게다가 이곳 알라딘 서재에 이제야 좀 적응이 됐는데 투비로그까지 관리하기란 무리란 생각도 든다^^;

아무튼 아이디만 만들어놨다. 시리즈 연재 기능은 마음에 드는구만.


글을 쓰다 보니 생각하는 것. 몸이 진짜 2~3개쯤 되면 얼마나 좋겠나ㅠㅠ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3-01-16 13:1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전 새해 잠을 줄여서
새벽 네 시 반이면
벌떡 😄

거리의화가 2023-01-16 13:20   좋아요 2 | URL
스콧님 대단하십니다. 저는 잠은 도저히 못 줄이겠어요^^;
결국 저는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할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을 합니다ㅎㅎㅎ

독서괭 2023-01-16 14: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렇습니다 ㅠㅠ 왜 몸은 1개인 걸까요..? 잠이라도 푹 자서 깨어있는 동안 효율이 극대화되면 좋겠습니다 흑 ㅠ

거리의화가 2023-01-16 16:44   좋아요 0 | URL
괭님은 집안일에 육아까지 하시니 더 그러실 것 같아요ㅠㅠ
저도 잠잘때 몇 시간을 자더라도 푹 자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점점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지 이거 원~ 운동을 빡세게 해야하는 걸까요?

청아 2023-01-16 14:2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화가님! 투비에서는 pc에서 써 둔 글도 스마트 폰으로 수정이 가능해요^^ 저는 도우미 AI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이시구로 소설 읽고 난 뒤로 한번씩 생각해요. 책장 정리도 시키고 밥도 차리게하고 시간 관리도 돕게하고...드론 보다 거기 더 투자함 좋겠어요ㅎㅎ

거리의화가 2023-01-16 16:46   좋아요 1 | URL
오 미미님 그렇군요!ㅋㅋ pc와 모바일 둘다 왔다갔다하는데 문제 없나보네요. 알라딘이 제대로 준비하려고 했나봅니다^^;
AI가 인간의 일을 대체하는 듯해서 섬뜩할 때가 있지만 저도 집안일 해주는 정교한 로봇은 좀 있으면 좋겠어요ㅋㅋ 저도 남편에게 잔소리 좀 덜하게 되지 않을까 싶어서~ㅋㅋㅋ
드론보다 거기 더 투자... 뼈때리는 소립니다!ㅎㅎ 아우 생각하니 또 울화통이 터지네요~

페넬로페 2023-01-16 15: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몸이 여러 개이면 좋겠습니다.
화가님의 역사책 읽기는 계속되는군요.
그 의지와 끈기가 부럽습니다.
저는 이 책 읽으면 다른 책이 궁금해서 ㅠㅠ
안그래도 북플땜시 핸폰 보는 시간이 많은데 저도 그래서 투비에 대해서 고민입니다^^

거리의화가 2023-01-16 16:51   좋아요 1 | URL
이곳은 특히나 여러 일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진짜 몸이 여러 개면 얼마나 좋을까요~ㅋㅋ
페넬로페님은 가지치기로 나가시는 거죠.
저도 올해는 굵직한 목표만 정해놓고 구체적인 책은 정하지는 않았어요. 집에 쌓아둔 책들 중 묵은 책들을 눈여겨보고 있었는데 <진순신 이야기 중국사>와 <하버드 중국사> 시리즈가 눈에 딱 띄었어요. 1권을 읽으니까 춘추 시대를 잘 모르는 듯하여 <춘추좌전>을 읽게 된거구요. 너무 깊게 가는 것 같긴 합니다만... 완벽한 계획이란 없으니 끌리는 대로 가고 있습니다ㅎㅎㅎ
그러고 보니 <잃.시.찾>도 시작해야 하는데~ㅋㅋㅋ 어휴. 너무 많은 걸 붙잡고 있는 거 아닌지... 맞아요. 북플 시간 은근 잡아먹죠.

바람돌이 2023-01-16 21: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투비는 뭔가 일관된 주제를 잡고 계속 써나가야 할 거 같은데 그건 또 굉장히 공이 드는 일이거든요. 그래서 저도 그냥 안할려구요. 여기 하나도 유지하기 힘들어서 헉헉대는 주제가 접니다. ㅎㅎ

거리의화가 2023-01-17 08:46   좋아요 0 | URL
맞아요. 바람돌이님처럼 저도 그게 고민이라서...ㅎㅎ 주제 잡는 것도 일이지만 그걸 계속 끌고 나간다는 게 어려운 거죠. 역시 두 곳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은 것 같아요.

2023-01-17 07: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1-17 08: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희선 2023-01-19 03: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몸은 여러 개가 아니니 자신이 더 하고 싶은 걸 하고 살겠지요 저는 하기 싫은 건 거의 안 해요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것도 있지만... 하루가 스물네시간 이상이라면 어떨지, 그렇다 해도 시간 모자라다고 할지도...


희선

거리의화가 2023-01-19 08:51   좋아요 0 | URL
먹고 사는 문제가 아니라면 하기 싫은 건 안하는 게 좋죠. 일을 하다 보니 때론 하기 싫은 일도 하게 됩니다ㅠㅠ 집안일도 그렇구요. 그렇지만 자기 일에 있어서는 하기 싫은 일은 안하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굳이... 인생 길지도 않은데 하기 싫은 일 억지로 하면서 살 필요는 없으니까요^^ 하루가 24시간 이상이라도 또 인간은 그에 맞춰 불만이 터져나오긴 하겠죠?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