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니커폴스 선언의 주안점은 결혼 제도와 그것이 여성에게 가하는 악영향이었다. 하지만 대회에서 가장 논란이 된 내용은 여성의 선거권 문제였고 선거권 내용은 만장일치로 승인되지 못했다. 이 안을 제시한 프레더릭 더글러스는 공개적으로 여성의 정치적 평등을 제기했다. 하지만 이 선언은 백인 중간계급 여성에 대한 입장에 주목하였을 뿐 흑인 여성들의 입장이 들어가 있지 않았고 백인 노동계급 여성의 문제도 고려되지 않았다. 심지어 대회 참석자 중 흑인 여성은 보이지 않았다고.

1848년 열린 전국유색자유인대회에서는 여성의 평등에 대한 결의안이 통과된다. 이 모임 대표단은 여성이 남성과 동등하게 선출되어야 한다며 결의를 밝혔고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흑인대회에서는 흑인 여성이 초대되었다.
매사추세츠 우스터에서 최초의 전미여성권익대회가 개최되기도 했다. 이들은 인종주의적 탄압과 성차별주의의 지배로부터 해방을 선언했다.
애크런대회에서 소저너 트루스는 남성우월주의와 ‘나약한 성‘이라는 남자들의 주장에 대항하여 여성의 권익이라는 대의를 호소했다. 그는 여성운동의 계급 편향과 인종주의를 폭로했다. 모든 여성이 백인이 아니고 모든 여성이 중간계급과 부르주아가 아니라는 것이다.

1850년대는 전국적으로 대회가 열렸고 여기에 많은 여성들이 참여했다.

노예제에 반대하던 백인 폐지론자들은 북부의 백인 노동자들의 신분이 남부의 노예 노동자와 다를 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둘 모두 착취당하는 피해자였는데도. 백인 여성 노동자들도 노예제 폐지를 주장했지만 그것을 여성의 근본적 권리 억압에 대한 문제로까지 생각하지는 못했다.




여성 권익에 대한 지지는 어떤 식으로도 막을 수 없었다.
여론을 주도하는 집단은 아직 받아들이지 못했지만, 자신의 - P97

자유를 위해 투쟁하는 흑인들의 지지 속에서 초기적인 운동으로서 형체를 갖추기 시작한 여성 평등은 미국의 공적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 P98

백인 여성 노동자들의 투쟁―노동자이자 여성으로서의 존엄을 지키기 위한 불굴의 노력, 여성성이라는 성차별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암묵적, 의식적 도전으로 판단했을때 이들은 권리 쟁취를 넘어서서 여성운동의 개척자로 칭송받을 만했다. 하지만 여성 노동자들이 그들 고유의 특수한 방식으로 남성우월주의를 겪었고 이에 맞섰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한 새로운 운동의 주요 개시자들은 이들의 선도적인 역할을 거의 무시했다. - P101

노예제 반대 운동에 가담하는 백인 여성이 북부에서 흑인 소녀에게 인종주의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은 노예제 반대 운동에 내재한 큰 약점을 보여준다. 운동이 반인종주의 의식을 폭넓게 고취하는 데 실패한 것이다. 그림케 자매 등이 아주 분명하게 비판한 이 심각한 약점은 불행하게도 여성의 권익을 위한 조직적인 운동으로 그대로 이어졌다. - P106

트루스는 네 번에 걸쳐 "나는 여자가 아닌가요?"라는 질문을반복하면서 새로운 여성운동의 계급 편향과 인종주의를 폭로했다. 모든 여성이 백인은 아니었고, 모든 여성이 중간계급과부르주아의 물질적 안락을 향유하지도 못했다. 소저너 트루스 자신은 흑인-해방 노예-이었지만 대회에 참석한 백인자매들 누구와도 다르지 않은 여성이었다. 인종과 경제적 조건이 이들과 다르다고 해서 트루스가 여성임을 부정할 수는없었다. 그리고 흑인 여성으로서 동등한 권리에 대한 트루스의 주장은 백인 중간계급 여성 누구의 주장 못지않게 타당했다. - P112

여성 권익 운동의 지도자들은 남부 흑인들의 노예화와,
북부 노동자들에 대한 경제적 착취, 여성에 대한 사회적 억압이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지 모른다는 의심을 하지 않았다. 초기 여성운동에는 백인 노동자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었다. 백인 여성 노동자에 대해서조차도. 많은 여성들이 노예제 폐지 운동을 지지했지만 노예제 반대 의식을 여성 억압에대한 분석 속에 통합하지는 못했다. - P115

전쟁은 남부의 그릇된 엄살처럼 인종전쟁이, 분파전쟁이, 정당의 전쟁이 아니라 원칙들의 전쟁, 백이든 흑이든 노동계급을 대상으로 한 전쟁입니다. (…) 이 전쟁에서 흑인은 최초의 피해자였고, 어떤 색이든 노동자가 그 두 번째요, 이제는노동의 권리, 자유로운 발언, 자유로운 학교, 자유로운 참정권, 자유로운 정부를 옹호하는 모두가 (…) 이것들을 지키기기 위해 전투를 벌이지 않으면 이들과 함께, 두 세기 동안 흑인들을 전쟁포로로 잡아두었던 것과 동일한 폭력의 피해자로 - P118

전락할 상황입니다. 남부가 인간의 권리를 상대로 전쟁을벌이는 동안 북부는 자유를 돌로 쳐 죽이고 있는 자들의 의복을 들고 그 옆에 서 있었습니다. (…)이 나라는 생사를 건 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 나라는 작은 폭군들이 다스리는 하나의 거대한 노예정국가가 되거나, 완전히 자유로운 이들의 땅이 될 것입니다. - P119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스 2023-02-06 09: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단과대여학생회, 총여학생회가 따로 있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도 그런지 모르겠지만,
조금 의아했어요 ㅎㅎ

거리의화가 2023-02-06 09:28   좋아요 1 | URL
총여학생회요?ㅋㅋ 의아한 정도가 아니라 웃기네요. 제가 컴퓨터공학과라 그런 게 없었던건지는 모르겠지만 남녀 따로 구분은 없었던 것 같은데 말이죠. 지금은 당연히 없을 것 같아요. 설마... 있진 않겠죠?
 

後秦紀

始皇帝下

【庚辰】二十六年王賁自燕南攻齊猝入臨淄民莫敢格者秦使人誘齊王約封以五百里之地齊王遂降秦遷之共處之松柏之間餓而死

溫公曰從衡之說雖反覆百端然大要合從者六國之利也昔先王建萬國親諸侯使之朝聘以相交饗宴以相樂會盟以相結者無他欲其同心戮力以保家國也鄕(曏)使六國能以信義相親則秦雖彊暴安得而亡之哉夫三晉者齊楚之藩蔽齊楚者三晉之根柢形勢相資表裏相依故以三晉而攻齊楚自絶其根柢也以齊楚而攻三晉自撤其藩蔽也安有撤其藩蔽以媚盜曰盜將愛我而不攻豈不悖哉
王初幷天下自以爲德兼三皇功過五帝乃更號曰皇帝命爲制令爲詔自今以來除諡法朕爲始皇帝後世以計數二世三世至于萬世傳之無窮

○ 初齊威宣之時鄒衍論著終始五德之運及始皇幷天下齊人奏之始皇采用其說以爲周得火德秦代周從所不勝爲水德始改年朝賀皆自十月朔衣服旌旄節旗皆尙黑數以六爲紀

○ 丞相綰等言燕齊荊地遠不爲置王無以鎭之請立諸子始皇下其議廷尉斯曰 周文武所封子弟同姓甚衆然後屬疏遠相攻擊如仇讐周天子弗能禁止今海內賴陛下神靈一統皆爲郡縣諸子功臣以公賦稅重賞賜之甚足易制天下無異意則安寧之術也置諸侯不便始皇曰天下共苦戰鬪不休以有侯王賴宗廟天下初定又復立國是樹兵也而求其寧息豈不難哉廷尉議是於是分天下爲三十六郡郡置守尉監收天下兵聚咸陽銷以爲鍾鐻(虡)金人十二重各千石置宮庭中

진시황이 스스로 황제를 칭하고 그 이유를 선포하다. 시황은 전국 시대의 음양학파 추연의 학설(오덕이 순차적으로 옮아가며 각 덕에 합당한 정치가 존재하고 각 징조가 그에 부응한다)을 받아들였다. 진은 주나라 뒤에 통일한 국가이기 때문에 주(불, 적색)가 숭상했던 것과 반대로 겨울의 시작인 10월을 1년의 시작으로 하였다. 또 물을 숭상하고 검은색을 중요시하였으며 숫자 1(생), 6(성)을 길한 숫자로 여겼다. 주나라가 제후국을 봉하여 유지한 것과 다르게 진은 승상인 이사의 권고에 따라 군현제를 실시하기로 한다. 군현제는 지방에 군과 현을 두고 중앙에서 그곳에 직접 관리를 파견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왕에게 등용된 한신, 대장군이 되어 군사를 이끌고 출정하다

"장수에겐 다섯 가지 재능과 열 가지 허물이 있습니다. 이른바 다섯가지 재능, 즉 오재(五才)는 지(智), 인(仁), 신(信), 용(勇), 충(忠)입니다. 지혜로우면 속일 수 없고, 어질면 사람을 사랑할 수 있고, 신의가 있으면약속을 어기지 않고, 용기가 있으면 범할 수 없고, 충성스러우면 두 마음을 먹지 않습니다. 장수된 자는 이 다섯 가지 재능을 갖춘 연후에야장수 노릇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열 가지 허물, 즉 십과(過)는 이렇습니다. 용기만 갖고 죽음을 가볍게 여기는 것, 성격이 성급하여 졸속으로 일을 처리하는 것, 탐욕에 젖어 이익만 좋아하는 것, 어진 마음만 있어서 차마 사람을 죽이지 못하는 것, 지혜로우나 마음이 비겁한것, 신의가 있으나 사람을 함부로 믿는 것, 깨끗함만 좋아하고 사람을아끼지 않는 것, 꾀는 있지만 마음이 너무 느긋한 것, 성격이 강하여자신의 계책만 사용하는 것, 마음이 유약하여 남에게 일을 맡기기 좋아하는 것이 그것입니다. 장수에게 이열 가지 허물이 있으면 장수가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군사를 잘 거느리는 사람은 다섯 가지 재능은 갖추되, 열 가지 허물은 버려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공격하여 격파하지 못할 적이 없고, 싸워서 이기지 못하는 경우가 없으며, 도모하여성공하지 못할 일이 없으므로 천하에 대적할 자가 없어집니다." - P40

지난날 도위가 부임하면 창고의 각 부문을 관리하는 인원이 도위를 알현하는 예가 있었다. 도위가 이 예를 받으면 마침내 그곳 관리들에게 엮여 양곡을 방출할 때 그들 마음대로 수량을 조작할 수 있게 했고, 이에 백성들 사이에 원망이많았다. 한신은 부임한 뒤 바로 고시(告示)를 내붙이고 먼저 오랫동안창고에서 적폐를 조장한 자들을 모두 조사하여 내치고 충실하고 정직한 사람을 뽑아 추호도 사사로운 거래를 하지 못하게 했다. 곡식을 방출할 때도 모두 공평하게 처리했고 양곡을 받을 때도 더이상 돈을 함부로 허비하지 못하게 했다. 이렇게 하자 양곡을 바치는 사람들도 그분량에 맞는 금액에 만족했다. 반달 만에 백성이 한신의 통쾌한 일처리를 칭송하며 앞다퉈 양곡을 바치고 싶어했다. 이로써 양곡 징수가 지연되던 폐단이 사라졌다. - P52

소하가 말했다. "오늘날 한신이 지극낭관에 그친 것은 자신의 주군을 만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신은 한신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그의 폐부를 꿰뚫어보았습니다. 그는 진실로 쓸모 있는 인재이며 천하의 뛰어난 선비이지 말만 앞세우는 사람이 결코 아닙니다. 신은 대왕마마를 보좌하는 관직에 있으면서 늘 대죄하는 심정으로 현인을 구하는 데 진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지금 대왕마마께서 현인을 보고도 천거하지 않으시고 현인을 천거하고도 중용하지 않으시니 신이 밤낮으로 불안하게 생각하는 까닭이 바로 이 때문입니다. 이에 신은 죽음을 무릅쓰고 대왕마마께 말씀을 올립니다." - P67

"신도 대왕마마께서 항왕보다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신이 일찍이 항왕을 섬긴 일을 대왕마마께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항왕이 고함을 지르며 꾸짖으면 수많은 사람이 모두 꼼짝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현명한 장수를 임용하지 못하니 이는 단지 필부의 용기일 뿐입니다. 항왕은 사람을 보고 자애와 공경을 드러내며 말을 매우 부드럽게 합니다.
또 아픈 사람이 있으면 문득 눈물을 흘리며 자신의 밥을 나누어줍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이 공을 세워 봉작을 수여해야 할 때는 관인의 끈이 떨어질 정도로 만지작거리면서도 그것을 하사하지 않으니, 이런 마음은 소위 아녀자의 인정일 뿐입니다. 항왕은 비록 천하를 제패하고 제후들을 신하로 거느렸지만 관중에 거주하지 않고 팽성에 도읍을 정했습니다. 또 방자하게 의제를 시해했으므로 그 죄과가 파멸에 이르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름은 패왕이지만 진실로 천하의 민심을 잃었습니다." - P86

"전투에 임하여 이진법을 사용하면 장수는 병사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 수 없고 병사장수가 어디 있는지 알 수 없을 터인데, 군대의 대오를 어떻게 배열ㅎ고, 전투의 기세를 어떻게 조절하고, 정규 부대와 유격 부대를 어떻게운용하고, 움직임과 멈춤을 어떻게 지휘할 수 있겠소? 아마도 적을 면나면 지탱하기 어려울 듯하여 지금 선생과 상의하려 하오. 글씨를 즐쓰는 사람 40명을 뽑아서 내가 평소에 소집하는 대오의 수, 조절방법. 군영 설치 방향, 출입 규율을 모두 베끼도록 하시오. 밤새도록 한 줄, 한 단락까지 모두 베껴서 20권을 만드시오. 매 권마다 서장관)한 명을 두고 책 속에 기록된 대오의 진법에 맞추어 일제히 연습하도록하시오. 반달 내에 완전하게 연습해야 하오. 내가 먼저 군사와 병마 한부대를 보내서 어떻게 대열로 들어가고, 어떻게 대열에서 나오고, 어떻게 군영을 옮기고, 어떻게 군영을 설치하고, 어떻게 적에 대응하고, 어떻게 적을 위협하고, 어떻게 매복하고, 어떻게 공격하는지, 또 각 변화에 따라 어떻게 질서 있게 대처해야 하는지 방법을 가르쳐주겠소. 각부대가 여기에 맞추어 훈련하면 한 달도 지나지 않아 군사와 병마는 지금과 크게 달라질 것이오. 그때 동쪽으로 정벌을 나서야 군대를 이용하여 승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오." - P98

장수의 도리는 조정 밖에서 직무를 오로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법이아니면 삼군을 제어할 수 없고, 법을 밝게 시행하지 않으면 인심을 복종시킬 수 없다. 이 때문에 손무가 오나라 궁녀를 죽여서 군법을 시행한 것은 오나라 궁녀가 오왕의 애첩임을 몰랐기 때문이 아니다. 왕의 - P112

애첩에게도 사사로움을 보이지 않았기에 오나라의 군법이 시행될 수있었다. 그대 대장 한신이 은개를 죽인 것도 그가 짐의 친척임을 몰랐기 때문이 아니다. 왕의 친척에게도 사사로움을 보이지 않았기에 한사람을 죽여 천만 사람에게 경계를 보일 수 있었다. 그런 군법 시행은진실로 손무와 부합하므로 장수의 도리를 깊이 얻었다고 할 만하다.
짐은 이를 가상히 여기고 기뻐한다. 이 때문에 근신 주원신에게 양과술, 칙지를 보내 장려한다. 초심을 더욱 갈고닦아 장졸들의 마음을 단속하라. 그리고 일찍 동쪽으로 정벌을 나서 짐의 소망을 위로하라. 이에 칙지를 전한다. - P113

뜻밖에도 범증이 하루는 팽성에서 천문을 살피다가 서남쪽에서 왕성한 기운이 일어나 하늘을 꿰뚫고 있고 각처의 장군(將軍)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모습을 보았다. 이 때문에 범증은 생각에 잠겼다.
‘이것은 필시 유방이 한중에서 군사를 일으킬 형상이다.‘
그리고 또 생각했다.
‘한신이 초나라를 버리고 한나라에 귀의했으므로 틀림없이 중용되었을 것이다. 근래에 패왕은 팽성에서 어진 정치는 펼치지 않고 오로지살상만 숭상한다. 이에 제후들은 배반하고 육국은 종횡으로 흩어졌는데, 그중에서 제나라가 더욱 심하다. 만약 한왕이 군사를 일으켜 동쪽으로 진격하면 파죽지세처럼 쉽게 승리할 수 있을 것이다.‘ - P128

"그것은 겉으로 잔도를 수리하는 체하여 장함이 대비하지 못하게 하려는 작전이오. 나는 진창도 오솔길로 진격하여 닷새도 되지 않아 대산관에 도착할 것이오. 그럼 장평은 우리 군사가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생각할 것이오. 이것이 바로 몰래 진창도로 나가는 계책이오대산관에도착하는 날 바로 관문을 격파할 것이오. 그럼 대왕마마의 어가는 활과 화살을 쓰지 않고도 저절로 관문을 통과할 수 있을 것이오. 승상서는 이 말을 대왕마마께 아뢰고 근심하실 필요가 없다고 전해주시오." - P131

짐은 이렇게 말하겠소. 선을 행하면 온갖 상서로움이이를 것이지만 악을 행하면 온갖 재앙이 닥칠 것이오. 선과 악의 보응은 털끝만큼도 틀리지 않소. 짐은 이제 ‘약장‘에 일정한 규율을 넣었소. 여러분에게 선포하고 간절하게 효유하는 것은 바로 여러분이을 지키고 공의(義)를 받들어 모두 선량한 경지에 귀의하게 하기 위함이오. 짐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여전히 악에 빠진 자에게는 양으로는 국법으로 대처할 것이고, 음으로는 귀신이 벌을 줄 것이니 죄에서 도망치기 어려울 것이오. 여러분은 공경하고 준수하여 혹시라도 잊지 마시오! 이에 효유하는 바이오. - P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세기 여성은 가정에 위치해야 하고 완벽한 어머니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었으며 따라서 정치 사회적 영역에서 여성은 있지 못했다.

1830년대 산업화의 시작으로 미국 사회는 근본적인 변화가 시작되었다.
노예제 폐지 운동(Nat Turner)이 일어나던 즈음 경제적 여건이 나았던 백인 여성들은 교육권과 일할 권리를 위해 투쟁에 나섰는데 그들은 자신들이 받는 억압을 일종의 노예제로 규정하였다.

1833년 코네티컷 캔터베리의 학교 교사인 프루던스 크랜들이 백인 주민들을 상대로 흑인 학생의 입교를 받으며 갈등을 빚는다. 주민들은 보이컷 운동을 벌였고 당국에서 크랜들의 체포 명령이 내려질 때까지 충돌은 지속되었다.
미국 노예제 반대협회 창립대회에 참석한 여성들 4명 중 한 명인 루크리셔 모트는 대회 직후 필라델피아 노예제 반대협회 모임을 조직하였다. 이후 보스턴 노예제 반대 여성 협회(대표: 마리아 채프먼 웨스턴)를 비롯한 여러 모임이 조직되었는데 이들은 인종주의자들 무리에 공격당하거나 다른 식으로 목숨을 위협받는 경우도 생겼다.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노예 가정에서 태어난 그림케 자매(사라, 앤젤리나)는 노예제에 환멸을 느껴 북부로 이주하였고 자신들의 생각을 담은 강연을 시작한다. 강연 내용은 노예제의 문제와 노예제로 여성들이 받았던 책임에 관한 것이었다. 강연은 점차 인기를 끌며 남성들의 참여도 늘어났는데 이 중에는 앙심을 품고 참석한 이들도 있었다.

1837년 7월 28일 매사추세츠 조합 교회파(프로테스탄트 최대 교파) 목사 의회는 그림케의 강연이 신이 정한 여성의 역할을 전복하려한다며 교서를 발행한다. 자매들은 남성우월주의자들로부터 공격을 받았고 이 때문에 여성의 권리를 방어할 수 있어야 노예해방운동에 진입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사라 그림케는 1838년 ‘성평등에 대한 서한’에서 여성의 지위에 대한 포괄적 분석을 담아 펴낸다. (남성과 여성은 동등함)
한편 반응은 갈렸다. 노예제 반대 운동 여성들에게는 열렬한 지지를 받았으나 노예제 폐지 운동 지도층 남성에게는 노예제 폐지에만 관심있던 이에게는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시하기도 하였다.

어쨌든 여성들은 노예제 폐지 운동을 통해 정치적 권리를 요구하는 법을 알게 되었다. (이는 10년 후 여성 권리 신장 운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격동의 1830년대는 불타오르는 저항의 시기였다. 1830년대 초반에 일어난 냇 터너(Nat Turner)의 반란은, 흑인 남성과여성은 노예로서 자신들의 운명에 엄청난 불만을 느끼고 그어느 때보다 강한 저항 의지를 불태우겠노라고 분명하게 선언했다. 냇 터너의 반란이 일어난 해인 1831년에 체계화된 노예제 폐지 운동이 탄생했다. 1830년대 초에는 주로 젊은 여성과아이들이 일하는 북동부의 섬유공장에서 비상소집과 파업이일어났다. 같은 시기 즈음 상대적으로 여건이 좋았던 백인 여성들은 교육권과 집 밖에서 일할 권리를 위해 투쟁하기 시작했다. - P70

올바른 원칙은 사람의 이름보다 강력하다. 우리의 원칙이올바르다면 어째서 겁쟁이가 되어야 하는가? 어째서 노예의양도 불가능한 권리를 지킬 용기를 한 번도 가져보지 못한사람들을 기다려야 하는가? - P76

여성들은 자신이 겪는 억압과 어느 정도 닮은데가 있는 억압에 저항하고 있었다. 게다가 이들은 노예제 반대 운동에서 남성우월주의에 맞서는 법을 배웠다. 여성들은정치 투쟁의 영역에서는, 결혼생활 내부에서는 꿈쩍도 하지않을 것 같았던 성차별주의에 문제를 제기하고 싸움을 걸 수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 백인 여성들은 흑인해방투쟁을 하려면 여성으로서 자신의 권리를 열렬히 지켜야 한다는인식에 눈을 뜨게 된다. - P79

어느 날 보나파르트가 정치 때문에 분주한 한 프랑스 여성 - P84

을 나무랐다. 그러자 그녀는 이렇게 대답했다. "폐하, 여성이사형에 처해지는 나라에서, 여성이 그 이유를 알고자 하는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므로 자매들이여, 여성을 비하하고 짐승 취급하는 나라에서, 그들 가운데 노출된개인들이 채찍질에 피투성이가 되고, ‘니그로 브로커’의 도살장에서 판매되고, 소득이 생기면 강탈당하고, 강제로 남편과 찢어지고, 미덕과 자손을 강탈당하는 나라에서, 바로 그런 나라에서는 여성들이 ‘그 이유’를 알고자 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특히 피와 이름 없는 공포를 야기하는 이잔혹 행위가 헌법의 원칙을 거스르며 자행될 때는 말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정치적인 주제이니 여성은 한가하게 팔짱을 끼고, 우리 땅에서 자행되는 ‘끔찍한 짓’에 눈과 귀를 닫고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우리는 용납하지 않고, 할 수도 없다. 행동해야 할 우리의 의무를 부정하는 것은 행동할 우리의 권리를 과감하게 부정하는 것이고, 우리에게 행동할 권리가 없으면 우리는 ‘북부의 하얀 노예‘라는 말을 들어 마땅할 것이다. 예속된 우리의 동지들처럼 우리는 입을 봉하고침묵과 절망에 빠져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 P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베르뒤랭네 집에 출입하지 않는 사람들의 파티란 비 오는 날만큼이나 따분하다는 - P9

사실을 설득시킬 수 없는 ‘신참‘은 당장 제명당했다. 이 점에있어서는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사교계에 대한 호기심과 다른살롱의 재미를 몸소 알아보려는 소망을 버리지 않아 더 다루기 힘들었는데, 베르뒤랭네도 이런 탐구 정신이나 경박함의마귀가 다른 신도들에게 전염되기라도 한다면 이 작은 교회의 정통성에 치명적인 해가 될 수 있다고 느껴, 모든 여성 ‘신도들’을 차례로 추방하지 않을 수 없었다. - P10

지적인 사람은 다른 지적인 사람에게 바보로 보이는 것에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법이다. 마찬가지로 멋쟁이가 자신의 우아함이 무시당할까 봐 두려워하는 것은 대귀족이 아닌 시골뜨기 앞에서다. 세상이 존재한래 사람들이 낭비해온 재치의 비용과 허영심에 의한 거짓말의 사분의 삼은 - 이런 것은 인간의 품위를 떨어트렸을 뿐이지만 항상 자기보다 열등한 사람들에 대한 것이었다. - P16

"전 정말이지 뭔가를 배우고 싶고, 알고 싶고, 깨우치고 싶어요. 헌책방을 뒤지거나 고문서에 코를 박는 일은 얼마나 재미있을까요?" 하고 마치 어떤 우아한 여인이 손수 밀가루 반죽을하며‘ 요리할 때처럼 더러운 일에도 옷이 더러워지는 걸 아랑곳하지 않고 몰두하는 게 가장 큰 기쁨이라는 걸 확인하는 듯한 그런 자기만족의 표정을 지으며 그녀는 덧붙였다. - P27

우리가 사랑에서 특히 주관적인 쾌락을 추구하기 때문에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취향이 사랑에서 가장 큰부분을 차지하는 것처럼 보이는 나이에 이르게 되면 가장 육체적인 사랑은 그 바탕에 욕망이 없어도 생겨날 수 있다. 삶의 이런 시기에 이른 사람은 이미 사랑을 여러 번 경험했으며, 따라서 사랑은 더 이상 그 고유의, 미지의 숙명적인 법칙에 따라, 우리의 수동적인 놀란 마음 앞에서 저절로 발전하지 않는다. 우리가 사랑에 도움을 주며, 기억이나 암시로 사랑을 왜곡하는것이다. 사랑의 징후 중 어느 하나를 알아보면, 우리는 다른 징후들을 기억해 내고 다시 태어나게 한다. - P24

확실히 그는 혼자 있을 때면 그녀와의 만남을 회상하며 그녀를 생각하곤 했지만, 소설적인 몽상 속 다른 많은 여인들의이미지 가운데서 그녀 이미지를 떠올린 것에 불과했다. 그러나 만약 어떤 상황 덕분에(아니, 어쩌면 그런 상황과는 무관한지 - P28

도 모른다. 왜냐하면 그때까지 잠재했던 어떤 마음 상태를 느끼는 순간에 나타나는 상황이란 것이 그 상태에는 아무 영향도 끼치지 않을수 있으니까.) 오데트 드 크레시의 이미지가 그의 모든 몽상을흡수해서는, 그 몽상이 그녀의 추억과 더 이상 분리되지만 않는다면 그때 그녀의 육체적인 결함이나 그녀 육체가 다른 여인보다 스완의 취향에 더 어울리는지 아닌지는 전혀 중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 육체는 그가 사랑하는 여인의육체이므로 이제부터는 오로지 그 육체만이 그에게 기쁨과고뇌를 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 P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