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과관계란 가능한 거의모든 결과를 만들어내며, 따라서 우리가 가장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도 만들어 낸다. 이 작업은 우리 욕망이나 ㅡ 빨리 진행하려고 하면 도리어 방해가 되는 ㅡ 삶 자체로 인해 더욱느리게 진행되어 우리 욕망이나 삶이 멈추었을 때 비로소 실현된다. 스완은 이 사실을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이미 깨달았으며, 또 그의 삶에서 ㅡ 그의 죽음 후에 일어날 일의 예시로서 - 처음 만났을 때는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그가 열정적으로 사랑했으며 더이상 사랑하지 않게 되고서야 한 결혼이, 다시 말해 스완의 마음속에서, 그의 모든 삶을 함께 보내고 싶어그토록 열망하고 절망했던 존재가 죽고 나서야 한 결혼이 바로 이런 사후의 행복 아니었던가? - P86

삶의 복잡함이 책읽을 시간을 거의 주지 않고 유럽 지도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더욱이 앞으로 이 변화가 어쩌면 더 심해질 거고, 또 시급한 새로운 문제가 도처에서 제기되는 요즘 같은 시대에는 작가에게 단순한 재사(才士)가 아닌 다른것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제 말에 동의하시겠죠? 이 재사는 순수 형식의 가치에 대한 부질없고 하찮은 논쟁으로 우리 밖과 안에서 몰려오는 이중의 ‘야만인들‘ 물결에 우리가 시시각각 휩쓸릴 수 있다는 사실을 망각하게 합니다. 제 말이, 이런 신사분들이 소위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고 일컫는 신성불가침 학파를 모독한다는 걸 잘 압니다. 하지만 우리 시대에는 단어들을 조화로운 방식으로 배열하는 것보다 더 시급한 임무가 있어요. - P89

때로 저속하며, 남에게 책처럼, 그것도 자신의 책이 아니라 지루한 책처럼 떠들어 대는 작자, 적어도 그의 책이 지루하지 않다면 지루한 것은 바로 베르고트라는 인간이라네. 가장 모호한 정신에 기교를 부리는재능을 가진 그는 우리 조상들이 허풍쟁이라고 불렀던 인간이자 또 자기가 하는 말을 말하는 방식 때문에 더 불쾌하게만드는 그런 자라네. - P91

우리 누구나 자신의 말이나 동작이 어느 정도까지 타인에게 보이는지를 정확히 계산하기란 어려운 법이다. 중요성을 지나치게 과장할까 봐 두려워서, 또 타인에 의해 형성된 추억이 그들이 사는 동안 차지하게 될 부분을 지나치게 큰 비율로 확대하면서, 우리는 우리 말이나 태도의 부차적인 부분들이 거의 상대방의 의식 속으로 뚫고 들어가지 못할 거라고 상상하는데, 하물며 우리가 함께 대화를나눈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으리라고는 더더욱 상상하지 못한다. - P96

수천 년에 걸친 인류 생활에서 모든 것은 다 잊히기 마련이라고 주장하는 신문 연재 소설가의 철학은 모든 사물의 불멸을 예언하는 그 반대의 철학보다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 - P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장 ‘비자발적‘ 독신이라는 환상: 인셀 그리고 피해자 의식

‘인셀incel‘이라는 단어는 비자발적 독신 상태involuntary celibate를 뜻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말은 바이섹슈얼이자 진보적 캐나다인인 알레나Alana라는 이름의 여성이 1990년대에 ‘알레나의비자발적 독신 프로젝트‘라는 홈페이지를 개설할 때 만든 단어다. 알레나는 이 단어를 만들어 자신처럼 데이트를 하지 못해서 외로움이나 성적 불만족 같은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도록 돕고자 했다. 그러나 요즘 ‘인셀‘이란 말은 거의 이성애자 남성이 자신을 정체화할 때 독점적으로 쓰인다. - P35

인셀의 수사법은인셀이 섹스와 사랑을 재화로 여기며, 도구적 이유로 추구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여성들의 애정 혹은 그들과의 섹스를 ‘채드‘에 상응하는 남성적 위계에서 지위를 구매하기 위한 현찰쯤으로 여기는 것이다. ‘채드’라 불리는 인기 많은 남성들은 일종의 ‘알파 남성‘이며 이들의 남성적 능력은 인셀의 (다시 말하지만 추정컨대) 낮은 지위와 대조된다. 이런 맥락에서 인셀들은단순히 여성들만을 목표물로 삼아 복수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 여성뿐 아니라 자신들을 압도하고 비참하게 만든 남성들또한 복수의 대상이다.
******** - P36

게다가 좀 더 섬세히 따져보면, 인셀이 더욱 폭넓고 뿌리깊은 문화적 현상의 징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인셀은 타인이 자신을 지속적으로, 애정과 존경을 담아 우러러보길 기대하는 남성들이 가진 유해한 특권의식의 결정체다. 그리고 이들은 그런 눈길로 자신들을 추앙하지 않았거나 그렇게 하기를 거부한 사람들을 겨냥하고 심지어 파괴한다. - P37

사람은 누구나 외로움을 느낀다. 그러나 여성의 성적, 물질적, 재생산적, 감정적 노동을 그저 남성이라는 이유로 마땅히 받고 누려야한다는 왜곡된 믿음은 연애관계가 시작되기 전이라면 인셀의기질로 이어질 것이고, 관계가 시작된 이후라면 친밀한 파트너에 대한 폭력으로 이어질 것이다. 즉 자신이 좌절감을 느끼거나 앙심을 품거나 질투를 하게 될 때 상대방에게 폭력을 휘두를 것이다. 다시 말해인셀은 잠재적으로 파트너에게 폭력을 가할 수 있는 존재다. - P39

인셀은 종종 극심한 인종차별주의자다. 그렇다고 모든인셀이 백인이라고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유색인인셀들의 비율도 상당해서 "카레셀curry-cel"이나 "라이스셀rice-cel"같은 인종차별주의적 명칭이 이들에게 붙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 또한 보통 백인우월주의 이데올로기에 순응한다. - P41

인셀스코incelsco의 익명 유저는 이런기록을 남겼다. "우리에게 그 어떤 기회도 주지 않은 여성들에대한 혐오 때문에 우리는 평생에 걸쳐 뼈저리게 고통을 겪어야 했다. 그들은 유전적으로 열등하다는 이유로 우리를 혐오한다." 그는 계속해서 이렇게 썼다. "그 여성들은 고통을 겪어야 한다. 위선은 범죄행위이기에 그들은 그 창녀같은 일생 내내 벌을 받아야 한다."
유감스러운 진실은 인셀이 수많은 범죄자들과 마찬가지로 스스로를 취약한 존재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 P51

일반적인 윤리에 따르면, 누군가 고통을 겪을때 우리는 모든 사람이 동등하다는 전제 위에서 최대한 그들을 위로하고 고통을 덜어줄 방법을 찾아야 한다. 비록 그들이우리가 도울 수 없는 상황이라 하더라도, 적어도 공감은 표해야 한다. 그리고 인셀들은 분명 종종 고통에 시달린다. (그 고통이 때로 부풀려지더라도 말이다.)" 그러나 고통을 덜어주고자 하는 타인의 행동을 자신이 마땅히 누려야 한다고 믿는 부풀려 - P52

진 특권의식 때문에 다른 누군가가 고통을 겪는다면, (이런 결과를 예상치 못했다 하더라도) 그런 사람의 고통을 덜어주는 일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행위가 된다. 인셀들의 고통에 그저 안타까움을 표하는 일조차 타인(특히 여성들)이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켜주고, 자신의 자아를 만족시켜주기 위해 존재한다는 인셀들의 거짓되고 위험한 생각을 부추길 위험이 있다. 26바로 그런 이유로 우리는 그 어디에서도 남성 특권의식을 견지한 이들에게 공감해야 한다는 압박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 - P5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3-03-08 09: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우엇.
저 인셀에 대해 좀 더 알고 싶고 공부하고 싶고 읽고 싶었는데 세상에.. 케이트 만이 이 책에서 인셀을 다루네요? 와 너무 흥미진진할것 같습니다.
거리의화가 님, 시작하셨군요! 저는 지금 읽고 있는 책이 진도가 잘 안나가서 ㅋㅋ 이것 다 읽고 사나운 애착 읽고 범죄소설 하나 더 읽고 그 후에 시작..하려고 하는데 그러면 너무 늦을까요? 후훗.
화이팅!!

거리의화가 2023-03-08 09:55   좋아요 0 | URL
저는 인셀이라는 용어 자체도 모르는 상태에서 읽기 시작했네요. 아휴 부끄럽습니다ㅠㅠ 어쨌든 흥미진진한 책입니다. 이 책 읽기에는 어렵지 않아요. 술술 넘어갑니다. 각 챕터 분량도 길지 않구요. 늦게 시작하셔도 충분히 금방 다 읽으실듯^^
 

"이런 건배 인사는 두 나라를 가까워지게 하기 위해, 테오도시우스 2세의 멋진 표현을 빌려 말하자면 그 ‘친화력‘을 돈독히 하기 위해 이십 년 동안 해 온 협상 이상의 것을 해낸 겁니다. 물론 이건 말 한 마디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말이 어떤 성공을 거두었는지,
유럽의 모든 신문들이 얼마나 떠들어댔는지, 얼마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또 어떤 새로운 소리를 냈는지 모릅니다.
게다가 이 말은 왕의 스타일과도 잘 어울립니다. 그렇다고 해서 저는 왕께서 그처럼 완벽한 다이아몬드를 날마다 발견하신다고는 말하지 않겠습니다. 그러나 미리 준비한 연설문이나 더 낫게는 즉흥적인 대화에서조차도 몇몇 강경한 단어를통해 왕께서 자신의 성격을 드러내지 않는 경우는 ㅡ 저는 ‘자신의 서명을‘ 하지 않는 일이라고 말하려고 했습니다만, 거의 없습니다. 이 점에 관한 한 저는 이런 종류의 모든 개혁에는 - P72

반대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편파적이라는 의심은 받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개혁이란 십중팔구 위험하니까요." - P73

우리가 사랑이라고 부르는 현상의 순전히 주관적인 성격을이해하며, 또 세상에서 이름이 동일한 자와 구별되는 추가적인 인간을 만들어 내는 창조 유형과, 이 추가적인 인간을 구성하는 요소 대부분이 바로 우리 자신에게서 나온 것임을 이해하는 사람은 아마도 극소수인 듯하다. 그러므로 우리 눈에보이는 모습과 전혀 같지 않은 존재가 우리 삶에서 큰 비중을차지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 P81

우리와 다른 존재를 연결하는 관계는 상대방이 우리결점을 판단하기 위해 취하는 관점이 우리와 같을 때 더욱 성스럽게 축성된다. - P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항우 본기

과연 명문이 맞구나. 유방과 항우애 관련된 인물과 사건들이 실제로 사기에만 나오는 것들이 많아 다른 책에서도 이 항우본기를 참고한다고 한다.
통감절요에 항우 관련 부분도 읽다보니 굉장히 많은 부분을 실었구나 알게 된다.

"지금 갑자기 큰 명성을 얻은 것은 상서롭지 못하다. 남의 밑에 있는 것이 더 낫다. 이는 일이성공하면 후侯에 봉해지지만 일이 실패해도 도망가기가 쉬우니, 이는 세상이 주목하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말에 따라 진영은 왕이 되지 않기로 결심하고는 군관들에게 말했다.

"항씨는 대대로 장군의 가문이며 초나라에서도 명성이 있소. 지금 큰일을 일으키려 하니 그 사람이 아니라면 불가할 것이오. 우리가 명문 귀족에 기대면 반드시 진나라를 멸망시킬 수 있소."
이에 무리들은 그 말에 좇아 군대를 항량에게 귀속시켰다. - P287

항량은 동아에서 군대를 일으켜 서쪽으로 정도에 이르러 기다렸다가 다시 진나라 군대를 쳐부수고, 항우의 무리가 이유를 베자 더욱 진나라를 경시하며 교만한 낯빛을 보였다. 송의宋義가 항량에게이렇게 간언하며 말했다.
"싸움에서 이겼다고 해서 장수가 교만하고 병졸이 게으르면 패하는 법입니다. 지금 병사들이 다소 게으른데 진나라 병사는 날로 늘어나고 있으니 신은 그대를 위해 이 점이 두렵습니다."
• 그러나 항량은 그 말을 듣지 않고는 송의를 제나라 사신으로 가게했다. - P290

항우가 말했다.
"제가 들으니 진나라 군대가 조왕을 거록에서 포위하고 있다 하니, 서둘러 군대를 이끌고 강을 건너 초나라가 바깥을 치고 조나라가 안에서 호응한다면 반드시 진나라 군대를 무너뜨릴 수 있습니다."
송의가 말했다.
"그렇지 않소이다. 소를 물어뜯는 등에는 이를 이길 수 없소.
지금 진나라가 조나라를 공격하는데, 싸움에서 이긴다면 병졸들이피폐해질 것이니 우리는 그 틈을 타야 하오. [진나라가 승리하지못할 경우 우리가 군대를 이끌고 북을 치며 행군해 서쪽을 친다면,
반드시 진나라를 뒤집어 버릴 수 있소. 그러므로 먼저 조나라가 싸우도록 하는 게 낫소. 견고한 갑옷을 입고 무기를 잡는 것은 내가 그대보다 못하지만 앉아서 계책을 운용하는 것은 그대가 나보다 못할것이오." - P292

항우는 이미 진나라 궁실이 모두 불에 타 부서졌음을 보았고, 또마음에 그리움이 있어 동쪽으로 돌아가려 하면서 말했다.
"부유하고 귀해졌는데도 고향에 돌아가지 않는 것은 비단옷을 입고 밤에 가는 것과 같으니 누가 그것을 알아주겠는가!"
그러자 세객이 말했다.
사람들이 초나라 사람은 원숭이가 사람 모자를 쓴 것일 뿐이라고 했는데, 과연 그렇구나."
항우가 그 말을 듣고는 세객을 삶아 죽였다. - P307

항우는 밤에 일어나 막사 안에서 술을 마셨다. 항우에게는 이름이우라고 하는 미인이 있었는데, 총애하여 늘 데리고 다녔다. 그리고 추雕오추마라는 이름의 준마가 있었는데 늘 타고 다녔다. 이에 항우는 비분강개하여 직접 시를 지어 노래로 읊었다.
"힘은 산을 뽑을 수 있고 기개는 세상을 덮을 만한데, 때가 불리하여 추가 나아가지 않는구나. 추가 나가지 않으니 어찌해야 하는가,
우여, 우여, 그대를 어찌해야 하는가!"
여러 번 노래 부르니 우 미인도 따라 불렀다. 항우가 울어 몇 줄기눈물이 흘러내리니 좌우에 있던 사람들이 모두 울며 고개를 들어 쳐다보지도 못했다. - P324

항우 혼자서 죽인 한나라 군대가 수백명이었다. 항우의 몸 또한 십여 군데 부상을 입었다. 항우는 한나라의 기사마騎司馬기병대장에 해당하는 직책 여마동呂馬을 돌아보며 말했다.
"너는 내 옛 부하가 아니었더냐?"
여마동이 왕예에게 항우를 가리키며 말했다.
"이 사람이 항왕입니다."
그러자 항우가 말했다.
"내가 듣건대 한나라가 내 머리를 천금과 일만 호의 읍으로 사려고 한다고 하니 내 그대를 위해 덕을 베풀겠다."
이에 스스로 목을 찔러 죽었다. 왕예가 그 머리를 취하고, 나머지기병들이 서로 짓밟으며 항우의 몸뚱이를 차지하려 싸우다가 서로죽인 자가 수십 명이었다. 마지막에는 낭중기中 양희, 기사마 여마동, 낭중郞中 여승呂勝과 양무楊武가 각각 자기를 한 쪽씩 차지했다. 다섯 사람이 차지한 몸을 모두 맞춰 보니 때면 틀림없었다. - P327

항우는관중을 버리고 초나라를 그리워한 끝에 의제를 쫓아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그는 왕후들이 자신을 배반한 것을 원망했지만 그렇게보기는 어렵다. 스스로 공로를 자랑하고 사사로운 지혜만을 앞세웠 - P328

으며 옛것을 본받지 않고 패왕의 공업이라 하면서 힘으로 천하를 정복하고 다스리려다 오 년 만에 결국 나라를 망하게 했다. 게다가 몸이 동성에서 죽으면서도 여전히 깨닫지 못해서 스스로를 꾸짖지 않았으니 잘못된 것이다. 그러고서 "하늘이 나를 망하게 하는 것이지병사를 잘 쓰지 못한 죄가 아니다."라고 끌어댔으니 어찌 황당하지않은가? - P3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漢王還至定陶 馳入齊王信壁 奪其軍 春正月 更立齊王信 爲楚王 王淮北 都下邳 封魏相國彭越 爲梁王 王魏故地 都定陶〈出漢書本紀〉
한왕이 제나라 왕이였던 한신을 초나라 왕으로 변경하고 팽월을 양나라 왕으로 봉하였다.

○ 韓信至楚 召漂母 賜千金 召辱己少年 以爲中尉 告諸將相曰 此壯士也 方辱我時 寧不能殺之耶 殺之無名 故忍而就此 〈出漢書本傳〉
한신이 초나라에 이르러 예전에 자신에게 먹을 걸 해주었던 빨래터 아주머니께 천금으로 보답하였다. 자신을 욕보인 이를 만나 이 사람은 “장사”였다며 죽이거나 하지 않았다. 그가 없었다면 이를 갈 일도 없었겠지.

○ 諸侯王 皆上疏 請漢王爲皇帝 二月甲午 王卽皇帝位于氾水之陽 〈出漢書本紀〉
여기서의 제후왕은 제후와 왕을 모두 가리키는 말인데 제후 등급 중 최고가 왕으로 변화됨으로써 기존의 공후백자남 제후들은 왕 아래에 있게 되었다. 제후왕 위에 황제가 있게 되었고 게다가 제후들이 많아져서 변화가 필요했던 것이다.
한왕이 한나라의 황제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